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민속마을 - 부곡마을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위계적 영역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민속적 신앙공간인 '상당나무'와 '하당나무'의 영역을 통해 공간적 위계성을 띠고 있다.
이 마을의 공간 구성의 특성은 생활적 영역 속에 민속신앙적 영역이 함께 함으로써 민속적 내용이 생활 환경의 형성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Ⅴ. 나오면서
부곡마을은 경북내륙의 산간마을로서 서로 다른 성씨들이 모여 사는 각성마을이며, 특히 '별신굿'의 민속적 행위가 300여년 이어오는 마을이며, 민속적 행위 장소가 주거 환경 구성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부곡마을의 공간구성은 반촌의 경우와 같이 마을의 입향조나 성씨 구성등의 인문 사회적 배경에 따라 종가, 재실, 효자각 등의 물리적 상징요소가 중심이 되는 공간적 구성이 아니라, 민속신앙적 요소들에 의하여 이루어짐이 특색이다. 특히 민속적 신앙공간인 '상당나무'와 '하당나무'의 영역을 통해 공간적 위계성을 띠고 있으며, 마을 동편의 '용당'은 민속신앙적 영역이면서도 빨래터로서 여성적 공간이자 청소년들의 휴식공간으로 '성'과 '속'의 개념으로 주거환경을 이루고 있다.
우리 선조들은 산을 등지고 물이 앞에 흐르는 배산임수 지형을 이상적인 삶의 터전으로 여겨 왔는데, 자연과 인공이 융합되어 시, 지각적으로 안정성을 부여하는 조화원리를 반영하며 개방에서 폐쇄로 영역을 확장, 전개시키는 침투적 공간구성 원칙과 유기적 방향성을 가진 전개기법으로 해서 율동적이고 연속적인 공간구성임을 감지할 수 있고, 단위공간을 중심공간에 종속시키는 위계적인 구성 체계를 설계원칙으로 운용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한다.
또한, 친근감을 주는 인간적 척도 개념이 작용되고 정적 공간 자체를 동적 공간으로 곡전시키는 역동정 구성체계를 보여주는데, 단위 주택을 포함한 마을의 경관상에서 전체적으로 비대칭적인 균형공간을 유지하는 탐미관이 추출되며, 미적 쾌감을 유발하는 희화적 구성과 경관미에 대한 연출혀과를 은유적으로 극대화하는 환경설계원칙을 반영하면서 형식미학적 아름다움을 넘어서 상징적 간접표현 원리를 동반하는 등 마을 전체가 보고 느끼는 작용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하나의 생태적 예술공간이다.
[참고문헌]
신상섭, '한국 전통마을의 공간구성과 환경설계원칙(상)(하)', 공간이론의 산책, 1999
정준현, 백영흠, '전통마을 주거환경 및 주거공간의 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문 경시 호계면 부곡마을을 대상으로-' 대구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1997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6.09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48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