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직장협의회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공무원단체활동과 공무원직장협의회제도

Ⅲ. 공무원직장협의회제도의 운영실태 조사분석

Ⅳ. 공무원직장협의회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Ⅴ. 맺음말

본문내용

직장협의회는 참가를 목적으로 하는 제 도로 기능상 분리하면서 병존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고려되어야 할 점에 대해서 는 김상호(2000)를 참조할 것.
Ⅴ. 맺음말
공무원노사관계의 안정차원에서 공무원직장협의회제도가 바람직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운영실태에 대한 점검을 토대로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활성화시키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는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공무원직장협의회제도의 연구틀을 체계화하고 이를 토대로 운영실태를 설문조사와 사례연구를 통해 조사분석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공무원직장협의회제도의 불완전한 성격으로 인해 행정자치부와 직장협의회간의 갈등이 노정되고 있고 나아가 공무원노동조합의 설립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기도 하나 설립이 일렀던 기관에서 직장협의회제도는 자리를 잡아가고 있고 긍정적 효과를 전망하게 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공무원직장협의회제도를 활성화시키려는 노력이 관련당사자들에 의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직장협의회의 지도부는 내부민주주의를 강화하면서 이익집단으로만 인식되지 않고 행정개혁의 한 주체로서 거듭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기관장은 직장협의회를 동반자로 받아들여 소속공무원들의 열의에 의해 기관발전을 꾀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정부는 본 연구가 제시한 법ㆍ제도적 개선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광범위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여론을 수렴하는 등 국민적 합의를 통해 공무원노동조합문제를 비롯한 공무원노사관계를 안정화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공무원직장협의회제도에 관한 기존 연구가 없어서 탐색적으로 설정한 분석틀을 토대로 한, 실태조사에 있어서 직장협의회의 대표자를 통해서만 조사하여 실태와 의견에 관한 직장협의회회원과 기관장측의 자료를 병행해 사용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앞으로는 더욱 체계화된 분석틀을 토대로 기관장측 조사는 물론 협의회 가입한 공무원에 대한 조사도 병행하여 어느 한 쪽의 일방적인 의견이 아닌 상호간의 의견도 비교하여야 문제점을 보다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무원직장협의회제도의 활성화와 관련된 영향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해서도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백종섭, 1991 ; 윤영삼, 1997)
참고문헌
공무원직장협의회 건설준비모임(1998), 직장협의회 시행령(안)에 대한 의견서.
김상호(2000), "공무원직장협의회 제도의 문제점과 그 대응방안",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9월 월례토론회 발표문.
김재기(2000), "공무원의 노동조합법제의 입법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정숙(1999), "한국공무원 노동조합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형배(1999), 『노동법』, 박영사.
김 훈(1992), 『노사협의회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노동연구원.
김 훈ㆍ이승욱(2000), 『노사협의회의 쟁점과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박길상(1998), "공무원ㆍ교원의 노동관계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백종섭(1994), "한국 공무원단체활동의 적정모형 탐색",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4 호, pp.138-166.
백종섭(1991), "한국공무원단체활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부산광역시 연제구직장협의회 홈페이지, http://www.yonje.org.
서원석(1995), 『ILO회원국의 공무원 단체활동 비교연구』, 한국행정연구원.
서원석(1991), "한국공무원의 단체활동에 관한 인식분석", 『한국행정학보』 제25권 2 호, pp.497-514.
신인령(1997), "깨끗한 공직사회를 위한 공무원노조의 역할", 부경대랜망 부경대직장협 의회사이트의 자료실에서 다운받았음.
신인령(1996), "한국 공무원의 노동기본권", 신인령, 『노동인권과 노동법』, pp.51-62.
윤영삼(1997), "간접적 경영참가제도의 차원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산업경영의 이론과 실제』, 공용식교수정년퇴임기념논문집, pp.263-285.
윤영삼(1993), "조직민주주의와 효율성", 『부산공업대학교 논문집』35호, pp.411-424.
윤영삼ㆍ신진교(1999), "노사협의제의 효과적인 특성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12권 2호, pp.465-499.
이승찬(1999), "한국공무원의 노동기본권 보장실태", 민주노총ㆍ국제공공노련 주최 공 무원노동조합 합법성 쟁취를 위한 국제심포지움(1999.11.13) 발표문.
이 철(1998), "공무원직장협의회 시행령 진단", 『사회평론길』105호, pp.146-149.
이철수ㆍ강성태(1997), 『공공부문의 노사관계법』, 한국노동연구원.
정영오(1999), "공무원 직장협의회 움직임 심상찮다", 『뉴스피플』385(9.16), pp.28-29.
최준호(2000), "본격화되고 있는 공무원 단체활동", 『지방자치』11월호, pp.16-21.
행정자치부(1999), 『공무원직장협의회 업무편람』(1차 증보판).
허찬영(2000a), 『근참법하에서의 노사협의회 운영실태』, 한국노동교육원.
허찬영(2000b), "노사협의회 운영실태 및 활성화 방안", 한국노사관계학회 2000년 국제 학술대회 발표문.
허찬영(1996), 『노사협의회 운영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노동교육원.
Aronowitz, S.(1998), "Democracy is key", 『New Labor Forum』Fall/Winter, pp.82-93
Beaumont, P.(1992), 『Public sector industrial relations』.
Gallagher, D. and P. Clark(1989), "Research on union commitment", 『Labor Studies Journal』14, Spring, pp.213-227
Siegel, G. and R. Myrtle(1985),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Treu, T.(1987), 『Public service labour relations』.
  • 가격3,3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2.03.18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0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