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조 왕건의 세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조 왕건의 세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왕건의 신화분석
2. 시대적 상황
3. 고려 왕조의 성립과정
(1) 왕건의 성장
(2) 왕건 vs 궁예
(3) 왕건 vs 견훤
(4)신라와의 관계
4.고려가 통일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
5. 고려왕조의 사상
(1)호족연합정권
(2)북방정책
(3)훈요십조
(4) 자주와 주체를 지향한 통일국가

Ⅲ.결론

본문내용

주문을 했을 리가 없다. 그의 이 같은 주문은 당시 유행했던 도참설에 기초한 것이었다. 한마디로 국가변란 가능성 때문에 이런 주문을 한 것이다. 그의 이 같은 당부는 해당 지역 민들이 후백제의 멸망으로 고려에 대해 적개심을 지니고 있었던 점은 불가피 했다. 바로 '통합 당한 원한'이라는 대목에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나아가 후백제를 통합하는 과정이 너무 힘들었던 점도 한 이유가 된다. 단순히 요즈음의 지역갈등과 연관지어 이미 고려시대에 망국적인 지역갈등이 존재했었다고 보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4) 자주와 주체를 지향한 통일국가
고려말기에 이승휴(李承休)는 우리 민족이 이룩한 역대 나라를 운문체로 엮어 찬양하는 글(제왕운기)을 남겼다. 이승휴는 발해를 고구려의 계통을 이은 나라로 여겨 우리 나라 역사에 포함시키는 역사의식을 보여주었다. 그는 발해가 거란에 멸망당하였을 때 같은 갈래인 고려로 귀화한 사실을 강조했다. 곧 예부경 대화균(大和鈞)과 사정경 대이저(大以著)가 발해 유민 600호를 이끌고 고려로 투항한 사식을 기록한 것이다. 이규보는 이에 앞서 『동명왕편』을 써서 고구려의 건국과 그 시조를 찬양하였다. 그는 신라의 시조 혁거세 편을 쓰지 않았다. 이는 고려가 신라의 전통을 이은 것이 아니라 고구려의 전통을 이었다는 역사의식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려 지식인의 역사의식은 고려의 건국 정신과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고구려와 발해, 그리고 고려로 계통이 이어져 내려온다는 정통성과 정체성을 띠고 있다. 김부식의 신라 중심사관과는 철저하게 궤적을 달리하였다.
왕건이 태봉을 찬탈하였을 때 주저 없이 나라의 이름을 고려라고 한 것은 고구려의 계통을 잇는다는 정신에서 나온다. 그는 궁예보다 이 지역 정서를 더 잘 알고 있었다. 또한 고려라는 이름은 고구려의 정신을 계승하여 북방으로 진출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기도 하다. 고구려는 중국의 역대 국가들과 맞선 주체성을 지닌 자주국가였다. 자주와 주체를 표방한다는 것은 명분론과 깊은 연 관이 있다. 통치제도의 용어를 보면 그 실체를 알 수 있다. 첫째, 왕건은 황제에 걸맞은 용어를 사용하였다. 황제라는 칭호는 중국 중심의 세계 질서를 확립하면서 비롯되었다. 둘째, 왕건은 왕위에 올라 천주(天授)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제후는 연호를 독자적으로 쓸 수 없고 중국 황제의 연호를 써야한다. 천수는 '하늘이 준다'는 뜻이다. 왕건은 고구려의 천손족(天孫族)의식을 본받아 이 연호를 썼을 것이다. 다른 의식에서도 황제에 걸맞은 용어를 사용하였다. 왕이 자신을 부를 때 과인(寡人) 대신 짐(朕) 이라 했고, 신하들이 임금을 부를 때 전하(殿下) 대신 폐하(陛下)라고 하였다. 또 임금의 부모를 황고(皇考)와 황비(皇妃)로, 임금의 아내를 황후(皇后)로, 왕위를 이을 아들을 세자(世子) 대신 태자(太子)라고 하였다. 이것 외에도 황제에 걸맞은 호칭과 제도는 통치조직과 종실(宗室), 종묘(宗廟)제도에도 적용되었다. 황제는 천명을 받아 등극하였으므로 하늘에 제사를 올리는 의식을 치른다. 해마다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의식을 원구제(圓丘祭)라고 하고, 제사를 지내는 장소를 원구단이라고 한다. 고려는 원구단을 만들었으나 신라는 설치하지 않았다. 이런 것들을 통하여 고려 왕조는 자신들의 나라가 명분성과 전통성을 갖춘 통일을 이루었다는 것을 나타내려 하였다.
Ⅲ.결론
지금까지 고려왕조의 성립과정과 시대적 상황 등을 살펴보았다. 우리가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그런 역사적 사실을 보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통해 분석과 비판을 해야 한다. 그렇다면 이런 고려의 후삼국 통일이 지니는 역사적 의미는 무엇인가?
앞서 있었던 신라의 삼국통일은 삼국이 하나가 되는 진정한 민족의 통합을 이루었다기보다는 신라가 백제와 고구려의 옛 지역 일부를 지배한다는 의미를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신라라는 이름을 그대로 썼고 또 수도도 동남쪽 모퉁이에 치우쳐 있는 경주에 그대로 두었다는 점들이 그렇다. 다만 5소경을 두어 그 한계를 메우려고 한 것뿐이다.
이에 비해 고려는 비교적 영토의 중앙의 있는 개경을 새 수도로 정해서 전국적으로 지리적 위계를 균등히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일단 내용적인 통합에 한발 더 다가선다. 그러나 국호를 '고려'라고 하는 점에서 보이듯이 '고구려'계승의식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아직 삼국단계의 지역의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런 한계는 민족의 기원인 '고조선'에서 국호를 따오는 '조선'단계에 가면 분명히 극복하고, 한강을 끼고 있는 서울에 수도를 정함으로써 질적인 그리고 동시에 지역적인 통합을 이루어 내기에 이른다.
비록 고구려의 옛 땅을 모두 차지 못하고, 정신적으로도 고구려 계승의식과 신라계승의식의 갈등을 해소하지 못하는 한계는 있지만. 고려의 후삼국 통일은 그 이후 남북이 분단되기 전까지 우리 민족이 하나의 국가체제를 유지하여 오는 시발점이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신라의 통일이 발해가 있음으로 해서 남북국시대라고도 불릴 정도로 불안전한 것이었던 반면 고려의 통일은 비록 발해가 있던 지역까지를 완전히 포섭한 통일은 아니었지만 그 일부를 받아들임으로써 비로소 오늘날도 이어지는 민족국가의 원형을 이루었던 것이다. 또 신라의 삼국통일에는 당나라가 중요한 변수가 되었지만, 고려의 후삼국 통일에서는 중국이 전혀 변수가 될 수가 없었다. 당시 중국은 당이 망하고 5대 10국의 분열시대로 들어가는혼동기였기 때문이다. 고려의 독자의 힘으로 통일이란 과업을 이루어냈다는 점에서 신라보다는 한 단계 높은 자주적 통일이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및 SITE.
①「시와 이야기가 있는 우리역사」, 박한용외 2명, 동녘, 1997
②「역사 속의 역사 읽기」, 고석규 고영진, 풀빛, 1996
③「한국 역사상 라이벌」, 김갑동, 신서원, 1995
④「궁예, 견훤, 왕건의 열정의 시대」, 이도학, 김영사, 2000
⑤「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2」, 한국역사 연구회, 청년사, 1997
⑥「최초의 민족통일 국가 고려」, 이이화, 한길사, 2000
⑦ www. oneness. pe. kr
⑧ www. kado. net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10.29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17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