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한국문학의 여성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시대별 여성성의 확인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본 보고서는 한국문학에 나타난 여성성의 변천과 그 양상을 시대순으로 확인하여, 여성성의 변화와 문학에 나타난 여성의 역할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 보고서에서 다루게 되는 작품과 작가는 다음과 같으며, 1950년대 이후의 여성성의 역할이 더욱 중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오몽녀>(이태준, 1925)
<가마귀>(이태준, 1931)
<별>(황순원, 1940)
<독짓는 늙은이>(황순원, 1950)
<무진기행>(김승옥, 1964)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윤흥길, 1977)
<<원미동 사람들>>(양귀자, 1987)
<처용단장>(김소진, 1993)
이상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에 나타난 여성성의 변천에 대해 좀 더 깊이 있게 살펴보자.

2. 시대별 여성성의 확인

우선 대상 작품을 연대순으로 나열, 연대 별로 작품에 드러나 여성성의 모습을 살펴보자.
본 보고서에서의 연대는 작품의 배경상의 연대가 아니라, 작품이 창작된 연대를 기준으로 나열하였다.

<오몽녀>(이태준, 1925)
<가마귀>(이태준, 1931)
<별>(황순원, 1940)
<독짓는 늙은이>(황순원, 1950)
<무진기행>(김승옥, 1964)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윤흥길, 1977)
<<원미동 사람들>>(양귀자, 1987)
<처용단장>(김소진, 1993)

가. 1920년대
<오몽녀>(이태준, 1925)
<오몽녀>는 이태준의 데뷔작으로, 오몽녀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을 살펴보자. <오몽녀>에는 주인공 오몽녀를 제외하고는 다른 여성이 등장하지 않는다. 이 오몽녀의 역할은 신소설에서부터 나타난 여성의 수난 이야기의 한 전형에 가깝다. 자신의 운명을 자신의 뜻대로 좌우할 수 없고, 주변의 남성들에 의해 자신의 운명이 결정되어 버리는, 수난과 남성에 의한 수난의 극복이라는 전형적인 수난 이야기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한 가지 다른 점은 기존의 여성상과는 다른 확실한 불만의 표출, 자신의 욕구에의 직시 등이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실은 총각으로 늙어 온 지참봉이 아홉 살 된 오몽녀를 점치러 다닐 때 길잽이로 삼십 몇 원에 사다 길러 온 것이다.”
“오몽녀는 생선이나 백합이 먹고 싶을 때면 늘 이 배에 나와 주인없는 새 들어갔다.” 이 대목을 통해 자신의 욕구가 도덕적 관념보다 앞서고 있음을 보여준다.
“남순사는 좋은 기회로 여기고 오몽녀를 객보 안한 죄로 유치장에 갖다 넣었다.” 이 대목에서 오몽녀의 수난은 남성에 의한 여성의 갈취를 목적으로 하는 수난이다.
이 소설에서 여성은 분란의 씨앗이며, 남성들이 갈구하는 무엇인가를 상징하고 있다. 그러나 남성들이 갈구하는 것은 단지 성적인 욕망의 충족 대상으로서의 역할일 뿐 정상적인 애정 혹은 사랑의 대상은 아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3.03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2869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