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Proposal 작성 전략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프로포절

2.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3. 프로그램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4. 프로그램의 과정
1) 프로그램의 정의
2) 프로그램 구조

5. 프로포절(Proposal)의 개념과 내용
(1) 프로포절에 포함되는 내용
(2) 프로포절 심사시 일반적 고려사항

6. 경쟁력 있는 프로포절 작성법

7. 프로그램 평가
1) 프로그램 과정평가
2) 성과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예산
항 목
산출근거
예산조달계획
항 목
직접비
간접비
신청금액
자부담
인건비
관장
3000만원×0.02×1년=60만원
60만원
프로그램담당자
1500만원×0.3×1년=450만원
100만원
350만원
강사비
2만원×50시간=100만원
100만원
소계
100만원
510만원
200만원
410만원
사업비
현수막제작
1개×10만원×3개=30만원
30만원
숙박비
1만×3일×30명=90만원
90만원
캠코더 대여비
3만원×4일×2대=24만원
24만원
소계
144만원
144만원
관리비
냉난방비
1일×5만원×10일=50만원
50만원
차량유지비
1달×15만원×2개월=30만원
30만원
소계
80만원
80만원
기 타
소계
총 계
244만원
590만원
344만원
490만원
(7) 프로포절의 마지막 부분은 평가계획이다. 과정평가계획은 프로그램 일정표에 설정된 진행과업의 시기별 공정표를 작성하는 것으로 대신할 수 있고, 성과평가계획에는 평가지표, 측정도구, 평가방법 등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전문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을 하는 기금일수록 보다 구체적인 평가계획안을 요구한다.
결론적으로 프로포절은 경쟁이다. 따라서 프로포절을 통해 귀 기관에서 제안하는 프로그램이 문제해결을 위한 최선의 대안임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참여예정자 혹은 지역사회 주민들의 추천서를 첨부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7. 프로그램 평가
1) 프로그램 과정평가
과정평가는 프로그램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진행과업의 달성여부를 평가하는 것으로 이 항목은 프로그램 일정표에서 설정된 진행과업(예 :클라이언트 참여확보, 홍보 등)의 시기별 공정표를 작성하여야 한다. 수행시기는 각 진행과업별로 분기별, 월별 등 어느 구분이나 가능하며 또한 진행 과업의 달성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제시하여야 한다(월별 업무일지 등). 여기서 제시한 진행과업의 수행시기별 목표달성정도를 평가하여 중간보고서에 기재하여야 하며, 목표가 미달성되었을 경우 그 사유와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상술하여야 한다.
2) 성과에 대한 평가
성과에 대한 평가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효율성, 질, 효과성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고 규칙적으로 수집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림1> 프로그램의 시스템 모델과 성과 평가와의 관계
┌─────────────────────────Effectiveness Perspective───┐
│ ┌─────Efficiency Perspective─────┐ │
│ │ │ │
투 입 ----> Human Service Program ----> 산 출 -----> 품질 산출 -------> 결 과
│ │
└─────── Quality perspective─────────────┘
① 효율성 관점 (Efficiency Perspective)
투입(Input)에 대한 산출물(Output)의 비율로 생산성을 평가하는 것이 효율성 관점이다. 즉 동일한 투입(Input)하에 더 많은 산출물(Output)을 생산하는 것은 무엇인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더 효율적인 방법들은 없는가, 얼마나 경제적으로 목적을 성취하고 있는가 등을 파악하려 한다. 휴먼 서비스 프로그램에서 예를 들면 제공된 서비스의 양과 프로그램을 종결하는 클라이언트의 수(Outoput)를 파악하고 이를 투입된 비용(Input)과 관련하여 비교하는 것이다.
② 품질 관점(Qualitiy Perspective)
품질 관점(Qualitiy Perspective) 이란 투입(Input)과 관련하여 질적인 산출물(Output)을 최대화하는 것을 추구한다. 총체적 품질관리(TQM)이론에 따르면 프로그램의 생산성은 높은 품질의 서비스가 제공될 때 증가하고 낮은 수준의 서비스가 제공될 때 감소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회복지서비스 프로그램에서 높은 수준의 서비스는 시행착오의 감소, 과정시간의 단축, 재원의 증가, 클라이언트의 만족감 향상, 비용감소, 지역사회로부터의 이미지 개선 등의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③ 효과성 관점 (Effectiveness Perspective)
프로그램에 의해 의도된 결과나 급부들이 성취되었는가에 주된 관심이 있다. 효과성관점은 투입(Input)에 대한 성취 혹은 결과(Outcomes)의 비율과 관련이 있으며 이 관점에서는 투입(Input)과 관련하여 성취 혹은 결과(Outcomes)를 최대화하는 것을 추구한다. 사실상 투입(Input)을 별로 고려하지 않고 변화된 것을 중심으로 측정한다.
3) 성과 측정의 유형
① 수량집계(Numerical counts) - 클라이언트의 flow와 관련된 명목적 측정이다. 이는 특수한 질문에 대해 예 또는 아니오 대답을 요구한다.
② 표준화된 척도(Standardized measures) - 실천가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고 타당화된 객관적인 도구이다 (예 - Minne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와 Stanford-Binet와 같은 표준화된 지능검사가 있다.
③ 기능수준 척도(Level of funtioning scales) - 특별한 집단과 문제에 친숙한 다른 전문가들과 직원에 의해 발달된 도구이며,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실천가들은 기능의 여러 면에 관한 클라이언트를 평가하도록 요구되어진다.
④ 클라이언트의 만족도(Client satisfaction)- 만족은 좀더 실체적인 것, 궁극적인 성과와 같은 것들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클라이언트 만족 측정은 “매우 만족”에서 “매우 불만족”까지의 반응을 갖는 질문들의 발전을 요구한다.
궁극적인 성과를 결정함에 있어서 4가지 측정 중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양적 총계 또는 기능 척도는 궁극적인 성과에 더 적절하다. 그 이유는 궁극적인 성과 기대는 중간성과 기대보다 더 포괄적이고 넓은 범위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표준화된 척도나 클라이언트 만족도의 점수보다 더 포괄적인 측정을 요구한다. 성과 측정은 생활 조건의 안전성, 만족한 인간관계, 고용, 교육, 그리고 다른 주된 생활 활동과 성취감과 같은 삶의 질의 전반적 요인들을 포함하고 있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8.11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4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