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연구] 김시습과 금오신화 연구 - 작품설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학연구] 김시습과 금오신화 연구 - 작품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매월당 김시습
1) 사회적 배경
2) 생애
2. 『금오신화』작품 설명
1) 만복사저포기
2) 이생규장전
3) 취유부벽정기
4) 남염부주지
5) 용궁부연록
3. 감상과 문학사적 의의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잘하여 널리 이름이 알려져 있는 사람이었다. 어느 날 용왕의 초대를 받게 되었는데, 이는 딸이 혼례를 치르고 기거할 누각의 상량문(上梁文)을 지어달라고 부탁하기 위함이었다. 한생은 용왕을 위해 상량문을 지어주고 연회를 즐기며 용궁을 구경한다. 한생은 야광주 두 알과 희 비단 두 필을 선물 받고 지상으로 돌아와 명산으로 들어간다.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은 『수궁경회록(水宮慶會錄)』과 마찬가지로 물속이라는 다른 차원의 세계를 여행한다. 두 인물 모두 용왕의 부탁으로 상량문을 지어주고 현세로 돌아와 인생무상을 느껴 산으로 들어간다. 이처럼 두 작품은 구성적인 측면이나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
『용궁부연록』은 단순히 물속을 체험하는 이야기로 보이지만, 이에 따른 여러 해석이 있다. 김시습이 어릴 적 뛰어난 글 솜씨로 세종대왕의 은총을 받아 비단을 받은 적이 있다. 이에 미루어 볼 때 한생은 김시습, 용왕은 세종대왕이, 한생이 하사받은 비단은 세종이 김시습에게 상으로 주신 비단이라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그가 어릴 적 궁에 초대받았던 일을 회상하며 이는 한낱 꿈같다고 여기는 것으로 보인다. 한생이 용궁에 다녀온 후 세상에 회의감을 느껴 산으로 들어갔듯이 김시습도 산에 들어가 중이 되었다. 이처럼 김시습은 세상에 대한 무상감을 느꼈음을 짐작할 수 있다.
3. 감상과 문학사적 의의
『금오신화』를 읽고 연구하면서 이는 단순히 환상적인 소설이 아니라 작가의 이상이나 세계관을 표현하는 수단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김시습은 어릴 적부터 일찍이 전성기를 맞이하고 자라서 세상사에 대해 초월한 것 같다는 느낌도 받았다. 소설 속 대부분의 인물들이 속세를 떠나 산으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또, 그의 사상이 가장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남염부주지』가 그러했다. 이렇게 작품을 통해 그 당시의 사회상을 이해할 수 있으며 작가의 사상 또한 파악하다보니 고전문학 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히 와 닿았다. 김시습의 『금오신화』는 현대의 판타지 소설과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원한이 맺힌 여인과의 사랑, 다른 세계로부터의 초대 등은 현대 판타지 소설에서도 많이 쓰이는 소재이며 그 내용의 측면도 『금오신화』와 별반 다르지 않다. 예를 들어 『이생규장전』은 소설은 아니지만 1990년도의 영화 『사랑과 영혼』을 떠올리게 한다. 비록 우리나라의 영화는 아니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이 영화는 흥행을 했고, 이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익숙한 소재이며 사랑받는 이야기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고전의 문학인 『금오신화』는 현대 문학의 기초가 되며 여전히 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금오신화』가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전등신화』와 함께 비교하며 연구를 하니 김시습만의 특징이나 조선의 사회상을 파악하기가 더욱 쉬웠다.
『금오신화』는 고려시대의 설화 문학과 후대의 『홍길동전』과 같은 본격적인 소설과의 과도기적 위치에 있다. 때문에 고대의 설화나 가전체를 계승, 발전시키며 『홍길동전』과 같은 전기소설의 효시가 된다는 문학사적 의의가 있다. 또, 『금오신화』 속에서는 현실과 비현실의 양면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후대 작품의 근원설화가 되기도 한다. 인귀교환설화는 『양산백전』, 『숙영낭자전』 등에, 신선설화는 『삼자원종기』, 『김신선전』에, 그리고 용궁설화는 『심청전』과 『토끼전』 등에 수용되었다. 이처럼 『금오신화』는 후대 문학의 내용적인 측면이나 구조적인 측면에서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금오신화』는 새로운 인물상을 창조했다는 점으로 소설사척 위치를 입증받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생규장전』의 두 인물은 엄격한 유교사회에서도 자유연애를 하고 특히 최랑은 굳건한 의지와 기상을 지니고 있다. 또, 『남염부주지』에서는 지옥의 왕인 염마를 이상적인 왕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이전에는 생각할 수 없었던 파격적이고 독창적인 인물을 제시하면서 새로운 인물 유형을 제시하고 이를 후대에 전승하였다는 데에 문학사적 의의가 있다.
Ⅲ. 결론
앞서 『금오신화』의 다섯 작품을 살펴보며 김시습의 생애와 사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김시습의 파란만장한 인생은 작품 속 인물들의 대사에 반영되어 있으며, 그의 사상 역시 소설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또, 몽유적 구성을 통해 현실의 문제를 다룸으로써 당시의 사회상과 이념을 파악할 수 있다.
『만복사저포기』는 김시습의 불교와 도교 사상을 보여주었으며, 『이생규장전』은 아름답고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통해 고려 말의 역사적 상황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또 최랑 같은 새로운 인물상을 제시하였으며 『취유부벽정기』에서는 ‘계유정난’을 은근히 드러내기도 했다. 『남염부주지』에서는 그의 일원론적 세계관과 그가 생각하는 올바른 왕(王)의 모습을 제시하였고, 『용궁부연록』에서는 자신의 어릴 적을 회상하며 인생무상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위의 다섯 작품은 결국 김시습의 사상이 묘사되어 있는 집합체이자 상징이라고 볼 수 있다.
『금오신화』의 연구를 통해 작가의 이념이나 당시의 사회상, 현대 문학에 미친 영향까지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통해 고전문학의 연구가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깨닫게 한다. 고전문학은 아직까지도 현대문학의 형성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이를 연구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한다. 또 『전등신화』와의 비교연구가 『금오신화』만의 특성을 발견하는 데에 도움을 준 것처럼 비교연구의 필요성 역시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비교연구를 통해 고전문학을 탐구하면서 현대문학의 든든한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참고문헌
웹사이트
네이버캐스트-인물과 역사-세조, 정성희 외
두산백과
단행본
『고전소설 속 역사여행』, 신병주, 노대환, 개정증보판 2005, 돌베개
『한국의 한시4. 매월당 김시습』, 허경진, 1986, 평민사
『금오신화』, 김시습, 이지하 옮김, 2012, 민음사
『금오신화론, 한국고전소설론에서』, 한국고전소설 편찬위원회, 2005, 새문사
『금오신화 전등신화』, 김수연, 탁원정, 전진아, 2010, 미다스북스
논문
한릉, <『金鰲新話』와 『剪燈新話』의 作家意識 比較硏究>,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2
송기섭, <매월당 김시습의 시문학 연구>,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2.03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17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