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세미나] 산후 우울증의 개념 분석 (Postpartum depression) [산후 우울 개념 산후 우울 원인 산후 우울 진행단계 산후 우울 치료방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세미나] 산후 우울증의 개념 분석 (Postpartum depression) [산후 우울 개념 산후 우울 원인 산후 우울 진행단계 산후 우울 치료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산후우울의 개념
1. 사전적 정의 2. 산후 정서 장애의 범위 3. 논문에서 나타난 산후 우울증의 개념
4. 산후 우울증의 특징
5. 산후 우울의 초기예측 사정 도구
6. DSM-Ⅳ의 산후우울증 진단형태
Ⅱ. 산후 우울의 원인
Ⅲ. 산후 우울의 진행단계
Ⅳ. 우울증의 치료방법
1. 심리치료
2. 약물치료
3. 전기충격요법
4. 광선치료
5. 향기요법
6. 대체-보완요법
Ⅴ. 산후우울 측정도구
1. EPDS
2. 한국판 CES-D
3. BDI
4. 상태-특성 불안척도
Ⅵ. 선행연구
1. 선행연구의 경향
2. 연구의 예

참고문헌

본문내용

감소하는 것으로 밝힘
송선영, 2000
아동관련 요인(성별, 아동의 건강상태, 기질적인 측면), 모 관련 요인(모의 출산연령, 모의 성격, 출산력, 유산경험의 유무, 산전교육의 유무), 환경적 요인(출생 시 경제적 수준, 가족형태, 고부관계, 부부관계, 아이 출생에 대한 남편의 태도, 육아에 대한 도움)으로 나누어서 각 요인에 따른 산후 우울 정도를 밝힘
양미선, 2000
배우자의 산후 정서적 변화에 대한 이해와 정서적 신체적 짖는 자녀의 출산한 어머니의 산후 우울과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밝혔고 산후 우울에 대한 조기진단 및 치료, 산후 우울 예방을 위한 산전 산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됨을 제언함
전지아, 1990
산후 스트레스와 산후 우울 간의 상관이 유의함과 산후 스트레스는 양육, 분만, 아기 성별에 대한 검증 결과 양육스트레스만이 유의함을 밝힘
전미애, 2002
산후운동 프로그램으로 산모의 신체조정이 이루어지고 우울증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밝힘
윤영전, 1999
「향기요법」, 스트레스를 받는 각 가정, 불안정한 사회, 융합되지 못한 단체 등에도 식물을 적용시켜야 한다.
2) 연구의 예
Bozoky, I.,& Corwin, E.(2002). Fatigue as a predictor of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1(4), 436-443.
(산욕기 우울증의 예측인자로서의 피로)
갓 출산을 마친 여성은 새로운 삶의 방식이나 가족관계, 새로운 의존적인 관리 요구와 다양한 새로운 역할에 아무 문제 없이 적응할 거라고 생각되지만, 많은 여성의 경우에 이런 급격한 변화는 그렇게 빨리 적응되지 않는다. 대신 초기 아기 관리는 산모의 피로를 유발한다. 연구의 목적은 초기 산욕기에 피로가 산욕기 우울증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38명의 건강한 자연분만을 한 여성이 병원에서 샘플로 취해졌다. 결과 도구는 modified fatigue symptom checklist(MFSC)와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ve Symptomatology Scale이었다. 여러 가지 비교 결과 피로와 4, 14, 28번째 날의 산욕기 우울증이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의 한계는 샘플이 비교적 작다는 것과 대부분이 백인 여성이었다는 것이다. 우울증의 종류도 PPD도 한정된 것은 아니었다.
임상적용
PPD는 산모가 엄마의 역할을 개발하는 데 방해가 될 수도 있다. 간호사들은 MFSC 같은 간단한 피로 스크린 방법을 이용하여 산모가 PPD의 위험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이것은 치료에 큰 효과가 있다. 많은 PPD를 경험하고 있는 여성들이 병인지도 모르는 경우도 있고, 전문 의사나 가족들의 상담을 받지 않는 경우도 많다. 산모가 6주 후에 병원에 되돌아올 때 우울증이 이미 상당히 발달되었거나 간과되는 경우도 있다. PPD는 일찍 발견할수록 치료가 쉬워진다. 간호사는 7일과 14일에 전화를 통해 스크린 할 수 있고 소아과 간호사들은 2주 아기 방문 때 스크린 할 수도 있다(Bozoky & Corwin, 2002).
참고문헌
유은광 외(2005). 모성 여성 건강간호학Ⅱ. 현문사. pp.428-443.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06).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p.921-930.
이광자 외(2006).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배정이(1999). 산모의 산후우울 간호관리를 위한 멀티미디어 재택관리 시스템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29(1). 9-20.
이병관(1982). 산후 정신장애에 대한 임상적 고찰. 신경정신의학, 21(4), 579-586.
이정균, 김용식(2000). 정신의학. 서울: 일조각. pp.300-301.
최보문, 최수호(1981). 산후 정신병의 임상적 고찰. 신경정신의학. 20(2), 121-125.
최의순, 오정아(2000). 산욕기 산모의 산후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6(3), 358-371.
김지양(2004). 산후 우울을 예측하는 심리적 요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정(2003). 향기요법이 산후 우울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안옥심(2004). 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산욕기 산모의 산후 우울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재원 외(2004). 산후 우울 증상과 연관된 심리사회적, 산과적 변인에 대한 연구. 대한산부회지. 47(10), 1865-1871.
김분한, 전헤원, 정연(2002). 분만 여성의 산후 우울과 신체상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2(6), 906-916.
배정아(2002). 산후 우울의 이론적 모형 구축. 정신간호학회지. 11(4), 572-587.
김증임(2006). 한국판 에딘버러 산후우울측정도구의 타당성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2(3), 204-209.
Bozoky, I.,& Corwin, E.(2002). Fatigue as a predictor of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1(4), 436-443.
Beck, C(2002). Revision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Predictors inventory.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1(4), 394-402; Beck, C(2001).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An update. Nursing Research, 50(5), 275-282.
Landy S. Montgomery L. walsh S.(1989), postpartum depression. A clinical view, Matern, child Nurs, J. 18(1), 1-29.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8.04.19
  • 저작시기201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32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