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미론 연구-의미론의 기본 개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의미론의 기본 개념

제 2 장 의미의 성분분석

제 3 장 의미장

본문내용

지다.
⑧ 변칙관계 - 문장성분간의 호응관계인 선택제약을 어겨 의미상 부적합한 문장
ㄱ. 나는 물/술/음료수/공기를 마신다.
ㄴ. (?) 만년필이 물을 마신다. ㄷ. (?) 나는 떡을 마신다.
5. 성분분석의 한계
① 성분분석에서 사용된 메타언어, 즉 의미성분의 불명확성에 관한 문제
② 성분분석이 개념적 차원에 국한
예) 노처녀 [-남성][+인간][+결혼 적령기를 넘김]
[신경질적인][유능함][순수함] -- 연상의미 부가
③ 성분분석이 구조적으로 잘 짜여진 어휘군(친척어, 공간어)에 한정됨 - 추상어×
④ 의미성분의 보편성 문제
제 3 장 의미장
* 의미장의 성격
1. 의미장의 규정
·의미장은 하나의 상위어 아래 의미상 밀접하게 연관된 낱말들의 집단.
·개개의 낱말은 제 홀로는 아무런 의미도 없고 전체를 전제로 했을 때 그 속에서 존재 가치 부여
2. 의미장의 기본 구조
1) 균형형 : 구조의 긴밀도가 높으며 가로 세로가 정연히 병립.
어휘체계의 빈자리 파악이 용이
예) [종] [남성] [여성] [-1세대]
[사람] human man woman child
[ 말 ] horse stallion mare colt
[ 개 ] dog bitch puppy
2) 분류형 : 어휘를 동물명, 식물명, 금속명 등으로 나누는 것으로 긴밀도가 다소 느슨함
예) 감자 -- 영어 : 야채 / 독일 : 주식
3) 의미분야형 : 균형형과 분류형의 중간에 위치. 긴밀도가 중간.
체계화의 기준은 설정하는 방법에 따라 어휘소 체계가 달라짐
예) [손동작] - 쥐다, 잡다, 들다, 밀다, 찢다, 째다, 자르다, 끊다
[절단동작] - 찢다, 째다, 자르다, 끊다
* 장이론
1. 장이론의 배경
1) 훔볼트 : '모든 언어는 일정한 세계관을 가지고 있으며 언어의 다름은 곧 세계관의 다름 이다.' → 바이스게르버 : 언어적 중간세계로 발전
언어공동체 중간세계 외부 대상세계의 사물
2) 소쉬르 : 언어는 고립된 상태로는 중요성을 지니지 못하고 체계 속에서 다른 단위와의 계열적-결합적 관련성에 의해 언어적 가치 획득
2. 장이론
1) 계열적 장이론
(1) 트리어 -- 의미론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
① 낱말의 의미에 대한 구조주의적 접근
② 어떤 언어의 어휘 전체를 통합된 체계로 간주하여 개별적 어휘항목은 체계 속의 다른 어휘와의 관련성을 통해 정의된다.
③ 어휘의 전체 체계를 흐름의 상태에서 파악 - 어휘항목 변화
예) '지식'의 장
wisheit(지식의 일반용어)
Kunst(귀족적 지식)
List(서민적 지식)
1200 년 경

wisheit
(종교적 지식)
kunst
(세속적 지식)
wissen
(일상적 지식)
1300 년 경
(2) 바이스겔바 - 언어내용의 정적인 면에 바탕을 두고 언어의 동적 연구의 실체를 밝힘. 언어적 중간세계 및 언어의 세계상을 해명하는 데도 관련
2) 결합적 장이론 - 포르지히
① 트리어의 장이 순수히 언어적 의미에 바탕을 둔 것이 아니라고 비판
② 표현된 의미 자체에 근거를 둔 이론 예) 걷다:다리 / 잡다:손
3) 통합적 장이론 - 코세리우
① 구조의미론의 입장에서 종래의 장이론을 통합
② 사물과 언어를 구별, 언어기호 내용간의 관계를 의미로 파악
☞ 통합적 장의 모형
1. 계열적 구조
1) 일차구조
① 어휘장
- 기능적 대립의 원리에 지배되며 내용은 시차적 특징으로 분석
- 하나의 어휘장은 상위의 다른 어휘장에 포함 가능
- 어휘소(낱말로 존재하는 단위)와 원어휘소(한 어휘장의 전체적 내용에 대응되는
단위)의 개념을 도입하여 어휘장 분석
② 어휘부류
- 어휘장의 구조와 관계없이 하나의 공통된 시차적 특징에 의해 관련되는 어휘소의
총체로 규정
- 부류는 문법적·어휘적 분포에 의해 확정 예) 명사:생물과 무생물, 동사:자/타동사
2) 이차구조
① 수식 : 비활동적인(품사교체×) 문법적 한정(접사와 유사)
예) maison(집) - maisonnette
② 전개 : 어휘소의 동일한 내용이 다른 품사로 교체
예) beau(아름답다) + 서술적 기능 → beaute(아름다움)
③ 합성 : 문법적으로 상호관계에 있는 두 요소의 결합
예) Haus(집) + Frau(아내) → Hausfrau(주부)
2. 결합적 구조
① 유연 : 한정 어휘소의 부류가 피한정 어휘소 속에서 시차적 특징으로 기능하는 경우
예) essen '(사람이) 먹다' - 부류 '사람'이 시차적 특징
② 선택 : 한정 어휘소의 원어휘소가 피한정 어휘소 속에서 시차적 특징으로 기능
예) fahren '(무엇을) 타고가다' - 원어휘소 '탈 것'이 시차적 특징
③ 포함 : 한정 어휘소 전체가 피한정 어휘소 속에서 시차적 특징으로 기능
예) greifen (잡다)은 Hand(손)와 공기
* 의미장의 빈자리
1. 빈자리의 규정 - 의미장의 빈자리 = 어휘체계의 빈자리
# 빈자리 : 체계 속에서 개념상으로는 있을 법한데 실제로 어휘소가 비어 있는 것
2. 빈자리의 유형
1) 계층관계 : 계층관계에 따른 빈자리는 상위어·하위어의 계층구조에서 나타남
손가락 어버이
엄지 검지 가운뎃 새끼 아버지 어머니 아들 딸
가락 가락 가락 가락
(하위어) (상위어)
2) 서열관계
그끄제 - 그제 - 어제 - 오늘 - 來日 - 모레 - 글피
고유어가 빈자리
3) 상관관계 : 상호 연관되어 있는 한 동아리의 어휘소가 하나의 상관관계를 이룰 때
빈자리가 나타나는 경우
사람
짐승
식물
기르다 : 키우다
(養育하다)
치다:먹이다(飼育하다)
가꾸다(栽培하다)
3. 빈자리 채우기
1) 외래어 : 우리말은 한자어 차용에 크게 의지
예) 무지개색 - 빨강, 노랑, 파랑 제외한 색은 차용어
2) 상위어 : 계층관계에 나타나는 빈자리를 상위어가 채워주는 경우
dog 누이
bitch 누이 누나
[+male] [-male] [손아래] [손위]
3) 하위어 : 계층관계에서 상위어에 빈자리가 나타나면 하위어가 그 자리를 채움
길이 높이
길기 짧기 높기 낮기
4) 통사요소 : 대립관계에서 빈자리가 생길 경우 어휘요소로 빈자리를 채울 수 없을 때
통사요소 이용
예) 부드럽다 / 딱딱하다, 거칠다
포근하다 / ( 덜 포근하다, 포근하지 않다 )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2.03.20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1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