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로서의 여행 관광”의 3절 “현대관광의 발전 요인”(62-65쪽)에 보면 서비스 투어리즘에 대한 논의가 나옵니다 - 푸드투어리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취미로서의 여행 관광”의 3절 “현대관광의 발전 요인”(62-65쪽)에 보면 서비스 투어리즘에 대한 논의가 나옵니다 - 푸드투어리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본론
1, 음식 관광의 이론적 배경
2, 우리나라 푸드 투어리즘의 실태
1) 국내 음식 축제의 실태
2) 전통주제 마을의 음식 관광 실태
3) 음식 관광의 경제적 효과
3, 순창고추장의 지역 브랜드 경제적 효과
가. 순창고추장민속마을
나. 순창고추장 장류 사업의 경제적 효과
다. 광주 김치 축제의 경제적 효과
4, 향토 먹거리와 음식 관광 1) 향토 먹거리(local food)의 정의 및 효과
2) 우리나라 향토음식 비즈니스 현황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109억 원, 취업 유발효과 741명으로 나타났다.
4, 향토 먹거리와 음식 관광 1) 향토 먹거리(local food)의 정의 및 효과
“지역 내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지역 내에서 소비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만들어 내고자 하는 향토 혹은 지역 먹거리(전통 먹을거리) 운동”을 "로컬 푸드"라고 정의(윤병선, 2008년)하였으며, 산업화한 먹을거리에 대한 반발로 제기되었으며, 생산과정이나 유통과정이 투명하지 않은 정체불명의 먹을거리, 유전자 조작 식품, 생산과 수송과정에서의 농약과 방부제사용 등 나쁜 먹을거리는 소비자를 불안하게 한다. 이에 대응하여 지역에서 생산된 먹을거리를 소비하자는 운동이 전통 먹을거리 운동이다. 많은 사람은 로컬의 범위를 50km 이내에 생산되는 먹을거리라고 규정한다. 국토 면적이 넓은 캐나다는 150km, 영국 런던의 경우는 150km로, 미국은 하루 운전 거리인 240km로 보는 사람이 있으나, 물리적 공간적 거리보다는 제철농산물이라는 측면에서 시간적 거리도 중요하고, 또 생산자와 소비자 간에 중간상이 없어야 한다고 보는 측면에서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거래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또 생산된 농산물이 소비자에게 이동하는 과정에 많은 화석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인지, 또한 물리적으로 가깝다 하더라도 커피 등에서와 같이 수확 과정에서 노동의 착취 등 도덕적 거리도 중요하며, 유전자 변형도 하지 않고 대기업에 종속되지도 않아야 한다. 향토 먹거리 비즈니스(전통 먹을거리 비즈니스)의 효과인 경제적 측면은 지역사회의 유지발전, 농민들의 안정적 생활, 지역경제의 다양화, 대안시장의 창조 등을 들 수 있으며, 사회적 측면은 지역 내의 관계의 복원, 신뢰의 구축을 가져오며, 생태적 측면은 외부자원에 대한 의존감소, 지역 내 자원에 대한 의존증대와 자원의 절약 등을 들 수 있다. 도시가계의 식품 소비 지출액 가운데 가공식품과 외식비의 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수입농산물의 증대로 농가 소득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농산물 소비증가의 계기로 “전통 먹을거리 비즈니스” 운동을 활성화하는 방안의 강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2) 우리나라 향토음식 비즈니스 현황
매출 규모별로는 3억 원 미만 업체가 251개소로 전체의 43.8%를 차지하고 있으며, 10억 원 매출업체는 178개소로 31.1%에 불과하나 매출액은 7,371억 원으로 87.3%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2001년에 3억 원 미만의 매출액을 기록한 업체 비율 51.2%보다 7.4% 하락한 수치이며, 반면 10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업체의 비중은 22.9%보다 1.2% 상승하였다(농림부농수산물유통공사, 2006년).가동업체의 영업 손익 현황을 보면, 573개소 중 88.0%인 504업체가 1,440억 원의 흑자를 냈지만, 69업체는 96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를 사업별로 보면 전통식품 개발 사업에 참여한 업체의 영업이익률은 19.3%로 산지 일반가공사업 참여업체의 영업이익률 13.1%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1년~2005년 동안의 영업이익률은 19.3%로 산지 일반가공사업 참여업체의 영업이익률 13.1%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1년~2005년 동안의 영업 이익률을 보면, 전통식품개발업체가 16.1%-19.5%로 산지 일반가공업체의 12.9%-14.1%보다 다소 높은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농림부농수산물유통공사, 2006년). 이상의 우리나라 향토음식 비즈니스 현황에서 살펴보듯이, 비즈니스 개념을 고려한 음식 관광 상품화는 단순한 생산이나 가공 등 어느 한 부분의 경제행위만이 아니라 같은 또는 유사한 종류의 생산적인 경제활동에 주로 종사하는 모든 생산단위의 집합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향토자원의 비즈니스화, 즉 음식 관광의 요소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상품의 생산과 유통, 소비가 이루어지는 전 과정에서 경제적 타당성이 있어야 성립할 수 있다. 특히 발전단계로 보면, 잠재적 가치를 가진 단순한 자원 상태에서 연구개발 등을 통해 산업적 이용이 가능한 향토 지적재산으로, 그 후 경영관리와 기능적 체계를 확립하고 권리화하여 산업적 가치사슬이 형성되면 비로소 향토 산업으로 자리 잡게 되며, 이를 음식 관광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향토자원인 향토음식이 음식 관광과의 차별화는 음식 관광은 지역성과 전통성으로 규명되는 향토성이 비즈니스의 자원이나 생산과정, 산출물의 성격을 기초로 상품화 또는 산업화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지역 내 동종 업체들이 집단화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음식 관광의 요소로서 향토음식은 자원으로 판단하는 잣대의 역할을 하며, 어떤 특성을 중시하냐에 따라 음식 관광의 자원으로 정책대상으로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결론
인간의 생활 중 가장 큰 몫을 차지해온 것이 음식이다. 최근에 와서 그 상대적 비중이 약간 낮아지긴 하였지만 250-300만 년의 오랜 인류 역사를 통해 사람들은 일상 활동의 대부분을 이 음식의 획득, 운반, 저장, 조리 등에 할애해 왔다. 그 결과 우리들의 인류는 언제부터 무엇을 어떻게 먹어 왔을까? 그리고 얼마만큼 어떻게 먹어야 건강할까? 지역에 따라 먹는 음식이 왜 다르며, 또 왜 그러한 방식으로 먹고 있을까? 하는 것들이 다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었고, 또한 앞으로도 계속 연구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인간이 최초로 집을 떠나 상행위를 하고, 탐험하고, 전쟁하고, 방문을 하려는 이동 등으로 인간에게는 먹고 쉬는 장소가 필요하였던 것이라면 여행과 식사와의 관계는 공존의 것이 아닐 수 없다(오정환,1991년). 위의 언급에서 보듯이 인간이 여행하면서 필수적으로 취해야 하는 행위는 음식을 먹는 것이다. 현대와 같이 교통수단이 발달하고 국제간의 관광과 교역이 성행하는 시대에는 식사를 하나의 무역으로 발전시켜야만 국가 경제의 부에 일익을 담당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음식 관광 활성화 방안을 통하여 국가경제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음식의 현안 및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함으로서 활성화 방안을 마련토록 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취미와예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가격4,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8.10.02
  • 저작시기201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43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