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금방울전>에 나타난 사상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序
2. 작품의 개요
3. 불교사상
3-1. 보은사상, 인과응보사상
3-2. 용신신앙
3-3. 윤회사상
4. 유교 사상
4-1. 孝
5. 도교 사상
5-1. 공간 배경에 나타난 도교적 성격
5-2. 인물에 나타난 도교적 성격
6. 민간신앙
6-1. 현몽
7. 결론

본문내용

예언적 능력이 있으며, 또한 꿈이 신과 인간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7. 결론
<금방울전>은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다양한 설화적 요소들을 한 작품 안에서 연결시켜 복잡한 이야기 구조를 가지는 고대소설이다. 이 소설의 작자가 평민층으로 추정되고 또 오랜 시간 이어져 내려온 설화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다는 데서, 여기에 내포된 다양한 사상적 배경들은 당시 일반적인 사람들이 가졌던 가치관과 의식체계를 엿볼 수 있는 귀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금방울전>의 배경 사상으로는 먼저 불교적인 특색을 들 수 있다. 남주인공 海龍의 탄생은 동해용왕의 아들 龍子가 위기에 처했을 때 장공부인이 그를 도와준 것 때문에 용왕이 그 은혜에 보답하고자 장공부부에게 아들을 점지하여 이루어진 것이므로, 이는 불교에서 말하는 報恩思想과 因果應報思想이 반영된 것이다. 또한 前生의 龍子와 龍女가 이승에서 해룡과 금방울로 탄생하고, 전생의 夫婦緣을 이승에서 다시 맺었다가 후에 다시 仙界로 돌아가는 구성을 보임으로써 불교의 輪廻思想과 緣起思想이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생에 용신의 아들이었던 해룡이 이승에서 나라의 위기를 구하고 위왕의 자리에 오르는 데서 호국불교적 성격을 지닌 龍神信仰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이 용신신앙은 <금방울전>에서 도교적인 성격으로도 나타나는데, 이는 龍神이 옥황상제의 下位 神으로 그려지는 장면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금방울전>에 나타나는 유교적 배경은 금방울의 탄생과정에서 두드러지는데, 막씨의 孝行이 지극하여 이에 대한 표창으로 금방울을 점지 받게 되는 것은 孝사상의 반영이라 할 것이다.
이밖에 仙界의 공간이나 옥황상제, 신령, 학발노옹, 선관, 선녀 등 도교적 인물들의 출현, 그리고 금방울이 선관들로부터 받게 되는 신통한 능력 등에서 도교적인 배경사상을 엿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해룡과 금방울이 탄생하는 과정에서 꿈을 통해 이들의 탄생이 예언되고 이것이 실현되게 되 는데, 이는 現夢에 대한 민간신앙적인 요소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박용식 역주(1995), 『한국고전문학전집 16』,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成耆說,(1976), 『韓國口碑傳承硏究』, 일조각
金惠鄕(1993), 「<金鈴傳>의 說話的 背景과 思想 硏究」, 朝鮮大석사학위논문
최운식(1995), 『한국 고소설 연구』, 보고사
반교어문학회, 『고소설의 사적전개와 문학적 지향』, 보고사
  • 가격1,4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2.14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3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