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 베버의 금욕적 합리주의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장 서론
Ⅰ. 연구목적
Ⅱ. 연구방법 및 논문의 구성

제 2장 베버의 현대자본주의 발전의 전제
Ⅰ. 이론적 개관
Ⅱ. 과학과 기술
Ⅲ. 법률과 사법
Ⅳ. 행정조직
Ⅴ. 정리


제 3장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정신
Ⅰ. 문제제기
Ⅲ. 소결

제 4장 베버 이론의 현대적 의미

본문내용

자본주의발전에 아주 중요하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베버는 프로테스탄트 윤리가 자본주의 흥기의 정신적 기동력이지, 결코 프로테스탄트 윤리가 자본주의 생성의 유일한 인소는 아니라고 하였다. 즉 현대자본주의의 흥기는 과학·정치·법률·경제와 종교 등 여러 영역의 '합리화'가 결집되어 이루어진 결과이며, 프로테스탄트 윤리는 그 중의 한 조건이라는 것이다.
제 4장 베버 理論의 現代的 意味
(막스 베버의 禁慾的 合理主義가 現代 資本主義 社會에 미치는 肯定的 影響)
Ⅰ. 槪觀
도덕, 인륜, 인명존중, 효, 질서, 올바른 성관념 등의 가치관의 상실에 따른 '아노미' 등으로 인한 혼란과 타락 등으로 지금 우리 사회 구석구석은 병들어 신음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절실한 해결책이 요구되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이는 곧 잃어버린 가치관에로의 '회복'을 의미하고 결국 우리의 정신적인 지주로서의 가치관의 재정립을 위미한다. 이것은 베버가 주장한 프로테스탄트적 금욕주의 정신을 말하는 것이다. 우리는 어느덧 이러한 지주를 상실한 채, 오로지 현실속의 나만을 위해, 그렇게 살아왔다. 때문에 이웃도, 부모도, 후손들도 우리의 관심대상이 되지 못한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Ⅱ. 理論의 整理
베버는 자본주의의 정신을 논함에 앞서 벤자민 프랭클린이 「아메리카 문화의 모습」에서 '양키주의와 신앙 고백'이라고 조롱한 바 있는 문장을 인용하며 서구의 자본주의에는 그 제도적인 모습 자체보다 하나의 '에토스'가 표명되어 있다고 말했다는 것을 전술한 바 있다. 바로 이 에토스의 성격이 곧 우리의 관심을 불러 일으키는 대상이며, 이것은 곧 서구의 자본주의(근대자본주의)를 다른 자본주의와 구별짓는 중요한 특징이라고 설명한다. 자본주의는 세계 어느 나라에도 존재했으나, 그 자본주의들에는 독자적인 '에토스'가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다.
진정한 자본주의 정신은 가능한 한 많은 돈을 획득하려는 영리 추구, 그 자체와는 관계가 멀다. 무제한적인 영리 추구욕은 적어도 자본주의와 동일시되어서는 안 되며, 더구나 자본주의의 정신은 결코 아니다. 그보다 자본주의 정신은 오히려 이러한 충동의 억제 또는 적어도 합리적 조절과 동일시될 수 있을 것이다. 베버는 이러한 근본적인 원인을 연구함에 있어 마술적, 종교적인 힘들과 그에 의거한 윤리적인 의무감들에 대해 관심을 기울였다. 그리하여 세계의 종교들의 경제 윤리에 관한 그 후속 연구들을 중심으로 종교들이 경제 생활이나 사회 계층 분화와 어떤 관계를 갖는가를 개관하는 형식으로 연구를 전개하였으며 서구적 발전과의 비교점을 발견해 내기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에는 인과 관계의 양 측면을 추적하기도 했다. 그래서 베버는 당시 서구의 근대적 기업 자본가와 기업 경영자 또는 상층 숙련 노동자층, 특히 기술적 혹은 상업적으로 훈련받은 수뇌들은 두드러지게 프로테스탄트적인 색체를 띠고 있다고 했다는 것을 예로 든 것이다. 그 원인을 규명하는 과정으로서 종교개혁을 언급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다.
Ⅲ. 理論的 適用
그렇다면 이러한 베버의 이론이 현대 자본주의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해 고찰해 본다. 베버가 주장한 금욕주의와 자본주의의 발전과는 전혀 양립할 수 없는 것 같지만 이것이 역설적으로 긍정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개괄적으로 전술했다. 즉 종교 개혁은 인간에 대한 교회의 지배를 배제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종래의 형식이 아닌 다른 형식으로 대체시킨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더구나 종래의 형식에 의한 종교의 지배는 매우 느슨하여 실제 생활에서 별로 느껴지지도 않았고 대부분의 경우 거의 형식에 지나지 않았다. 이에 반해 이 새로운 형식은 가정 생활 일체와 공적인 생활 전반에 걸쳐 어디까지나 엄격하고도 진지한 규율을 요구해 왔던 것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시간의 개념이란 곧 재화의 개념과 바꿀 만큼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일의 효율을 공식화 시킨 줄(Juoul)의 법칙을 경제학에 접목시키면 이것은 '최단시간에 최대의 재화를 생산하고,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이윤을 낸다.' 는 경제학상 자본주의와도 일맥 상통한다.
프로테스탄티즘 윤리는 생활 전반에 걸쳐 신에 대한 경건을 주장해 왔고 이것은 시간을 낭비하면 안된다는 개념에 이르고 이로 인해 '시간은 돈(Time is money)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즉 현대 자본주의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비즈니스의 철학은 이러한 윤리에 기초한 것이다. 조금 확장시켜 본다면 과거 카톨릭이 가지고 있던 종탑의 타종이 신앙의 집회를 의미하는 경건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지만 점차 중세의 교회의 타락으로 이의 빛을 잃어가자 종교 개혁으로 인해 이러한 가치를 회복시켜 간 것과 같은 맥락에서 풀이될 수 있다. 즉 종탑의 타종이 근대 서구 자본주의의 원류를 이루는 '시간적 개념의 준수'의 근간을 이룬다고 논자는 주장한다.
요컨대 프로테스탄티즘이 현대 자본주의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은 '시간 준수의 철저화이다.'
第 5章 結論
이상과 같이 베버는 그의 역작 『프로테스탄트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을 통하여 종교윤리(문화)와 현대 자본주의 발전의 관계를 분석했다. 현대 자본주의의 발전 및 현대화에 대한 그의 이러한 문화심리적 접근방법은 20세기 사회과학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마련한 것이었음에는 이론(異論)의 여지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버는 현대자본주의를 일으킨 촉발 메카니즘을 종교문화에서 찾으려 했다. 그는 서구의 프로테스탄트윤리가 바로 그 촉발 메카니즘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한 핵심 내용을 신에대한 경건성을 예로 들고 있지만 그를 바탕으로 현대 자본주의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을 들자면 그것은 시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한 '시간준수적 종교의 경건성의 회복'이라고 논자는 주장한다.
參考文獻
국내 도서
권헌훈 외 著, 『자본주의 이념의 경제학적 재조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송병락 著, 『자본주의의 웃음 자본주의의 눈물』, 김영사, 1998
이원복 著, 『자본주의, 공산주의』, 동아출판사, 1990
최문환 著, 『막스 웨버 硏究』, 삼영사, 1966, .
국외 도서
막스베버 著 박성수 譯,『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문예출판사, 1990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4.07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59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