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 평가의 연구사와 변천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 교육 평가의 연구사와 변천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연도별 한국어교육 평가 관련 논저 목록

3. 유형별 고찰

3. 1 한국어교육 평가 일반

3. 2 숙달도 평가와 한국어능력시험

3. 3 성취도 평가와 배치 평가

3. 4 영역별 평가

3. 5 외국의 한국어 평가

3. 6 기타 평가

4. 맺음말

본문내용

험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이 계속 지적되어 왔다.
4) 앞으로 쓰기 영역 문제 유형이 서술형, 논술형으로 개편을 한다면 채점자 신뢰도를 고려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철저한 채점 척도 제시와 그것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훈련 과정인 표준화 과정(standardization process)을 통해 채점의 일관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TOEFL에서 실시하는 쓰기 채점 방법을 예로 들면, 총 배점은 6점으로 문법과 합산해서 계산되는데 총점의 1/10에 해당한다. 두 명의 채점관이 전체적인 채점(holistic grading)방식의 채점 기준에 따라 채점을 하며, 두 명의 채점관이 평가한 점수가 서로 1점 이상 차이가 나면 제3의 채점관이 채점하거나 두 채점관의 점수를 평균해서 점수를 준다.
5) 등급별 어휘 수와 어휘 목록, 문법 목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성취도 평가와 배치 평가, 영역별 평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언어 수행평가로 이루어지는 말하기, 쓰기의 채점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에는 채점 척도 및 채점 방법 채점 척도 및 방법에 대해서는 김유정(1999), 이영식(2004)에서 시안이 제시되기도 한다.
, 학습자 피드백 등이 포함된다.
넷째, 학습자의 목적에 따라 선택이 가능한 다양한 평가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다섯째, 컴퓨터를 활용한 평가 방식이 연구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강명순ㆍ이미혜ㆍ이정희ㆍ정희정(1999), 한국어 듣기 능력 평가 방안, 한국어교육 10-2호.
강승혜ㆍ강명순ㆍ이영식ㆍ이원경ㆍ장은아(2005), ‘한국어교육 총서 4: 한국어 평가론’ 개발 최종 보고서, 문화관광부ㆍ한국어세계화재단.
강은아(2002), 한국어능력시험 초급단계의 어휘ㆍ문법영역 문항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논문.
강현화(1999), SAT2의 한국어시험에 대한 분석. 한국어교육 10-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고우리(2004), 한국어 어휘ㆍ문법 숙달도 평가 방안 연구: 한국어능력시험 1, 2급 문항 분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공일주(1993), 한국어 숙달 지침과 말하기 능력 측정에 대하여, 교육한글 6, 한글학회.
國家漢語水平考試委員會辨公室 編(1999), 漢語水平考試大綱, 북경어연
김광해(2002), 한국에서의 한국어 평가: 한국어능력시험(KPT: Korean Proficiency Test), 국어교육연구 10,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김덕기(1996), 영어 교육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김민경(2002), 한국어능력평가 분석 및 대안: 초급 평가를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석사논문.
김양원(1994),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김영아(1996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 평가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김영아(1996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평가, 이중언어학 13, 이중언어학회.
김왕규 외(2002), 한국어능력시험의 평가 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김유정(1999), 한국어 능력 평가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김유정(2001), 한국어 쓰기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 13, 한국어학회.
김유정(200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 평가론, 박영순 편,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김유정ㆍ방성원ㆍ이미혜ㆍ조현선ㆍ최은규(1998),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 연구: 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9-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재덕(1988), 청해 능력과 발화 능력의 시험과 평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김정숙(1992),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김정숙(2002), 한국어 교수요목설계와 교재구성,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김정숙, 원진숙(1993),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 이중언어학 10, 이중언어학회.
김정숙ㆍ정구향ㆍ최은규ㆍ김유정ㆍ곽숙영(2005), 한국어능력시험의 등급 부여 방식 및 평가문항 유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김정숙ㆍ최은규ㆍ김유정(2005), 한국어능력시험의 개선 방안 연구(Ⅰ), 한국어교육 16-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중섭(1998), 한국어 능력평가검사의 개발 실태 및 분석, 이중언어학 15, 이중언어학회.
김중섭(1999),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방법, 국어교육연구 제6집,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연구소.
김하수ㆍ박영순ㆍ백봉자ㆍ윤희원ㆍ서상규ㆍ김정숙ㆍ이다미(1996), 한국어 능력 검정 제도의 실시를 위한 기본 연구에 관한 최종 연구 보고서, 교육부 학술연구 조성비 지원에 관한 연구 과제.
김하수ㆍ윤희원ㆍ서상규ㆍ황지하ㆍ원진숙ㆍ조항록ㆍ진기호(1997), ‘한국어 능력 평가 제도의 기본 모형 개발’에 관한 최종 연구 보고서, 교육부 학술 연구 조성비(교육 정책 특별 과제) 지원에 의한 연구 과제.
김호응(2002), 중국 조선어문시험 평가 방식의 실태와 특성:《2002년 보통고등학교초생 전국통일고시조선어문》(길림성전용)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10,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남명호ㆍ양태식ㆍ이영숙ㆍ원효현(2000), 한국어능력시험 등급 기준 조성 및 문제은행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남명호ㆍ이인제ㆍ김정숙ㆍ박정ㆍ김왕규(1999), 한국어능력시험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노대규(198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시험과 평가, 이중언어학 1, 이중언어학회.
묘춘매(2002),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평가, 국어교육연구 10,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문애리(2000), SATⅡ 한국어의 현황과 문제점, 국어교육연구 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민병곤(1996), 고등학교 국어과 말하기 평가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석사학위 논문.
민현식(2002ㄱ), 언어교육과정의 구성요소와 교수요목(syllabus)의 유형, 21세기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민현식(2002ㄴ), 한국인의 국어 능력 실태, 새국어생활 제9권 2호, 국립국어연구원.
민현식(2004), 한국어 표준교육과정 기술 방안, 한국어교육 제15-1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가격1,6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8.08.06
  • 저작시기201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00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