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육 D형] 노인의 안전사고예방에 대한 보건교육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건교육 D형] 노인의 안전사고예방에 대한 보건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방통대 간호학과 4학년 보건교육 D형] 노인의 안전사고예방에 대한 보건교육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보건교육의 개념
1) 정의
2) 목적
3) 필요성
4) 일반적 원리
2. 그린의 PRECEDE-PROCEED 모형
1) 개념
2) 단계
3. 노인의 안전사고예방에 대한 보건교육 - PRECEDE-PROCEED모형 적용
1) 1단계 - 사회적 사정
2) 2단계 - 역학적 사정
3) 3단계 - 행위 및 환경적 사정
4) 4단계 - 교육 및 생태적 사정
5) 5단계 - 행정 및 정책적 사정
6) 6단계 - 수행 : 1 시간 분량의 보건교육지도안
7) 7단계 - 과정평가
8) 8단계 - 영향평가
9) 9단계 - 결과평가
4. 노인의 안전사고예방 방안
1) 걸을 때
2)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할 때
3) 자동차를 운전할 때
4) 가정 내 시설물 점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않는 것이 오히려 안전하다.
욕실·화장실 내부는 정리 정돈을 잘해 뾰족한 모서리나 날카로운 물건 등을 없앤다. 노인이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욕실 내부에 놓인 물건에 부딪혀서 다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욕조 이용 시 노인이 쉽게 잡을 수 있는 위치에 손잡이를 설치한다. 욕조에 들어가거나 나올 때 몸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를 설치하면 노인이 미끄러지거나 넘어져서 다치는 사고를 줄일 수 있다. 화장실이 가까운 방에 노인이 거주하는 것이 좋다. 야간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침실에서 욕실까지의 통로에는 장애물이 될 만한 물건은 두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미끄러져서 쓰러지는 등의 긴급 상황 발생 시에 대비해 가족 등 타인에게 알릴 수 있는 비상벨을 욕실에 설치한다. 노인의 출입이 잦은 화장실·욕실 입구에는 턱이나 계단이 없어야 걸려서 넘어지는 사고를 줄일 수 있다. 주택 개·보수를 통해서 위험 요인을 없앤다. 스위치는 어둠 속에서도 찾기 쉽도록 출입구 바깥에 설치한다.
(2) 계단
시력이 저하된 노인이 계단을 오르내릴 때 계단 디딤판과 가장자리가 확연히 보이도록 밝은 전등을 끼운다. 계단이 어두우면 발을 헛디디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것을 설치한다. 2층에 노인이 사는 주택은 계단에 설치된 전등을 계단의 위와 아래 양쪽에서 스위치를 켜고 끌 수 있도록 한다. 난간은 계단 양쪽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여의치 못할 때에는 계단에서 내려올 때 더 많은 사고가 발생하므로 내려오는 오른쪽에 적어도 1개의 견고한 난간을 설치한다. 계단에 카페트를 깔 때에는 확실하게 고정시키고 계단 상단에는 소형 매트를 두지 않도록 한다. 계단에 확실하게 고정되지 않은 카페트를 깔거나 계단 상단에 소형 매트를 놓을 경우 발이 걸리거나 미끄러져서 넘어진다. 동일 계단 간에 높이 차이가 나거나 계단 디딤판이 고르지 못하면 잘 보이게 표시해 둔다. 계단을 만들 때는 디딤판 앞쪽이 더 나와 있는 계단코를 설치하지 않도록 하고 계단코가 있는 계단은 이를 없애도록 한다. 운동 신경이 둔하고 발을 들어올리기 힘든 노인들은 계단코에 걸려서 넘어진다. 주택 건축 시 노인이 거주하는 주택은 계단의 높이를 16cm 이하, 너비를 32cm이상으로 시공하는 것이 안전하다.
