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기능식품 현황과 문제점 및 건강기능식품 발전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강기능식품 현황과 문제점 및 건강기능식품 발전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건강기능식품의 관심 증가

2. 건강기능식품 개념

3.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1) 기능성 개념
2) 기능성 종류

4. 건강기능식품 관련 표시제도
1) 건강기능식품 표시
2) 표시.광고 사전 심의필 표시
3)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GMP) 인증 표시

5. 건강기능식품 관련 정책

6. 건강기능식품 현황 및 문제점
1) 건강기능식품의 현황
2) 건강기능식품 문제점

7. 건강기능식품 개선 및 발전방안

< 참고자료 >

본문내용

율은 전문제조업 대비 GMP업체 비율임
(자료: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2017)
⑤ 연도별 GMP업체 매출현황
< 연도별 GMP업체 매출현황 > (단위 : 억원)
연도
전체 매출액
GMP업체 매출액
비율(%)
2012
14,091
12,966
92.0
2013
14,820
13,560
91.5
2014
16,310
14,616
89.6
2015
18,230
16,751
91.9
2016
21,260
19,768
93.0
(자료: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2017)
2) 건강기능식품 문제점
① 건강기능식품 등을 판매하는 TV홈쇼핑과 같은 일부 사업자의 허위·과장광고는 소비자 피해를 확대시키기도 한다.
- 최근 5년간 허위과대광고로 적발된 1,016건 중 58%(592건)가 질병치료 및 의약품 오인 혼동이 원인이다(‘16 아시아경제).
② 10명 중 9명은 복용 경험이 있지만, 효과를 제대로 알고 먹는 사람은 20%도 안 된다는 것도 문제다.
- 건강기능식품 구매 시에도 의사나 약사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아니라 지인이나 인터넷 경험담에 의지하는 비율이 44% 정도다.
- 2014년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추정사례 신고건수는 1,733건으로 2013년(136건)에 비해 10배 이상 급증(‘15 식품안전정보원)하고 있다. 김금숙 외(2016)「건강기능식품 바루기」농촌진흥청
7. 건강기능식품 개선 및 발전방안
① 건강기능식품 교육·강화
건강기능식품 바로 알기 공익 캠페인 실시해야 한다. 예를 들면, 현재 소비자단체를 통해 실시하고 있는 어르신 등 취약계층 대상 교육을 대폭 확대할 수 있고, 반상회 등을 통해 건강기능식품 허위·광고 포상제 공지하는 방안 등을 마련할 수 있겠다.
② 건강기능식품 원료 관리 및 감독 강화 필요
생산부터 시작해서 유통판매 전 단계에 걸쳐서 체계적인 원료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건강기능식품 원료 관리 및 감독 강화해야 할 것이다.
③ 기능성 인정 및 광고 사전심의 등의 규제 개선
- 개별인정형 인증에 대한 투명성이 필요하며, 국가적으로 일관되고 지속적인 관심과 의지가 필요하다.
-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정보의 양이 제한적이고 획일화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보다 다양한 제품 정보를 소비자에게 할 수 있는 표시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 원료 및 제품에 포함된 성분에 대한 기능성 표시 활성화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안토시아닌 또는 폴리페놀 성분은 항산화 효과가 있다는 표시 정도는 가능해야 한다(양성범 외, 2016).
④ 미래사회를 예측한 상품개발 전략이 필수
- 개인별 유전적 특성에 따라 식품 반영이 달리 나타나므로 식품과 의학, 생명공학, IT기술이 융복합된 상품개발 플랫폼 개발이 중요하다.
- 고령화 사회가 심화될수록 웰빙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점차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수요는 급증할 전망이므로 지자체와 지역소재 대학, 중소업체 그리고 국가연구기관이 힘을 합쳐 다양성에 대한 니즈를 해소하는 식품 개발이 필요하다(김금숙 외, 2016).
⑤ 수출 활성화를 위한 방안
- 해외에 홍보 가능한 국내 건강기능식품 대표 브랜드 개발과 해외 주요국의 인허가 획득을 통해 우리나라 건강기능식품의 해외진출에 기여할 수 있다. 해외 진출 대상국가에 대한 시장매력도, 진입 가능성, 운용 용이성 등을 고려한 평가가 필요하다.
- 각국 시장에 대한 소비특성 및 식문화, 건강기능식품 시장현황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D/B화하여 업체의 특정 국가에 대한 정보 수요에 따라 각 업체에 제공할 수 있다. 수출대상 주력시장을 선정하여 해당 국가 소비자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중국 같은 해외 시장을 목표로 수요자 중심의 제품개발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우리 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은 소비자 중심의 제품 다양화와 유통 경로 표준화 및 정비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 필요하다.
【 참고자료 】
김금숙,최두진,윤지혜,이승은,이대영,이영섭,박춘근,김형돈,박찬흠,안영섭(2016)「건강기능식품 바루기」농촌진흥청
양성범,김호,김지영,윤성원,이숙종,김지훈,석다솜,이상윤(2016)「기능성식품산업 육성방안」단국대학교 식품안전정보원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2016)「건강기능식품 시장 동향」S&T Market Report vol.41
윤철경(2004)「건강 기능 식품 알고 먹자」모아북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2016)「2016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허석현,양주홍,하혜진,강은주,장문정(2009)「건강기능식품학개론」효일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02.12
  • 저작시기201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56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