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방안을 증진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서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방안을 증진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서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통합교육의 개념
3.통합교육의 목적
4.통합교육을 위한 방법과 대안전략
5.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방안을 증진 할 수 있는 방안
6.참고 자료

본문내용

적 재정적 지원의 강화 또는 제도적인 지원 및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적 접근이 뒷받침 될 때 통합교육이 더욱더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5.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방안을 증진 할 수 있는 방안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방안을 증진 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 환경조성을 위한 행정적 지원이다.
특수학급이 있는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 환경 조성을 위하여 행정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그것을 위하여 특별위원회를 구성한다. 이 위원회는 통합교육을 위한 행정적인 지원자 역할을 감당하므로 여러 가지 운영방향 및 방침을 마련한다. 위원회 구성원으로는 학교장, 교감, 교무 및 연구주임, 학년주임, 그리고 장애- 및 일반학생 학부모가 될 수 있다. 위원회에서 마련할 수 있는 통합교육을 위한 운영방침으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둘째, 통합된 수업과 수업외의 활동 속에서의 서로 간의 교류이다. 원적학급에서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함께하는 수업현장에서의 교수-학습활동을 현재의 일반학생 중심의 일제식 수업에서 장애학생도 함께 고려가 되는 교수-학습활동으로 시각을 바꾸어야 한다. 프로젝트 수업, 동료교수(Peer-tutor), 소그룹 활동, 짝활동, 코너 수업을 포함한 열린교육 형태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그것을 위하여 책상을 작은 소그룹 단위로 조별로 구성하여 장애학생의 좌석 배치를 적절히 고려할 수 있다.
셋째,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육교사-특수교육교사의 팀티칭 구성한다.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교수팀 구성이다. 특수교사도 일반교과지도가 가능하여 일반학급에서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통합수업시 교육과정 및 학습제재에 따른 유동적인 역할분담을 할 수 있다.
넷째, 특수교육교사 및 일반교육교사를 위한 통합교육에 관한 자질 훈련 실시한다. 학교 내에서 일반교사를 위한 특수교육에 관한 자체연수 실시하거나 현재 각 학교마다 정기적인 연수시간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그것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각종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프로그램 삽입한다.
다섯째, 특수교육 및 치료교육의 강화를 통하여 장애학생의 특수교육 및 장애극복을 위한 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장애학생의 독특한 교육적 욕구에 따른 특수교육을 강화하고 장애학생의 장애극복을 위한 치료교육적 서비스 방안의 강구하도록 한다.
여섯째, 통합교육을 위한 각종 시설 및 학습자료의 구비하거나 특수학급이 있는 학교 행정의 이분화 방지 및 그것을 위한 장학사 및 교육행정가를 위한 통합교육에 관한 집중연수 실시한다.
교육의 중요한 목적은 한 개인이 다른 사람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며 서로 돕고 살아가는 사회의 일원을 길러내는 데 있다고 본다. 따라서 특수교육은 생활인으로써의 사회인으로써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장애아동을 교육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수교육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특수교육의 한 방안으로써의 통합교육 실현을 위한 최선의 방법은 통합교육을 단지 장애인의 교육문제 라고 간주하기 보다는 교육전체의 문제로 인식하여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조화로운 협력적 교육활동이 이루어질 때 비로소 성공적인 특수교육을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우리나라는 현재 특수교육 학계와 현장에서는 세계적 흐름과 더불어 통합교육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지만 그 실제는 준비되지 못한 채 혼란을 겪고 있다.
따라서 통합교육은 우리가 실현할 목적과 가치인 동시에 과정과 수단 및 방법임을 인식하고 공동체 사회의 실현을 위해서,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가 총체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더욱더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우리들이 해아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6. 참고자료
김정권(2005). 통합교육패러다임 이동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대안적 전략. 대한 특수교육학회, 특수교육학회지. 제 16집, 제 2권, p. 5~32
김정아(2015).통합활동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인수(2003). 통합교육의 전망과 과제. 새교육 12월호 새교육신문사. p. 47~53.
이용남역2002). 질적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교육과학사
김정권(2006). 완전통합교육과 학교교육의 재구조화. 도서출판 특수교육.
김승국 박원희 이유훈 정대영 한성희(2000). 장애학생의 사회적응력 신장을 위한 통합교육 모형 연구. 교육부.
김미순(2014).통합교육 경험 및 장애학생 이해 수준과 장애 수용도와의 관계.
경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가격1,9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7.05.30
  • 저작시기201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67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