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학기 한국복식문화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의 공복제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의 공복제도에 대해 설명하시오. (각 시대의 공복제도 및 공복의 품목, 공복의 변천, 그 의미를 설명할 것)



- 목 차 -

I. 서 론

Ⅱ. 본 론
1. 고구려의 공복제도
2. 백제의 공복제도
3. 신라의 공복제도
4. 고려의 공복제도

III. 결 론

참고문헌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파일>
1. 고려시대 공복의 변천과정.hwp
2. 고려시대 공복의 특징.hwp
3. 공복의 역사.hwp
4. 공복이란.hwp
5. 고려초기 공복제도.PDF

본문내용

I. 서 론

공복이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신하가 왕 또는 황제와 대면할 때 입었던 관복을 의미한다. 공복은 외형적으로 관리복을 나타내며 착용자의 신분을 대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공복의 제정은 율령 반포 등의 체제안정장치를 통하여 왕권을 안정화시킨 후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로의 크고 작음에 따라 정해지는 등급에 의해 공복제도가 정해지고 공복의 복색군에 따라 품을 나누어 전시를 지급한 점을 볼 때 공복 제정이 통치자와 신하간의 종속적 관계를 강조하는 역할로 기능하였다.
한 사회의 일면으로서 복식은 인간이 생활했던 자연환경이나 사회환경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생활양식의 표현이다. 따라서 복식을 통하여 당시 사회의 여러 실상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한 복식과 관련된 복식제도는 그 사회의 구성과 발전 정도 등을 간접적으로 나타내준다. 특히 공복제도는 한 나라의 지배계급의 복식 착용을 규제하는 법으로 정치체제의 정비 정도를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삼국시대에 정해진 공복제도는 정치적 위계질서를 세우는 일면으로 신분에 따른 차이를 복식을 통하여 표현함으로써 시각적인 구별을 뚜렷이 하였다. 이는 고대 국가에서 복식이 차지하는 역할이 매우 중요했음을 시사해주는 것이다.



Ⅱ. 본 론

1. 고구려의 공복제도

「신당서」 동이전에는 왕복, 고위 관료, 일반 관인 서인의 의복을 묘사한 기록이 있다. 고구려는 왕과 관리, 악공 복식에 색과 장식이 구분되었던 것으로 보아 신분이나 관등에 따라 입는 옷이 엄격하게 구분되어 의복의 색으로 상하등위를 가렸음을 알 수 있다. 왕과 귀족은 다양한 색을 사용한 반면, 서민은 자연색을 그대로 입었다.




- 중략 -

추천자료

  • 가격7,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학년/학기3학년/2학기
  • 해당자료학과전학과
  • 자료출간일2017.09.11
  • 파일형식압축파일(zip)
  • 자료번호#10331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