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직장여성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개발과 교차타당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혼직장여성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개발과 교차타당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삶의 질의 연구동향

직장 여성의 삶의 질

직장과 가정간 갈등의 개념 및 연구동향

영역별 삶의 질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직장생활의 질과 주관적 삶의 질

가정생활의 질과 주관적 삶의 질

직장→가정 갈등의 선행변수

직장관여

동료지원

직무과부하

가정→직장 갈등의 선행변수

부부의사소통갈등

가족기대

경제적 갈등

배우자지원

친정부모지원

영역별 삶의 질의 선행변수

영역별 삶의 질과 주관적 삶의 질의 구조

직장생활의 질의 구성요소

직무만족

대인관계 스트레스

가정생활의 질의 구성요소

결혼만족

배우자가족과의 갈등

주관적 삶의 질의 구성요소

생활만족

정적 정서

부적 정서

방법 및 절차

조사대상

조사도구

직장→가정 갈등의 선행변수에 대한 측정

가정→직장 갈등의 선행변수에 대한 측정

직장생활의 질과 가정생활의 질의 선행변수에 대한 측정

직장생활의 질과 가정생활의 질의 측정

주관적 삶의 질의 측정

분석방법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논 의

교차타당화

1. 조사대상

조사도구

분석방법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결과

논의

본문내용

제시하였다. <표 4-18>을 살펴보면, 최종모형에서의 값들과 전반적으로는 유사한 값을 보이고 있었으나, 외생변수의 측정변수들 중에는 직장관여와 가족기대의 SMC가 최종모형에서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을 뿐, 나머지 측정변수들은 유사한 값을 보이고 있었으며, 내생변수의 측정변수들 중에는 대인관계 스트레스, 배우자가족갈등, 부적 정서, 정적 정서의 SMC가 최종모형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종모형에서와 마찬가지로 교차타당화 모형에서도 직장생활의 질, 가정생활의 질,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측정변수로서 이들 변수들이 다른 변수들에 비해서 설명량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전반적으로는 측정변수들의 SMC가 수용할만한 값이라고 볼 수 있다.
<표 13> 교차타당화 모형의 측정변수들에 대한 중다상관자승(SMC)
Y 변수
가정→직장
갈등
직장→가정
갈등
직무
만족
대인관계스트레스
결혼생활만족
배우자
가족갈등
생활
만족
부적
정서
정적
정서
중다상관자승
(SMC)
.824
.863
.654
.335
.816
.298
.764
.209
.423
X 변수
직무
과부하
동료지원
직장관여
경제적
갈등
의사소통
갈등
친정부모
지원
배우자
지원
가족기대
중다상관자승
(SMC)
.716
.828
.597
.750
.899
874
.835
.576
논의
직장관련 변수들과 가정관련 변수들이 각각 직장→가정 갈등과 가정→직장 갈등을 중개로 하여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갈등모형(conflict model)과, 직장관련 변수들과 가정관련 변수들이 직장생활의 질과 가정생활의 질을 통해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영역모형(domain model)을 통합한 삶의 질 통합모형의 이론적 가설모형(<그림 4-1> 참조)을 설정한 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모형찾기를 통해 주어진 자료와 가장 합치도가 높은 최종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모형찾기는 가설모형과 합치도 수준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면서 간명도가 높은 모형을 찾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이를 위하여 고정지수가 작은 순서로 자유모수들을 하나씩 고정시켜가면서 이전 모형과 새로운 모형간의 전반적 합치도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된 최종모형은 <그림 4-3>과 같았다. 최종모형을 살펴보면, 직장 영역에서는 직무과부하만이 직장→가정 갈등을 통해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료지원과 직장관여는 직장생활의 질을 통해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영역에서는 경제적 갈등, 친정부모지원, 가족기대 등이 가정→직장 갈등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것이 직접적으로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가정→직장 갈등이 다시 직장생활의 질을 통해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갈등, 부부의사소통갈등, 배우자지원, 가족기대 등은 가정생활의 질을 통해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가정 갈등과 가정→직장 갈등 간에는 서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방정식 오차간에도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직장→가정 갈등이 높을수록 가정→직장 갈등도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두 구성개념의 개념적 관련성으로 인하여 어느 한 쪽에서 측정오차가 높게 되면 다른 쪽의 측정오차는 오히려 작아지게 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직장생활의 질과 가정생활의 질은 주관적 삶의 질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대적으로 가정생활의 질이 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지며, 가정생활의 질은 직장생활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혼 직장여성들의 주관적 삶의 질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가정생활에서의 질이 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가정생활이 만족스럽고 행복한 여성들은 직장생활 또한 만족스럽고 대인관계도 원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기혼 직장여성들에게 있어서 가정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잘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직장→가정 갈등은 가정생활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정생활의 질에 대한 측정문항들이 결혼생활에 대한 만족(특히, 결혼생활만족 중 배우자에 대한 만족)과 배우자 가족과의 갈등에 제한적이었기 때문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즉, 가정생활의 만족을 보다 포괄적으로 아이들과의 관계(시간공유, 교육)나, 스트레스, 가정내 역할에 대한 만족 등이 포함되었다면, 직장→가정 갈등이 가정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모형찾기를 통해 개발된 삶의 질 통합모형은, 모형개발에 이용된 자료에 최적인 모형이므로 개발된 모형의 일반화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모형개발에 이용된 자료와 전혀 다른 405명의 자료에 대해서 교차타당화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최종모형에서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관련 변수들 중 일부가 각각 직장생활의 질과 가정생활의 질을 통해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대칭구조를 보임으로써, 기존의 영역모형에서의 연구 결과들과 일치하는 것이다. 또한, 직장관련 변수들 중 일부가 직장→가정 갈등을 통해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가정관련 변수들 중 일부는 가정→직장 갈등을 통해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갈등모형에서의 연구 결과들과 일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가정→직장 갈등이 직장생활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그것이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존의 갈등모형에서는 모형 내에 직장생활의 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가정→직장 갈등이 주관적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최종모형이 기존의 영역모형과 갈등모형에서의 변수간 관련성을 포괄해서 설명해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영역모형에서 간과하기 쉬운 직장과 가정 사이의 갈등적 측면을 설명해 줄 수 있고, 또 갈등모형에서 간과하기 쉬운 직장생활의 질과 가정생활의 질이 갖는 중요성을 추가하여 설명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4.10.01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0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