[문학교육론] 거울뉴런 이론이 문학독서 교육에 주는 시사점 - 문학독서 과정의 이해와 교수-학습 장면에서의 소통의 측면에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학교육론] 거울뉴런 이론이 문학독서 교육에 주는 시사점 - 문학독서 과정의 이해와 교수-학습 장면에서의 소통의 측면에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학독서 과정의 이해
2. 문학독서 교수-학습에서의 소통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었다.’와 같은 마음이 느껴질 때 학습자들이 거부감을 줄이고 교사와 같은 마음으로 텍스트를 대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전문학 텍스트를 가르치는 것에 대한 교사들의 고민을 덜어줄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거울효과라는 묵시적인 측면을 생각할 수 있다.
문학독서 교육에서 일어나는 또 다른 소통은 학습자 간의 소통이다. 최근에 독서교육에서 관심을 끌고 있는 것 중의 하나는 독자중심, 독자의 의미 구성, 독서 토론이다. 한철우, <문학독서 교육의 전개와 방향>,《독서연구》제12호, 한국독서학회, 2004, p.266.
많은 독서교육 연구서나 실천서에서 독서 토론이나 소그룹 감상 표현 활동, 협동학습, 독서 클럽 활동 등 학습자 간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활동을 제안한다.
이러한 학습자 간의 소통에 작용하는 뇌의 기제 중 하나가 거울뉴런이다. 거울뉴런은 모든 사람에게 있는 것이기 때문에 초개인적인 신경 틀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 틀을 통해 사람들 사이에 의미가 통하는 공통된 공간이 만들어진다. 공통된 의미 공간 속에는 사람들이 경험할 수 있는 전형적인 행동과 감정의 단계에 관한 모든 프로그램이 들어 있어 세상에 존재하는 감정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바우어, 앞의 책, p.183.
이러한 능력은 경험과 훈련을 통해 발달하는 것으로, 이것이 발달하지 못하면 개인에게 불행을 초래하게 된다. 다른 사람들과 소통할 수 없고 같은 사회적 의미 공간 속에 있을 수 없는 것이다. 이런 문제가 있는 아동을 위해 아이의 공감 발달과 성숙을 위한 활동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가령 키에르프가 고안한 프로그램에서는 사회의 중요한 상황을 아이들에게 그림으로 보여 준다. 아이들은 그룹을 이루어 교사와 함께 특수한 상황에 놓인 다른 아이들의 그림을 보고, 서로 이 그림과 그들이 받은 인상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이렇게 하면 참가한 학생들은 거울 장치를 활성화시키고 공감 능력을 훈련할 수 있다고 한다. 위의 책, p.136.
문학독서 교육에서 학습자 간 소통에 공감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같은 텍스트에 대한 공유된 이해가 있다는 점에서 공감이 전제되어 있다. 또한 소통의 과정에서 명시적묵시적으로 텍스트에 대한 다른 학습자의 반응에 대한 공감이 이루어지게 된다. 신경과학적으로 본다면 문학 텍스트에 대한 공동 주의 집중을 하는 상황에서 서로 거울 반응을 주고 받는 것이며, 공통의 의미 공간을 만들어가는 활동이다. 이것은 텍스트의 이해 자체에도 기여하지만, 학습자 간의 공통된 의미 공간을 만들어 학습자 간의 친화력과 공동체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적 의의가 있다. 또한 학습자의 삶에서 다른 사람에게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이 신장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한편 교사와의 소통, 학습자 간의 소통이 원활하게 일어나기 위해서는 편안한 분위기가 조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거울뉴런은 공포를 느끼는 상황에서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만약 공포 분위기나 심하게 긴장되는 학습 환경에서 문학독서 수업이 이루어지면 거울뉴런의 작용이 억제되어 텍스트에 대한 감동을 느끼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교사나 다른 학습자와의 공감도 이루어지지 않은 채 건조한 활동만 하게 될 것이다. 문학독서의 교수-학습 장면에서실제 수업 내용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신경학적 기제가 활성화되는 환경의 조성이 이루어진다면 더 의미 있는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천경록, <읽기의 의미와 읽기 과정 모형에 대한 고찰>, 《청람어문교육》제38집, 2008
박인기, 《문학교육과정의 구조와 이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경규진,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박인기, <문학을 읽는 이유>,《문학의 이해》, 삼지원, 1999
김중신, 《한국 문학교육론의 방법과 실천》, 한국문화사, 2003
우한용, <문학독서 교육의 이론과 실천을 위한 기반 검토>, 《선청어문》제32권, 2004
마르코 야코보니, 김미선 역,《미러링 피플》, 갤리온, 2009
반신환, <거울뉴런에 근거한 공감훈련의 원리>, 《신학과 실천》 제24권 2호, 한국실천신학회, 2010
이상섭, <독자 반응 이론의 여러 면모>, 《자세히 읽기로서의 비평》, 문학과 지성사, 1988
요아힘 바우어, 이미옥 역, 《공감의 심리학》, 에코 리브르, 2006
구인환 외, 《문학교육론》, 삼지원, 2001
송지현, 《문학교육의 본질과 방법》, 푸른사상, 2003
한철우, <문학독서 교육의 전개와 방향>,《독서연구》제12호, 한국독서학회, 2004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7.03.04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03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