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D형 대중문화의 이해 04, 대중문화와 지배 이데올로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D형 대중문화의 이해 04, 대중문화와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본론: 요약 및 추가 설명

1, 마르크스주의 문화론
2,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문화 이론
3, 발터 벤야민의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
4, 구조주의와 후기 구조주의
5, 포스트구조주의(Post-S tructuralism)의 개념 및 특징 6, 알튀세르의 주체구성론

결론: 감상 및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 구조의 실존조건이기도 하다. 이것은 마르크스가 이미 언급한 원리 자체로부터 도출된다. 즉, 사회가 없다면, 다시 말해 사회적 관계들이 없다면 생산은 어디에도 존재할 수 없다는 것, 그 너머로는 더 이상 거슬러 올라갈 수 없는 통일체는 그 속에서 생산 자체가 분명 생산관계의 실존조건이지만, 생산 또한 자신의 형식인 생산관계를 자신의 실존조건으로 갖는 그러한 통일체라는 것이 바로 그 원리이다. 여기서 오해가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즉, 이러한 ‘모순들’이 서로의 존재를 조건 짓는 것은 모순들과, 그 모순들 위에 군림하는 지배심리를 갖는 구조(이 경우, 최종심에서 경제의 결정)를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결론
대중 예술에 대한 정치 사회적 논의는 마르크시즘에 기초하여 문화 산업의 자본주의이데올로기를 비판한 프랑크푸르트학파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마르크스주의는 문화에 대해 이차적인 관심을 가질 뿐이며 문화의 핵심인 의식을 물질적 여건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으로 보는 유물론이다. 문화는 경제 구조를 투영하는 상부 구조에 불과하며 특히, 실제 경제 구조를 그대로 반영하지 않는 문화는 허위의식이요, 이데올로기라고 비판한다. 프랑크푸르트학파는 '프랑크푸르트 대학 사회연구소'와 관련된 일련의 독일 지식인들을 지칭하는데 '비판이론'은 이 기관이 행했던 마르크스주의와 심리 분석 양자의 비판적 혼합에 붙여진 이름이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문화 산업 비판은 앞서 본 심미적 관점에서의 비판에 정치, 사회적 함축을 더한 것이다. 이 학파는 마르크스주의의 정치, 경제적 분석을 통해 문화 연구를 본격화시켰다. 이를 통해 정통 마르크시즘과 달리 문화가 사회 형성과 변혁에 경제만큼이나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물론 이 학파 역시 심미적 관점에서의 비판과 마찬가지로 대중 예술에 대해 일방적인 엘리트주의이며 부정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그리고 또 다른 통찰은 문화산업이 예술과 문화를 경제에 예속시키고 있음을 간파한 것이다. 특히 산업 구조 속에서 효율과 상업적 이익을 내는 것을 우선으로 하는 문화산업과 대중 예술의 문제는 다양한 창조성의 발휘를 불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즉 인간성의 중요한 요소인 다양성과 창조성을 산업 논리의 걸림돌로 생각할 가능성이 크다. 가장 인간적이며 자율적이어야 할 예술 영역이 자본주의 산업 구조에 흡수되고 지배받는 문제가 생긴다는 것이다. 대중 예술이 형식화되고 표준화되어 창조성을 상실한다는 점에 대한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비판은 심미적 관점에서의 비판과 흡사하다.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연구들은 대부분 막스 호르크하이머와 테오도르 아도르노의 저술들과 연관되어 있다. 1947년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는 대량 문화의 생산물과 생산 과정을 말하면서 '문화산업'이라는 용어를 고안해냈다. 문화산업은 무엇보다도 두가지 산물들을 생산해낸다.
첫째, 문화적 동질성으로 '영화, 라디오, 잡지들은 전체적으로나 부분적으로나 동일한 성질로 이루어져 있으며,결국 모든 대량 문화는 동일하다.'는 것이다.
둘째는, 형식적 도식성으로 인한 예측 가능성이다. 예를 들어 우리는 영화나 드라마가 시작되면 그 끝이 어떨지, 누가 행복한 종말을 맞을지에 관해 분명해진다. 대중음악에서도 히트곡들의 첫 음을 듣는 것만으로도 그 뒤에 올 음을 예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놀드와 리비스주의자들이 대중 예술이 문화적, 사회적 권위에 위협을 가한다고 염려한 반면, 프랑크푸르트학파는 오히려 그 반대로 대중 예술이 사회 권위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였다. 아놀드와 리비스가 대중 예술에서 '무정부'를 보았다면, 프랑크푸르트학파는 '순응'을 보았던 것이다.
참고문헌
대중문화의 이해 김창남 한울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7.09.21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45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