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고전문학사 - 조선시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의 고전문학사 - 조선시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조선 전기의 문학(15세기∼16세기)
1. 패설의 성행과 소설의 발생
1) 패설의 성행
2) 소설의 발생
2. 시문학에서의 사실주의적 경향의 강화
1) 봉건사회의 불합리하고 모순에 찬 현실을 폭로한 작품들
2) 여류시가의 발전
3. 국문시가의 활발한 창작
1) 시조의 활발한 창작
2) 가사의 발생과 발전

Ⅲ. 조선 중기의 문학(17세기)
1.반침략 애국주의 문학
1) 소설 <임진록>과 <박씨부인전>
2) 박인로의 가사 <태평사>와 <선상탄>
3) 애국주의 사상감정을 노래한 대표적인 서정시
2. 소설의 활발한 창작과 당대현실에 대한 비판적 기백의 강화
1) 소설<홍길동전>과 <전우치전>
2) 김만중의 소설 <사씨남정기>와 <구운몽>
3. 시가문학의 다양한 발전
1) 현실생활의 부정적인 면을 폭로 비판한 대표적인 한자시 작품
2) 권필의 시문학
3)윤선도의 국문시가
4)잡가

Ⅳ. 조선후기문학(18세기 ∼ 19세기)
1. 소설문학의 다양한 발전
1) 소설문학의 새로운 경향
2. 구전설화에 토대한 국문소설
3.시가문학의 새로운 풍조
1) 국문시가
2)서민한자시문학
3) 한자시문학
4. 실학파 문학
1) 박지원의 소설
2) 정약용의 시가