(3) 부엌
화재의 위험성이 높은 부엌에는 가스 누출 경보기나 화재경보기를 설치해 경고 신호를 어디서나 들을 수 있도록 한다. 가스레인지나 곤로 근처에 타월걸이나 커튼이 있으면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커튼을 떼어낸다. 선반이나 싱크대 등의 높은 곳에 있는 물건을 꺼낼 때는 안정적인 받침대를 준비해 쓰는 것이 좋다. 사용하기 전에는 받침대가 안정적으로 놓여 있는지를 확인한다. 가스레인지·곤로·싱크대 등 음식을 조리하거나 칼을 사용하는 곳은 조명은 밝게 한다. 부엌은 바닥에 물기가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바닥 마감 재료로 마감하도록 한다. 불가피하면 부엌에 마른 걸레를 두고 수시로 물기를 닦는다. 부엌의 전선과 전기 제품은 싱크대나 열이 발생하는 곳에서부터 일정 거리를 둔다. 전기 제품이나 전선은 물이 묻으면 쇼크나 감전 사고를 일으키고 열에 의해 전선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4) 방·거실
노인의 잠자리는 전등 스위치 가까운 곳으로 한다. 스위치가 잠자리 가깝게 있어야 야간에 화장실 등을 갈 때 발을 헛디뎌 넘어지는 사고를 막는다. 화재 예방을 위하여 이부자리나 침대 근처에는 라이터·재떨이 같은 물품을 두지 않는다. 전기담요를 사용할 때에는 위쪽에 다른 이불이나 방석 등을 올려놓지 않는다. 전기담요를 접거나 담요 위에 이불을 덮어 두면 과도한 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다. 긴급한 상황 발생 시에 자리를 옮기지 않고 전화를 걸거나 잠을 자다가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전화기를 잠자리 가까이 둔다.
Ⅲ. 결론
본격적인 고령사회로 접어드는 전 단계인 고령화 사회에서는 노인의 신체적 취약성으로 인한 안전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하게 되다. 특히 일하는 노인도 증가하게 되어 직장이나 가정에서 노인들의 사고에 대하여 충분한 안전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대개 노인이 되면 신체에 많은 변화가 나타나 한 두 개 이상의 만성퇴행성 질환을 가지게 되거나 시력, 청력 등의 감각기관 기능쇠퇴와 민첩한 운동기능의 소실로 인한 낙상 등이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42.5%가 일상생활이나 수단적 생활능력에 있어서 한 가지 이상 지장을 갖고 있다. 한국소비자보호원의 자료에 따르면 노인들의 가정 안전사고 중 83%가 욕실, 화장실 바닥 등의 시설물로 인한 것이며 노인이 사는 주택의 42%가 사고 위험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노인운전자의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전체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 중에서 노인층이 차지하는 다른 연령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노인의 신체적 특성과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분석하고 사고 위험요인을 개선하면 상당 부분 노인관련 안전사고는 예방 가능하다고 한다.
<참고문헌>
윤숙희(2017) 노인간호학, 수문사
Gloria Wold(2010) 노인간호학, 현문사
보건복지부(2014) 노인돌봄서비스의 실제, 진한엠엔비
서울특별시(2016) 생활안전 길라잡이 4, 휴먼컬쳐아리랑
최상복(2005) 노인안전개론, 골드
이경희 외(2014) 보건교육, 수문사
박인혜 외(2011) 보건교육, 정문각
윤순녕 외(2010) 보건교육방법론, 수문사
김일순(2003) 건강증진 : 새 시대의 의료의 지평, 간호학 탐구
서문자 외(2000) 건강증진과 건강교육, 수문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2005) 보건 교육사를 위한 보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전국대학보건관리학교육협의회(2007) 생활과 건강증진, 계축문화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편집부(2013) 보건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성기환, 최일문(2011) 노인 안전복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정책개발연구
이원태(2009) 노인들의 생활안전의식이 사고유발 요인과의 관련성,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조의영(2001) 운항승무원 건강증진을 위한 PRECEDE모형의 적용 및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 가격4,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7.04.02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27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