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여자 혼례복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조선 후기의 사회적 배경

Ⅲ. 조선후기 혼례복의 종류와 특징
1. 염 의
2. 활 옷
3. 원 삼

Ⅳ. 혼례복에 반영된 의미

Ⅴ. 결 론

본문내용

은 당의 제도가 신라에 傳來되어 고려를 거쳐 조선에 이른 것으로 보이며, 꽃문양의 자수가 많아 百花袍라고 일컫는 활옷은 紅衣, 豁衣, 割衣, 紅長衫 등으로 불려졌고 근래에 이르는 동안 다분히 國俗化한 것으로 보인다. 圓衫은 朝鮮後期 淸의 支配를 받으면서도 朝鮮時代末까지 皇后, 妃, 嬪의 小禮服으로 內·外命婦의 大禮服으로 着用되었으며, 着用者에 따라 衣色이 달랐으며, 사서인의 婚禮에는 草綠圓衫을 착용하였다. 그리고 공주 옹주의 圓衫이나 궁에서 하사한 원삼 즉 궁에서 제작된 것은 금직이나 금박이 있으나 민간용 圓衫에서는 금박이 없으며, 색동이 넓고, 옷고름과 깃의 색이 홍색 또는 자주색이다.
衣는 일부 예를 차리는 사대부 층 외에는 선호하지 않은 것 같은데, 이것은 신분제의 해이와 사치풍조로 인해 無紋의 염의보다는 화려한 활옷을 취하게 되었을 것이며, 혼례가 社會性을 내포하고 宗敎的인 儀禮이므로 유교에 심취한 식자층과 민중과의 가치관과 종교관의 차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활옷 역시 唐에서 전래되어 國俗化한 것이라 중국문화에 대한 사대사상과 부합되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혼례복의 色을 살펴보면 陰陽五行思想에 바탕을 두어 음양의 조화에 맞추어 정함으로서 服色을 통해 혼례의 의미를 전달하고, 장식성을 높이고 邪의 의미도 부여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오행사상이 조선후기 사회전반에 퍼져있음을 알 수 있다.
圓衫과 활옷의 문양을 살펴보면, 혼례의 직접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문양과 多子多男, 長壽, 富貴榮華등 現世救福的인 문양들로 유교적인 의미도 있지만 불교적 도교적인 색채가 짙다. 이것은 兩亂이후 사회가 어지럽고 기존의 가치체계가 깨어지고 신분질서가 혼란해진 조선후기에 국가 질서의 확립을 위해 유교적 예학이 강조되었으나 불교, 도교, 민간신앙도 민중의 생활에 깊숙이 확산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혼례는 종교적인 儀禮이고, 人倫之大事이며 婚禮時에 착용하게되는 혼례복 또한 상징적 표식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므로, 혼례복의 문양과 색을 통하여 조선후기의 종교관과 사상, 종법제도에 의한 가부장제도의 사회질서를 엿볼 수 있다.
參考文獻
嘉禮都監儀軌.
國婚定例.
朴珪壽, 居家雜服攷.
甁窩集.
三國史記.
尙方定例.
宣祖實錄.
- 176 -
星湖僿說類選.
柳得恭. 冷齋集 卷5.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이익. 星湖僿說.
李縡. 四禮便覽.
朝鮮王朝實錄.
晦隱集.
강윤숙. 복식의 상징적 의미에 관한 연구. 성신여대
(1986). 고려도경. 고전국역총서119. 민족문화추진회. 민족문화.
高富子.(1985). 우리나라 婚禮服의 民俗學的 硏究. 檀
國大學校 石宙善紀念民俗博物館 韓國服飾7.
高福男(1986). 韓國傳統服飾史硏究., 一朝閣.
具美來(1994). 한국인의 상징세계, 敎保文庫.
國史 編纂 委員會(1984). 한국사 7 무신 정권과 대몽
항쟁. 탐구당.
國史 編纂 委員會(1998). 韓國史 35 朝鮮後期의 文化.
權五虎.(1989). 衣裳과 陰陽五行學 2. 우리얼 우리문
