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학습의 과제와 발전 방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수 학습의 과제와 발전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한국어 교수법 연구의 전제
2.1. 한국어 교육학의 성격
2.2. 한국어 교수법 연구의 위상

3. 외국어 교수법의 종류와 특징
3.1. 문법번역식 교수법(Grammar-Translation Method)
3.2. 직접 교수법(The Direct Method)
3.3. 청각구두식 교수법(The Audiolingual Method)
3.4. 인지주의적 접근법(The Cognitive Approach)
3.5. 침묵식 교수법(Silent Way)
3.6. 전신 반응법(Total Physical Response)
3.7. 자연적 접근법(Natural Approach)
3.8. 의사소통적 접근법(Communicative Approach)

4. 한국어 교수 학습의 과제

5. 미래 지향적 교수법의 모색
5.1. 일반 목적을 위한 한국어 교수 학습에 대한 교수법 모색
5.2. 특수 목적을 위한 한국어 교수 학습에 대한 교수법 모색
5.3. 문화교육이 병행될 수 있는 한국어 교수법의 개발

6.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니라, 학습자의 진정한 목표 요구(target needs)는 무엇이며 학습 요구(learning needs)는 무엇인가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간의 연구들을 보면 학습자의 요구분석 역시 교수자 입장에서 교수법을 선택하고 교수 내용을 선정하고 배열하기 위해 수행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교수의 측면에서 학습자가 목표 상황에서 적절하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학습자가 알아야 하는 것(necessities)과 필요한 것들 중 보충해야 할 점들(lacks)이 면밀히 파악되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의 측면에서는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원하는 것들에 대해서 개별 학습자의 입장에 따라 구별되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야 제대로 된 요구 분석이 될 것이고 이 결과가 교수법의 선택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학습 요구, 즉 언어항목, 기술, 전략 등을 어떻게 학습하고 있는지를 구별하여 파악해야 앞서의 학습목적에 맞는 교육과정이나 교수요목의 설계, 교재의 개발 및 그에 따른 교수법이 선택되고 개발되고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문화교육의 방법론의 개발 역시 앞에서 말한 바대로 의사소통 능력의 배양이 한국어교육의 목표가 되고 이를 위해 다양한 유형의 과제가 개발되어야 하는데 이때 과제는 실제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이들 과제구성의 바탕은 한국의 공시적, 통시적 문화를 기반으로 할 수밖에 없고, 지식이 아닌 능력으로 획득될 수 있도록 문화교육 역시 연계되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의 문화교육 방법론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참 고 문 헌
강사희(199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법: 성인 학습자를 위한 새 방향. 말 2324. 연 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강승혜(1999). 학습자 중심 교수전략의 모색을 위한 검토. 이중언어학 16. 이중언어학 회.
강승혜(2003).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분석. 한 국어교육 14-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고영근(197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 대한 연구. 언어교육 6-1. 서울대 어학연구 소.
곽상흔(1994). TASK 개념을 기초로 한 듣기 말하기 수업연계 방안. 한국말교육 5권.
구민숙(2001).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교재구성을 중심으로-. 경 희대학교 석사논문.
권미정(2001). 교사와 학습자의 학습 방법 선호도 비교. 한국어교육 12-2.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권순희(2002). 수업 분석을 통한 한국어 교수법 연구. 선청어문 30. 서울대 국어교육과.
김미옥(1998). 인지양식을 고려한 한국어 교수 학습-장 독립성과 장 의존성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영기(199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이론적 배경. 효과적 교수법과 교재 개발. 교 육한글 4. 한글학회.
김영만(1999). 한국어 교수 학습 개선 방안. 이중언어학 16. 이중언어학회.
김영순임지룡(2002). 몸짓 의사소통적 한국어 교수법 모형. 이중언어학 20. 이중언어학 회.
김정숙원진숙(199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반성과 새로운 연구 방법의 모색. 의 사소통 능력 계발을 위한 통합 교육론 중심으로. 어문론집 31. 고려대학교 국어 국문학연구회.
김정숙(1998).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교육 방법론. 한국어교육 제9권 1호. 국 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숙(1999). 담회 능력 배양을 위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한국어교 육 제12권 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숙(2002). 한국어 교수요목의 설계와 교재 구성. 박영순 편. 21세기 한국어교육학 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김중섭(2001). 기록과 관찰을 통한 한국어 교수법 개선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노대규(196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에 있어서 연습유형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박갑수(1999). 한국어교육의 과제와 전망. 국어교육연구 6.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박미경(1994). 한국어 듣기 수업에 있어서 과제 해결적 접근. 한국말교육 5권.
방성원(2000). 통합 교수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한국어교육 제11권 2호.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백봉자(2001). 교재와 교수법을 통해 본 한국어교육의 역사와 과제.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교육 2526.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백봉자(200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법의 현재와 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12차 국제학술대회 발표 요지집.
신현숙(2002). 한국어 대화의 교수모형: 질문과 응답. 한국어교육 13-2. 국제한국어교 육학회.
안경화김정화최은규(2000).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하여. 한국 어 교육 제11권 1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윤여탁(2001).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의 제문제. 국어교육연구 8. 서울대 국 어 교육연구소.
윤희원(2006).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론의 모색.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이성은(1999). 협력학습 전략을 활용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수법. 이중언어학 16. 이중언어학회.
이해영(2004). 학문 목적 한국어 교과과정 설계연구. 한국어교육 15-1. 국제한국어교육 학회.
정명숙(2003). ‘비즈니스 한국어’의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연구. 한국어교육 14-2.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최용재(197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조선대학교 박사논문.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1998).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교수요목 개발에 관한 기 초 연구. 한국어세계화추진을 위한 기반구축사업 1차년도 결과 보고서. 문화관광 부.
홍경표(198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 개선에 관한 일 조사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Fouser, R.(1997). Toward a New Paradian in Korean Language Teaching. 한국어 교육 8. 국제한국어교육학회.
Sohn, Ho-Min(200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수법의 미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 법의 현재와 미래.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12차 국제학술대회 요지집.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8.08.06
  • 저작시기201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99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