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수출입 구조 및 특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수출입 구조 및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수출입 구조
(1) 수출 구조 변화
(2) 수출구조의 변화 요인
(3) 수입구조

Ⅲ. 향후 발전 과제 및 전망

Ⅳ. 결론

본문내용

지만 우리기업의 가격경쟁력 확보 노력에도 크게 기인한 것이다. 수출단가의 계속적인 하락은 수출기업의 채산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며 저임금을 바탕으로 한 후발 신흥 시장국의 추격이 계속됨에 따라 단가인하를 통해 수출경쟁력을 확보하 는 데도 한계에 직면할 것이다. 따라서 첨단기술제품의 개발노력을 증대함으로써 품질경쟁력을 강화함 과 아울러 수출주종품목을 다양화하여 수출기반을 더욱 튼튼히 하여야 하겠다.
한국·일본·대만의 연구개발비 관련 지표 비교
----------------------------------------------------------------------------------------------------
한국 일본 대만
1990 1997(A) 1990 1997(B) 1990 1997(C) A/B(%) A/C(%)
----------------------------------------------------------------------------------------------------
<연구개발비/명목GDP(%)> 1.88 2.69 2.74 2.92 1.91 1.92 92.1 140.1
<인구만명당 연구원수(명)> 16.4 22.3 39.2 54.3 21.5 28.3 41.1 78.8
<연구개발비/매출액(%)>
제 조 업 1.96 2.57 3.36 3.67 0.92 1.14 70.0 225.4
섬유·의복 0.96 0.82 1.76 1.77 0.52 0.27 46.3 303.7
화학제품 1.33 1.14 4.89 5.24 0.86 1.38 21.8 82.6
제 1차금속 0.43 0.63 2.33 1.92 0.33 0.24 32.8 262.5
전기·전자기기 4.85 4.63 5.86 6.05 2.53 2.54 76.5 182.3
정밀기기 3.52 5.19 5.94 6.28 0.39 1.66 82.6 312.7
운수장비 2.11 4.14 3.65 3.97 0.99 1.59 104.3 260.4
----------------------------------------------------------------------------------------------------
자료: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산업기술주요통계요람 1998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의 연구개발투자는 그 동안 증가하여 왔으나 아직 우리나라와 경 합관계가 높은 일본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고 있으며 주력제품의 기술수준도 선진국의 70% 수준에 불 과하다. 스위스 소재 세계경영연구원(IMD)이 47개국을 대상으로 국가경쟁력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1999년중 우리나라의 연구개발투자 순위는 세계 9위이나 과학기술력은 28위에 불과하여 연구개발투자 지출의 효율성이 매우 낮음을 시사하였다. 이에 따라 현재 우리나라의 많은 수출품목은 중국 및 동남 아 국가들의 低賃金·低費用 구조 하에서 생산된 中低級 製品과 일본의 하이테크 제품 사이에 끼여 있는, 이른바 넛 크랙커(nutcracker) 상태에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 함께 정부도 민간의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WTO 체제 하에서 정부의 직접적인 산업지원은 불가능하지만 技術開發補助金은 허용되므로 정부는 기업의 기술개발투자에 대한 財政支援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 정부총예산에서 차지하는 연구개발예산 비율(1996년 기준)은 우리나라의 경우 2.79%로 미국(4.5%), 일본(3.0%), 독일(3.9%) 등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 산업기술백서(1998), 123쪽 참조
. 또한 벤처산업의 육성을 통해 신기술의 창업을 지원하고 대학 및 연구기관의 우수 연구인력을 양성하는 한편 産·學· 硏의 협동연구체제를 강화함으로써 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을 높여야 하겠다.
선진국시장 점유율 제고
1990년대 들어 미·일시장의 비중 축소 및 신흥시장국시장의 비중 확대로 우리나라의 수출시장이 다 변화되었다. ============= 자료에 의하면 지속적인 고성장 및 무역수지 적자를 이유로 미국의 인플 레이션이 예상외로 빨리 진행될 것을 우려하여 미국시장에 대한 수출확대를 우려하고는 있지만, 미· 일 등 주요 선진국시장 점유율이 계속 하락하는 것은 우리 상품의 경쟁력이 약화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장래에는 신흥 시장국 시장에서도 우리나라 상품의 경쟁력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질 것으로 우려된다. 또한 1997년 동남아시아 외환위기 시 경험한 바와 같이 경제구조가 취약한 일부 신흥 시장국에 대한 과 도한 의존은 이들 국가의 경제위기 시 우리 수출에 큰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EU시장 점유율은 1%를 밑도는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데 2002년부터 단일통화 Euro화 도입 등으로 유럽경제통화동맹(EMU)이 성공적으로 정착될 경우 중장기적으로 유로지역 경제 규모는 미국에 필적할 정도로 확대되고 기초경제여건 강화에 따른 성장 잠재력 증대로 이 지역의 수입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 시장에 대한 수출증대 노력을 한층 강화해야 하겠다.
Ⅳ. 결론
한국경제의 외환 위기의 근본원인은 급격한 고도성장 과정에서의 성장원천이 그 한계이 이른 데 기인한다. 즉 한국경제의 성장원천은 자본 및 노동의 투입과 그로 인한 규모의 경제효과에 있었으며, 그 동안 필요한 기술혁신은 주로 해외자본재의 수입에 의존한 조립생산체제에서 기인한 것이다. 특히 자본투입의 상당부분을 일본과 미국 등 선진 외국으로부터의 자본재 수입에 의존했다는 것은 외국기술로 만들어진 자본설비가 한국의 고도성장에 많은 기여를 했슴과 동시에 필요한 상당수의 핵심기술 역시 기술도입, 외국인투자 등의 형태를 통해 도입됨으로써 생산구조가 조립위주의 생산체제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국자본재의 수입에 의존한 조립체제는 궁극적으로 후발경쟁국에 쉽게 따라잡힐 수밖에 없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1990년대 갑작스런 무역적자의 누적을 가져올 수밖에 없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이러한 총체적인 경제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효율적인 거시경제 정책과 아울러 기업들의 기술축적을 위한 재투자 및 시장다각화 등의 경영전략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키워드

무역,   수출,   수입,   무역학,   국제무역,   한국경제,   경제,   수출입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9.10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1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