화. 우리문화 연구원.
김병모(1998). 금관의 비밀, 푸른역사.
김영자(1982). 한국의 복식, 한국문화재보호협회.
金容勳(1992). 韓民族の 色彩觀, 韓國文化藝術振興
院.
김응현(1992). 國譯 四禮便覽. 우봉 이씨 대종회.
金任圭, 李侖禧, 張俊植 共著(1994), 韓國民族文化
와 意識. 正訓出版社.
金禧慶(1990). 朝鮮의 鬼神. 東文選.
남상민(1999). 우리나라 자수의 변천과 종류. 여성의
손끝으로 표현된 우리의 멋, 국립민속박관.
朴京子.(1968). 우리나라 婚禮服에 관한 硏究-女子婚
禮服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경휘(1992). 朝鮮民族 婚姻史 硏究, 한남대학교 충
청문화연구소.
朴珪壽 著. 조효순 역. 居家雜服攷 제2권, 도서출판
석실
朴錦珠.(1988). 四禮便覽의 婚禮服과 現行婚禮服과의
比較 硏究.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朴東媛.(1976). 圓衫에 관한 硏究. 梨花女子大學校 敎
育大學院.
박성실(1992). 중국복식사. 경춘사.
朴惠仁(1988). 韓國의 傳統婚禮 硏究. 高麗大學校 民
族文化硏究所.
손경자. 활옷의 形態와 紋樣에 관한 硏究, 服飾 創刊
號.
宋明見.(1974). 우리나라 婚禮服 變遷에 關한 硏究-開
化期 以後의 婚禮服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申敬愛.(1987). 傳統 婚禮服의 實態에 關한 考察-서울
지역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吳勤在(1987). 韓國文樣의 展開-菱花篇-, 미진사.
柳喜卿(1989). 韓國服飾史硏究, 梨花女子大學校 出版
部.
이덕무(1982). 이동희 편. 생활예절 士小節, 민족문화
추진회.
李相恩. 朝鮮王朝後期 활옷의 硏究, 服飾 第7號.
李順洪.(1988). 韓國婚禮儀式에 關한 服飾硏究-朝鮮
時代를 中心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이재정(2000). 중국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지영
사.
李正玉. 朝鮮時代 冠禮服飾의 硏究, 慶北大學校 大學
院 博士學位論文.
임동권.(1956). 민속상으로 본 색채관-赤·靑色을 중
심으로, 현대문학 7호, 현대문학사.
全渟英.(1986). 韓國 固有 女子 婚禮服 硏究, 慶熙大
學校 大學院.
全貞姬.(1994). 우리나라 傳統 婚禮服에 關한 硏究-全
北地方의 圓衫을 中心으로, 전주교육대학논집.
鄭鎭弘(1986). 韓國 宗敎 文化의 展開. 集文堂.
조희진. 한국 전통 혼례의 절차에 관한 연구, 烏山專
門大學 論文集, 第14輯.
최준식(1995). 한국 종교 이야기 제1권, 한울.
韓炅恩.(1992). 朝鮮時代 女性禮服에 나타난 紋樣에
관한 硏究-활옷을 中心으로. 誠信女子大學校 産業大學院.
韓國文化象徵辭典 編輯委員會(1992). 韓國 文化 象
徵 辭典 1. 2, 東亞出版社.
허 균(1991). 전통미술의 소재와 상징, 교보문고.
홍나영(2000). 20세기 한국 혼례(폐백) 예복 변천에
관한 고찰, 한국의류학회지, 제24권 제4호.
- 177 -
黃善明(1985). 朝鮮朝 宗敎 社會史 硏究, 一志社.
황호근(1996). 한국의 문양사, 열화당.
Williams, C. A. S, 이용찬외 역(1985). 환상적인 중국
문화. 평단문화사.
  • 가격3,3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2.10.20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3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