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주기영양학3)성공적인 수유를 위한 수유부의 올바른 영양 및 식생활 관리 방법을 서술하시오 또한 ‘2015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을 참고하여 수유부의 영양소 섭취 기준을 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애주기영양학3)성공적인 수유를 위한 수유부의 올바른 영양 및 식생활 관리 방법을 서술하시오 또한 ‘2015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을 참고하여 수유부의 영양소 섭취 기준을 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모유수유의 중요성
3.모유의 장점
4.수유부의 올바른 영양 및 식생활 관리 방법
5.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6.수유부의 영양소 섭취 기준을 임신부의 영양소 섭취기준과 비교

본문내용

인 여자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아연 섭취기준량은 영아 0-5개월에서는 충분섭취량을, 영아 6개월 이상 모든 연령층에서는 평균필요량과 권장섭취량을, 그리고 1세 이상 모든 연령에 대해서는 상한섭취량도 설정하였다. 성인의 경우 1일 아연 손실량(위장관 손실량 + 위장관 이외 손실량)을 계산한 후, 식사의 아연 흡수율을 적용하여 평균필요량을 설정하였다. 성인 남자는 위장관 손실 34 μg/kg, 소변 및 기타 손실 14 μg/kg, 정액 손실 100 μg을 고려하면 1일 아연 손실량이 3.3 mg이고, 성인 여자는 월경 손실량 100 μg을 고려하면 1일 아연 손실량이 2.8 mg이다. 이 손실량에 우리나라 식사의 아연 흡수율 40%(Kim 등, 2004)를 적용하여 평균필요량을 설정하였고, 권장섭취량은 10%의 변이계수를 사용하여 평균필요량의 120%로 설정하였다. 임신부에게 필요한 아연의 권장섭취량은 임신기 모체와 태아의 아연 축적량을 고려하고 성인의 아연 흡수율과 동일한 흡수율(40%)을 적용하며 임신 분기별로 증가하는 아연의 요구량 중 임신 말기의 증가량에 가까운 2.5 mg을 부가하여 설정하였다. 수유부의 권장섭취량은 모유의 평균 아연 농도와 하루 평균 모유분비량을 고려하였고, 식사에서의 아연 흡수율 40%를 적용하여 5 mg을 부가하였다.
구리의 결핍이나 과잉을 감지할 수 있는 지표가 없으므로, 기존에 사용하던 지표인 혈장 구리 및 세룰로플라스민(ceruloplasmin)의 농도, 적혈구 Cu/Zn superoxide dismutase(SOD1) 및 혈소판 구리 농도를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구리의 평균필요량을 설정하였다(Institute of Medicine (IOM), 2001). 또한 간 손상을 독성종말점으로 간주하여 상한섭취량을 설정하였다. 평균필요량은 우리나라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없으므로 미국과 캐나다에서 고갈-보충 연구(IOM, 2001)를 토대로 설정한 미국 섭취기준인 700 μg/일을 참고하였다. 미국/캐나다의 영양소 섭취기준 설정에 사용한 기준 체위의 차이를 고려하여 600 μg/일을 한국인의 평균필요량으로 정하고, 15% 변이계수를 고려하여 800 μg/일을 권장섭취량으로 정하였다. 상한섭취량은 10,000 μg/일(Pratt 등, 1985)을 유지하기로 결정하였다. 여자와 노인의 경우 성인 남자의 섭취기준과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임신부는 임신에 필요한 구리의 양을 가산하고, 수유부는 모유의 구리 함량에 근거하여 모유로 배출되는 추가분을 가산하여 평균필요량과 권장섭취량을 설정하였다.
불소의 필요량은 충치발생률을 지표로 삼아 설정하였고, 모든 연령층에 충분섭취량과 상한섭취량을 설정하였다. 불소의 충분섭취량은 전 연령에서 다른 부작용 없이 충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섭취량을 추정하여 설정하였다. 성인의 경우 식수의 불소 농도가 충치를 예방할 수 있는 최적 수준(1.0 mg/L)(Horowits, 1996)인 지역에 살고 있는 미국인의 체중 당 불소섭취량이 0.05 mg/kg/일인 것을 근거로, 기준체중을 적용하여 충분섭취량을 설정하였다. 임신부의 경우 비임신부에 비해 불소필요량이 높다는 증거가 불충분하고, 수유부의 불소 섭취도 모유의 불소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어, 임신부와 수유부 모두 부가량을 설정하지 않았다.
최근 요오드에 관한 연구는 성장기 어린이나 임신부의 심한 요오드 결핍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어, 한국인 섭취기준의 제정 근거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성별이나 나이에 따라 요오드 필요량에 차이가 있다는 과학적 근거가 현재까지는 없어서, 교체율 연구결과(Fisher & Oddie, 1969)를 근거로 19세 이상 성인은 노인까지 평균필요량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임신부의 평균필요량은 19-29세 여성의 평균섭취량에 임신기 부가 필요량(+65 μg)을 반영하여 2010년 기준과 동일하게 적용하였고(Dworkin 등, 1966; Glinoer, 1998), 수유부의 경우 모유 내 요오드 함량(175 μg/L)(조여원 등, 1997)과 모유 분비량(780 mL)을 고려하여 평균섭취량과 권장섭취량에 각각 130 μg, 190 μg을 부가하였다. 한국인 섭취기준으로 크롬의 평균필요량을 결정할 수 있는 충분한 연구 결과가 없었으므로 섭취기 준으로는 충분섭취량을 설정하였다. 성인을 위한 크롬의 충분섭취량은 매일의 식사로부터 섭취하게 되는 1일 평균 크롬의 양(13.4 ± 1.1 μg/1000 kcal)(Anderson 등, 1993)과 2008-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질병관리본부, 2008-2012)에 따른 에너지 섭취량을 근거로 설정하였다. 임신부들에 대한 충분한 연구 보고가 없어 정상 분만 임신부의 임신 기간 체중 증가량 16 kg을 도입한 뒤(Institute of Medicine(IOM), 2001) 성인 여성의 기준 체위에 부가하여 외삽한 결과, 30 μg/일을 충분섭취량으로 설정하게 되었다. 수유부는 모유를 통하여 섭취하게 되는 양에 흡수율 1%를 적용하여 성인보다 20 μg/일을 추가 보충하도록 하였다. 미국 일부 연구보고에 의하면 크롬을 과잉 섭취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한국인에 대한 연구결과는 전무하여 상한섭취량은 제정하지 않았다.
7. 참고자료
김정숙, 생애주기 영양학 개정6판, 광문각, 2011
건강한 모유 수유를 위한 영양식생활 실천 가이드. 식품의약품안정청(KFDA) 2015
공경아, 임현숙. 한국인 모유의 수유 단계별 트랜스지방산 함량.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16;12(3) : 223~234
옥희·권인수, 산후 경과별 모유수유 실태, 모자간호학회지, 2008
권미소, 등 모유의 무기질과 면역물질 함량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2014
김혜련. 한국의 모유수유 실천 양상과 영향요인 및 정책 과제. 보건복지포럼 2016
고영수, 장정옥, 한국인 모유 및 우유의 일반성분 및 무기질성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의학회지 2013;24(3):97-101
여성건강간호 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 서울 : 수문사, 2016
이경혜 외, 여성건강 간호학 Ⅱ. 현문사, 2015
  • 가격4,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9.03.19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95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