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유의 개념과 기본구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논

Ⅱ. 은유의 개념과 기본구조
1. 은유의 개념
2. 은유의 기본구조

Ⅲ. 서정시에서의 은유

Ⅳ. 현대시에 나타난 은유표현
1. 동사은유
2. 동격은유
3. 특수조사형
4. 어미형

Ⅴ. 결 논

본문내용

. 마지막 연에서 획득한 이러한 同一性은 "나는 나무다"라는 은유의 형식으로 표현되게 된다. 이를 통해 同一性의 서정미학이 탄생되는 것이다.
결국 시적 자아는 나무를 수식했던 다양한 시어들을 통해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고자 한 r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同一性의 서정미학을 형성할 수 있게 해 주는 중요한 요소사 수사적 장치가 곧 은유이다. '나 = 나무'가 되는 세계, 그것이 곧 은유의 자리인 것이다.
여기에는 또 약간의 변형이 있다. 이것은 명사의 중복 내지는 직접 연관에 의해 형성되므로 同格隱喩로 처리한다.
2) (∼의)형
- 김기림, <호수>
오후 두시 머언 바다의 잔디밭에서
바람은 갑자기 잠을 깨서는
- 서정주, <나는 잠도 깨여지도다>
내 마음의 萬海海邊엔
해당화 분홍불이 불고
- 김현승, <堅固한 고독>
뜨거운 햇빛 오랜 시간의 회유에도 더 휘지 않는
木管樂器의 가을 그 높은 언덕에 떨어지는
이「∼의」형태는 결사형에서 A와B가 서로 도치된 변형이다. 이 명칭에 있어 <의>는 물론 조사이므로 조사형에 넣어야겠고 또한 同格을 연결한다는 점에 있어서 同格형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그 어느 쪽에 넣는 것도 적당치 않고 그 빈도에 있어서나 효과에 있어서 특수한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同格 ∼의(oppositive of)형으로 설정하였다. 이 형태는 A=B의 결사형을 B의 A로 대치한 것이다(예로 <가을은 목관악기이다>를 <목관악기의 가을>로 환원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런 만큼 라는 설명적인 방법보다는 로 압축하여 簡潔化한 표현이 보다 詩적인 애매모호성과 함축의 효과를 유발하기 때문에 특히 최근 내부 의식세계를 깊이 탐구하는 젊은 시인들의 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3. 特殊助詞形
- 정한모, <不眠>
눈시울의 안팎에서
어둠이
진한 무게로 몰려오기만 하는
-서정주, <石榴꽃>
비개인 아침해에
가야금소리로
피는 꽃을 아시는가
이 특수조사형은 조사의 변형 내지는 특수활용으로서 은유의미를 드러내며, 조사인 만큼 뒤에 用言을 동반하는데, 이것은 논리나 시상의 전개에 퍽 유용하게 쓰인다. 별로 많이 띄지는 않으나, 암시나 비약적인 시적 효과를 지니고 있다.
4. 語尾形
-서정주, <古代的 時間>
만일에 이 시간이
고요히 깜빡이는 그대 속눈썹이라면
- 조병화, <스카이라운지>
고독은 자유한
밤이라는 언덕이여
- 박태진, <불우한 抒情>
平和란 不遇한 심벌
이 형태는 계사형을 어미에서 혹은 선어에서 변화시킨 것으로 조건, 접속 등의 기능이 강하며 지시된 은유대상을 간접적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효과를 갖고 있으나 많이 쓰이지는 않고 있다.
Ⅴ. 結 論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隱喩는 언어를 통해 두 대상간의 공통성을 유추하여 이를 종합·표현하는 방법으로서 詩인의 내부적 이미지를 외부적 언어세계와 연결하여 새로운 차원에서 언어의 의미세계를 가능케 하는 원동력이 된다.
또한 隱喩는 인간의 유추능력에서 비롯되며 인간의 제세계의 진보에 따른 언어의 부족을 보충하려는데서 기인하고, 詩인이 현재 소유한 언어에 대한 불만으로 새로운 의미세계·정신세계를 확대 심화하려는 노력을 반영한다. 隱喩는 언어의 자유스런 활동 전반에 편재하는 원리로서 그 근본 메카니즘은 詩人의 想像力 내의 隱喩의 용광로 안에서 詩인이 표현하려고 하는 전 체험요소들이 상징과정과 유추과정을 바탕으로 직관과 결합하여 서로 反應·融合科程에서 隱喩는 詩 자체의 내적 必然性에 의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예로 표출된 이 詩의 아마추어리즘이 꼭 부정적인 효과를 자아 냈다고만은 말할 수 없다. 거기에는 나름대로 詩에 -특히 독자의 心理學에서- 기여하는 측면이 있기도 하다. 첫째는 大衆性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대중 독자는 전문적인 독자- 정통한 독자(informed reder)와 달리 암시적이고 애매한 고급 수사어 대신 분명하고 직접적인 표현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含蓄的인 語法을 싫어한다. 둘째는 진솔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복잡하거나 난해한 수사적 장치를 버리고 단순하게 직접적으로 호소할 경우 더욱 진실한 것으로 느껴지게 하기 때문이다.
參 考 文 獻
1. 김준오, 「시론」, 상지원, 1997
2. 김재홍,「한국현대시 은유형태분석론」,「시론」, 현대문학, 1989
3. 오세영,「한국현대시 분석적 읽기」,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8
4. 장부일,「지상강좌」,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2000
5. 정한모,「현대시론」, 보성문화사, 1994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05.02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3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