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혼가정의 갈등과 기독교적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일반적인 관점의 재혼
1)재혼의 정의
2)재혼에 관한 기초적 이해

2.재혼가족의 갈등실태
1)부부관계에서의 갈등
2)자녀관계에서의 갈등
3)친족관계에서의 갈등

3.성서에 나타난 재혼에 대한 기본적인 고찰
1)성경의 재혼에 대한 구절들
2)재혼에 대한 성경적 이해

4.이혼과 재혼에 대한 기독교의 입장
1)방임주의적 입장
2)이상주의적 입장
3)법적 입장
4)치료주의적 입장

5.재혼을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한 사역

6.재혼 가족을 위한 정책과제
1)법,제도적 차원
2)프로그램 개발
3)사회적 인식전환을 위한 노력

본문내용

심리적 불편함, 자녀에 대한 미안함, 학령기 자녀의 매학기 일일이 교사에게 해명해야 하는 어려움으로 고통당하고 있다.
2)재혼가족을 위한 전문상담시스템 구축 - 온라인 상담 서비스 등
재혼가족을 위해서는 공개적인 프로그램보다는 재혼자들의 수기와 전문가의 상담이 실린 책자나 자신의 익명성이 보장되는 온라인 상의 상담이 더 현실적일 것이다. 재혼가족이 아직까지 정상가족의 기준에서 벗어난 것으로 취급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봤을 때 재혼 당사자들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3)여성한부모와 재혼 여성의 경제활동 지원 방안수립
성차별적인 노동시장의 시스템으로 인해 여성들이 남성에 비해 일자리를 구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제한을 받고 있는 현실에서 이혼에 따르는 여성들의 경제적 빈곤화는 이혼이나 재혼한 적지 않은 여성들로 하여금 재혼을 생계유지 방편의 하나로서 선택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맥락의 재혼은 부부간의 권력관계에 불균형을 야기해 재혼 가족 구성원들 간의 적응에 부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재혼한 여성들이 노동시장에 참여해 자신의 경제적 기반을 이룰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정책이 필요하다. 더불어 이혼이나 사별로 인한 한부모 가족의 여성들이 단순히 경제적인 이유만으로 재혼을 선택하지 않도록 이들의 자립을 도와주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4)재혼 가족에 대한 정확한 통계확보
재혼 가족에 관한 법, 정책적 지원을 위해서 일차적으로 필요한 것은 현재 재혼 가족의 현황 파악이다. 재혼 가족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 중 동거 자녀와의 관계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이 부분에 대한 적극적인 법, 정책적 제언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가족형태에 대한 통계가 근거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동거 자녀 상황, 동거자녀의 호적상황, 자녀의 의료보험 상황 등이 파악될 필요가 있다.
2. 프로그램 개발
1)재혼가족의 가족 내적 안정성 강화 프로그램
재혼 가족 구성원들이 새로운 가족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명제는 '가족이 인위적인 노력으로 만들어 진다'라는 생각이다. 물론 이것은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 이 사회전체가 가족에 대해 갖고 있는 선입견이다. 가족은 언제나 자연스럽게 주어진 것이지 노력으로 획득해야 하는 대상이었던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막상 재혼생활을 경험한 당사자들은 재혼전의 준비, 사전 교육, 재혼생활중의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가족은 구성원들 간의 노력과 합의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라는 관점 하에서 재혼가족의 구체적 현실에 기초한 교육 프로그램이 만들어져야 한다.
3. 사회적 인식의 전환을 위한 노력
1)다양한 가족형태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전환
사회적으로 다양한 가족형태가 존재하고 그것은 '정상가족'이 되지 못한 혹은 '정상가족'과 같아져야 하는 일탈된 가족형태가 아닌, 있는 그대로 인정되어야 하는 또 하나의 가족이라는 사회적 수용을 끌어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에서의 교육과정에서도 가족의 다양성에 대한 부분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2)교육과 공적 정책 개입이 필요한 영역으로서의 가족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 켐페인
일반적으로 가족에 관련된 사항은 교육의 대상이 아닌 철저한 사적 영역이라고 인식된다. 재혼생활을 하면서 가족구성원들은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대조적으로 재혼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막상 재혼 생활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예상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다. 재혼 생활에 들어서기 전에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는 가족이란 '저절로 굴러가는 집단'이라는 의식이 강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즉 가족을 교육과 노력의 대상으로 보지 않는 고정관념에 기인한 것이다. 따라서 가족이 필요에 따라서는 외부의 적극적 개입에 의한 교육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가족원들의 태도와 의식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사회적 켐페인이 필요하다.
참고도서
단행본
성경이 가르치는 결혼, 이혼, 그리고 재혼, 제이 E. 아담스, 김성혜 김성희 역, 도서출판 베다니, 1996
재혼가족의 적응실태와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장혜경, 한국여성개발원, 2002
이혼과 재혼론, John R. Martin, 최대준 역, 아가페출판사, 1978
논문
결혼 이혼 재혼에 관한 성경적 고찰, 호신대신대원 석사학위논문, 정찬국 1998
이혼과 재혼에 관한 고찰, 고신대 신대원 석사학위논문, 기동연, 1993
인터넷 사이트
열린가족상담센터 http://www.familyss.com
한국단기가족치료연구소 http://www.brief-therapy.or.kr
한국가족치료학회
기사
이혼과 재혼에 대한 기독교적인 견해, 빛과 소금, 하우스웨인, 통권102호(1993년 9월) 78p.
재혼생활이 너무도 어렵습니다, 빛과 소금, 김수지, 통권32호(1987년 11월) 78p.
독신 이혼과 재혼, 빛과 소금, 박희민, 통권53호(1989년 8월) 244-246p.
이혼과 재혼에 대한 성경적 교훈, 신앙계, 전택부, 통권234호(1986년 9월) 82p.
재혼부부상담 이렇게 하라, 목회와 신학, 심상권 통권66호(1994년 12월) 211p.
그리스도인의 이혼과 재혼, 진리논단, 강인한, 통권3호(1999년 4월) pp.265-292
이혼한 뒤 재혼한 사람들에 대한 사목, 사목, 교황청 가정평의회, 제224호(1997년 9월) 118 p.
재혼가정의 갈등, 송정아 교수의 상담교실, (월간)고신, 송정아, 통권189호(1997년 6월) 94 p.
재혼! 아픔의 치유책인가?, (월간)고신, 신원하, 통권214호(1999년 7월) p94
이혼과 재혼에 대한 목회적 가르침, 목회와 신학, 김서택, 통권147호(2001년 9월) pp.79-87
기상이슈 이혼과 재혼 그리고 교회의 준비, 基督敎思想, 김성수, 통권521호(2002년 5월) 138 - 145
집중추적5 재혼 '완전한 사랑?', 가정과 상담, 편집부, 통권77호(2004년 6월) pp.144-145
늘어나는 재혼가정 집중추적3, 가정과 상담, 편집부, 통권80호(2004년 9월) pp.150-15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5.26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88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