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관에 대한 동양철학적 이해와 서양철학적 이해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연관에 대한 동양철학적 이해와 서양철학적 이해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서양의 자연관
(1)'노동'과 인간, 그리고 자연
(2) 근대적 합리성의 기획

3. 동양의 자연관
(1) 도가 철학적 이해
(2) 동학사상의 현대적 이해

4. 나오며

본문내용

로 상부상조, 즉 공생 관계 속에서 살아가게 되는 것이지 서로 정복-피정복, 착취-피착취의 관계에서 살아갈 수 없게 되어 있는 것이다.
) 또한 동학의 '살림' 활동을 구체적으로 집약하여 '열가지 하지 말 것'을 논한 '십무천(十毋天)'의 여섯째, '한울을 더럽히지 말라[毋汚天]', 그리고 여덟째, '한울을 부수지 말라[毋壞天]' 등에서는 구체적으로 생명과 자연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간과 자기 자신, 인간과 자아, 인간과 자기 주체, 즉 인간과 생명 사이도 또한 통일되어서 살게 되어있는 것이지 따로 떨어져서는, 즉 소외되어서는 살 수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학사상에 나타난 인간과, 그리고 자연관에서도 자연을 인간자체와 같이 소중하게 생각하고 일체화하는 경향을 엿볼수 있다. 이는 동양철학적인 자연관에서 하나의 큰 맥으로 자리잡아오고 있는 것이다.
4. 나오며
지금까지 인간관과 자연관에 있어서의 동양철학적 이해와 서양철학적 이해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그 가운데에서 확연히 드러나는 차이점으로 서양철학에서의 자연관의 큰 특징이 '주체로서의 인간과 대상으로서의 자연'으로 요약됨에 비해, 동양철학적 자연관에는 '인간과 자연의 하나의 통일체'로서 바라보려는 특징적인 경향이 있음을 강조하려 했다.
동양사회 중에서도 근대 한국사회는 특히 전통적 가치의 붕괴와 급격한 근대화, 산업화를 겪게 되었고, 그러한 과정에서 서양적인 자연관과 인간관의 유입으로 자연을 인간의 삶을 위해 얼마나 유용한가 하는 맥락에서만 평가하고, 자연과 그 안의 사물들이 다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얼마나 쓸모있는가 하는 효용성의 관점에서만 바라보는 오류를 낳고 말았다. 그 결과 부의 축적이라는 면에서는 어느정도 진전을 이루었을망정, 환경과 생태계를 파괴하는 서구의 전철을 그대로 밟아온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인간 생명의 중요성과 함께 자연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는 전통적인 동양철학적 사고는 더없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환경운동을 사고함에 있어서도 더욱 심도있는 동양철학의 연구가 뒷받침되어 참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만들어 나가는 새로운 환경운동이 전개되어 나가야 할 필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 참고문헌
『동양철학 이야기주머니』, 김철호, 녹두
『상식밖의 동양사』, 박윤명, 새길
『老子 - 길과 얻음』, 김용옥, 통나무
『옹치격』, 김지하, 솔
『社會思想史』, 루이스 A 코저, 일지사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8.23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40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