Ⅴ. 결론

본문내용

이것은 김천택이 육식자, 즉 양반부들의 생활보다도 수수하게 먹으면서 떳떳하게 살아가는 서민들의 생활이 오히려 낫다는 것을 노래한 시조이다. 여기에는 양반부호들과 서민들의 생활감정이 대조적으로 반영되어 있으며 양반부호들에 대한 은근한 비난의 감정이 반영되어 있다.
서민들은 평시조와 함께 사설시조와 가사의 변형형태인 잡가를 많이 이용하고 발전 시켰다.
사설시조는 17세기 후반기에 발생하였으나 그것이 급속히 발전하고 활발히 창작된 것은 18세기 이후 서민들의 시가문학에서부터이다. 사설시조를 활발히 창작한 것은 도시 주민들의 생활 감정을 그 어떤 격식화된 형식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분방하게 반영하려는 지향의 반영이었다.
잡가의 창작에는 가객을 비롯한 도시 주민들이 참가하였으며 특히 광대의 역할이 컸다. 서민문학의 독특한 형태인 잡가는 도시 주민들의 자유분방한 낙천적인 생활 감정을 노래한 것으로 하여 당시 국문시가 분야에서의 근대적 요소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2)서민한자시문학
풍요라는 말은 본래 민간에서 불리워지는 노래, 즉 민요라는 뜻을 쓰이었다. 그런데 이 시기 서민 출신의 시인들은 불합리를 보여주면서 봉건통치배들의 수탈행위에 대한 인민들의 저주의 감정과 원망을 반영한 것들도 적지 않다.
농부의 일생 너무나 가련해라
가을걷이 끝나면 너무나 가련해라
한 해에 흘리는 땀 몇 말이런가
잠시도 손발이 쉴짬이 없구나
고운 손 자진 자는 어떤 놈의 자식이길래
바람받이에서도 부채질만 하는가
찬이슬 내리는 하늘 높은 철이면
공들여 가꾼 낟알 지다 털린다네
- 차좌일의 <농부> -
3) 한자시문학
이 시기에 들어 한자시문학도 새로운 풍조를 보이며 발전하였다.
홍량호, 김려, 김삿갓의 시들은 이 시기의 한자시문학의 특성을 보여주는 우수한 작품들이다.
그 중 김삿갓은 독특한 창작적 개성을 가지고 진보적 한자시문학을 형성해 갔다. 그는 엄격하게 격식화된 종래의 한자시작시법을 그대로 답습하지 않고 파격시들을 많이 창작하였다.
二十樹下三十客 스무나무 아래 설흔 나그네
四十村中五十食 마흔 놈의 마을에 가니 쉰밥을 주더라.
人間豈有七十事 인간 세상에 어찌 일흔 일이 있으랴
不如歸家三十食 집에 돌아가 설흔 밥을 먹음만 못하구나.
이 시는 한잘 표기되어 한자시와 비슷하나 순수한 한자시와는 달리 뜻새김으로 조선 말을 표기한 독특한 표기법을 쓰고 있다. 이와 같이 활달하고 자유분방한 필치와 풍자적 수법의 재치있는 활용으로 봉건 말기의 현실을 생동감 있게 반영한 것으로 하여 중세 마지막 시기의 문학을 풍부히 하는데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다.
4. 실학파 문학
실학파 문학은 학문에 대한 실사구시적인 태도로부터 주자성리학을 비판적으로 대하고 통치배들의 사대주의에 대한 불만과 민족적 자각을 가지고 불합리하다고 생각한 봉건질서를 개혁할 것을 주장하는 실학사상에 기초하여 창조 발전된 문학이다.
박지원, 정약용을 비롯한 실학자들은 문학이 자기의 기능을 높이자면 무엇보다도 자기 나라의 현실에서 작품의 소재를 얻고 생활을 실감있게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실학자들은 진보적인 미학적 견해로부터 출발하여 보수적인 양반문인들의 그릇된 창작태도에 타격을 가하고 사실주의적인 문학발전을 추동하는데 이바지 하였다.
1) 박지원의 소설
1760년대 말에 창작한 <양반전>은 봉건사회 말기의 계급관계 특히 몰락해가는 양반들과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생으로 하여 새로 대두하는 부유한 계층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면서 양반들의 부패, 무능과 몰락상, 파렴치한 약탈과 안일 사치한 생활을 풍자적으로 폭로 비판하고 있다. 이 소설은 예술적 측면에서 볼 때에도 종래의 일대기식 전기체소설 형식을 그대로 답습하지 않고 있으며 주체사상해명에 복종하는 생동한 성격의 창조와 사건과 갈등의 중점적이고 집약적인 묘사로 특징 지어진다.
2) 정약용의 시가
실학파문학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시문학이다. 실학파의 시가문학에서의 정론성은 봉건통치제도의 불합리와 봉건위정자들의 죄행에 대한 폭로와 비판, 사회적 불합리를 없애는 것에 대한 지향으로 표현되고 있다.
정약용의 시문학은 자신의 생활체험을 토대로 한 진보적인 사회개혁사상과 미학견해의 예술적 구현이었으며 애국적 감정의 표현이었다.
시냇가 찌그러진 집 게딱지 같은데
북풍에 이엉걷혀 서까래만 앙상하네
묵은 재에 눈이 덮여 부엌은 차디차고
허물어진 벽틈으로 별빛이 비쳐드네
이는 <적정촌의 오막살이>라는 시로 시인이 농민들의 비참한 생활 처지를 동정하여 지은 것으로 여기에는 당ㅅ히 인민들의 눈물겨운 생활모습에 생동감 있게 그려져 있다. 이 시는 서정적 주인공의 주정 보다도 객관적인 사실을 그대로 생동감 있게 보여주면서 불합리로 뒤엉키고 모순에 찬 당대의 사회현실을 폭로하고 가난한 농민들에 대한 동정을 표시한 것이 특징적이다.
Ⅴ. 결론
지금까지 조선시대 문학의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앗다. 각 시기별로 그 시대적 상황이나 역사적 사건에 따라 수반되는 특성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조선 초기에는 한글의 창제로 패설이 발전하고 여류시인들의 작품이 많이 쓰여졌고, 중기에는 잦은 외침에 반침략적이고 애국적인 감정을 표현한 작품들이 많이 쓰여졌다. 후기에는 봉건 사회의 붕괴 과정을 사회역사적 배경으로 삼아 새로운 변화들을 반영하여 반봉건적 경향과 근대적 요소를 짙게 표현한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러한 조선 시기의 문학사적 배경에 관해서는 남북한 모두 비슷한 견해를 보이지만, 개개의 문학작품을 바라보는 관점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남한작품해석에 있어 대체적으로 유연한 태도를보이는 반면 북한은 해석상에 있어 가시화되고 정형화되어 있는 해석기준을 가진다. 작품해석에 있어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의 대립, 즉 지배층의 착취와 피지배계층의 궁핍한 삶, 이에 따른 피지배계층의 지배계층에 대한 투쟁 등 이분법적인 관점으로 작품을 바라보는 것이나, 사실주의적이고 애국적인 내용을 담은 작품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이 그 예이다.
<참고문헌>
1. 설성경, 유영대, <북한의 고전문학>, 고려원, 1996
2. 정홍교, 박종원, <조선문학개관>, 인동, 1988
3. 김헌영, <조선문학사1>, 천지, 1989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5.11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66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