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D형 삶의 기술, 늙은이의 노래 '노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D형 삶의 기술, 늙은이의 노래 '노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노자는 어떤 사람인가?

본론: 요약 및 추가 설명

1, 고고학적 발굴과 ‘노자’
2, 도는 이름도, 형체도 없다.
3, 아름다움이란?
4, 노자의 상대주의

결론: 감상 및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彊爲我著書.’ 於是老子著書上下篇, 言道德之意五千餘言而去, 莫知其所終.”
주나라의 국립도서관장을 맡고 있던 노자라는 이가 국운이 기우는 조짐을 보고 멀리 변방 밖으로 은둔하려고 가던 길에 윤희라는 국경지기에게 붙들려 5천여 글자의 책을 남겼다는 것이다. 현재의 '도덕경'에 담겨 있는 글자 수를 헤아려 보면 대략 5천 자에 가깝다. 그래서 199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다수의 전통주의자들은 현재의 '도덕경'을 함곡관을 넘어 은둔하던 그 노자가 남긴 그 책으로 믿어 의심치 않았다. 비록 전해오는 과정에 일부 글자가 누락되거나 잘못 전해진 글자가 있을 가능성은 인정하지만, 그 대략적인 내용은 함곡관의 노자가 남긴 그 5천여 글자의 책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1973년 중국의 남쪽 장사(長沙) 마왕퇴(馬王堆) 지역에 있던 한(漢)나라 시대의 묘에서 비단 폭에 쓰인 백서(帛書) '도덕경'이 발견될 때도 이런 생각은 크게 흔들리지 않았다.
백서 '도덕경'을 현행본 '도덕경'과 비교해 볼 때 단지 기존의 ‘도덕경(道德經)’ 체제가 ‘덕도경(德道經)’ 체제로 그 순서가 뒤바뀌어 있기는 했지만 그 대체적인 내용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93년 호북(湖北) 형문시(荊門市) 곽점촌(郭店寸)에서 새로운 노자 판본이 발견되면서 기존의 관점이 크게 흔들리기 시작하였다. 곽점촌에서 고대 초(楚)나라 시대의 고분이 발굴되었는데, 그곳에서 죽간, 즉 대나무 조각 위에 쓰여진 '도덕경'이 나왔다. 그런데 죽간 '도덕경'은 기존의 '도덕경'과 비교해 볼 때 많은 차이가 있었다.
첫째, 분량 상으로 보면 죽간 '도덕경'은 백서 '도덕경'이나 현행 '도덕경'의 3분의 1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둘째, 문자의 추가 현상이 보인다. 즉 현행 '도덕경'에는 죽간 '도덕경'의 문구를 바탕으로 새롭게 추가된 문자들이 많이 보인다. 일부 문자가 부분적으로 추가된 경우뿐만 아니라, 아예 새로운 문장이 만들어져 기존 문구의 앞에 또는 뒤에 덧붙어 있는 형태가 종종 보인다.
셋째, 어순의 차이가 보인다. 죽간 '도덕경'의 배열순서는 현행 '도덕경'과 많은 차이가 있다. 그 외에도 전사(傳寫)의 오류, 주문(注文)의 경문화, 문장의 세련화 등 많은 차이점들이 발견된다.
이상과 같은 여러 차이점들을 비교 분석해 볼 때, 현행 '도덕경'은 어느 한 시기에 한 사람의 저자에 의해 만들어진 문헌으로 보기 힘들다. 다시 말해 '사기'에 기록된 것처럼 춘추시대 말기에 살았던 노자가 함곡관의 수문장 윤희에게 남긴 그 문헌으로 보기 힘들다는 말이다. 그러면 현재 우리가 읽는 '도덕경'은 언제 어떤 과정을 통해 만들어졌을까? 현행본과 같은 형태의 '도덕경'의 성립을 어떻게 이해해야할까? 그것은 아마도 ‘흐름’의 형태로 이해하는 게 보다 합리적일 것 같다. 산골짜기의 작은 샘에서 가느다란 물줄기가 생겨나고, 여러 물줄기들이 흘러 내려 시냇물을 이루며, 시냇물들이 모이고 모여 결국 큰 강과 바다를 이루듯이, '도덕경'의 성립도 아마 그런 과정들을 거쳤을 것이다. 초기에 어떤 조야하고 소박한 형태의 '도덕경'이 있었을 것이다. 그 초기의 '도덕경'은 어쩌면 '사기'에서 언급하는 그 노자가 남긴 책의 일부일 수도 있다. 시간이 흐르고 시대가 변함에 따라 그것은 조금씩 변화 발전해 왔을 것이고, 그 과정 속에서 개조·추가·세련화 등과 같은 다양한 현상들이 나타났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 발전의 과정은 전국 말기나 한대 초기에 마무리되어 현행 '도덕경'과 거의 비슷한 형태의 책이 완성되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노자: 삶의 기술, 늙은이의 노래>, 김홍경, 들녘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7.09.21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45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