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생애와 국가론 정리 및 플라톤의 국가 영혼론 이데아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플라톤의 생애와 국가론 정리 및 플라톤의 국가 영혼론 이데아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생애
◎국가론 정리
<국가론> 1~10권 정리

◎플라톤의 국가
1. 정의란?
2. 인간의 기능과 국가의 계급
3. 철인군주설(철인정치)
4. 『국가』의 결함
5. 『국가』의 의의

◎영혼론

◎이데아론

본문내용

련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플라톤은 이데아의 다양성에만 주목하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플라톤의 문제는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서 구체적으로 해소된다.
2. 이데아
이데아 혹은 에이도스(eidos)의 원뜻은 '눈에 보이는 형상'인데, 소크라테스의 사상을 계승·발전시킨 플라톤에 있어서는, 그것은 육안에 보이는 형상을 기연(起緣)으로하여, 사유의 눈에 의하여 관득(觀得)되는 제사물의 진실재(眞實在)를 의미한다.
플라톤 철학의 기본 개념. 동사 이데인(idein:보다, 알다)의 파생어로, 원래는 ‘보이는 것’, 모양 모습, 그리고 물건의 형식이나 종류를 의미하기도 했다. 플라톤 철학에서는 육안(肉眼)이 아니라 영혼의 눈으로 볼 수 있는 형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것은 아이데스(보이지 않는 것)라고 불리며, 이성(理性)만이 파악할 수 있는 영원불변하고 단일한 세계를 이루어, 끊임없이 변천하는 잡다한 감각세계의 사물과는 구별된다. 생성하는 감각세계의 사물은 이데아를 본떠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그것은 진실한 존재가 아니고, 이데아야말로 진실한 존재, 즉 우시아[實有]이며, 궁극의 진실을 추구하는 애지(愛知), 즉 필로소피아(철학)의 궁극의 목적이다.
예) 삼각형, 동굴
3. 동굴의 비유
플라톤은 이데아를 설명하기 위해 <국가>의 7권 앞 부분에서 ‘동굴의 비유’를 하고 있다.
우리는 그로부터 플라톤의 의도를 읽어 낼 수 있다. p 448참고
먼저 플라톤은 동굴의 비유를 통해 두 세계로 구분하고 있다. 동굴안은 우리의 일상적인 세계, 즉 현상세계를 의미한다. 그 세계는 습관과 감각, 상식이 지배하는 세계이기 때문에 실재를 파악치 못하는 그림자의 세계요, 끊임없이 변화하여 혼돈이 지배하는 유동과 생멸의 새계이다. 따라서 이 세계에서는 인식론적, 존재론적으로 확실한 기준과 근거를 찾을 수 없기에 불확실한 감감의 세계로 규정된다. 반면 동굴 밖의 세계는 참다운 실재요, 진리이다. 항구적 불변의 세계이므로 인간의 이성적 인식의 대상이며, 윤리적 가치 판단의 기준이 되는 정신의 세계, 예지의 세계이다.
다음으로, 인간은 무지와 편견으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플라톤이 인간을 동굴 속에 묶여진 죄수라 비유함은, 일상의 인간은 감각과 속된 생각들에 사로잡혀서 감각적 인식을 진리로 고집하고, 실재, 즉 이데아의 세계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세속적 욕망에 사로잡혀 착각 속에서 생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세 번째로, 죄수가 동굴 밖으로 나옴은 진리 세계로의 탐구를 의미한다. 이러한 삶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무지의 자각이며 철학적 문답법이다. 자신의 상태를 무지의 상태로 자각하는 데에서 진리 추구의 길이 전개되고 여기에서의 끊임없는 이성적 대화의 방법은 동굴 밖으로 자신을 이끌어 내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네 번째로, 동굴의 비유는 인간이 진리에 이르는 인식의 과정을 보여준다. 플라톤은 동굴 안에서의 인식과 동굴 밖에서의 인식을 나누고 있는데, 이 두 인식은 다시 두 개의 단계로 구분된다. 저급한 단계인 동굴 안의 인식은 상상과 추측, 억측에 의해서 얻어지는 조잡한 주관적인 세계와 그 위의 단계인 감각적 경험을 통해서 얻어지는 신념의 세계인데, 이 두 단계는 모두 속견(俗見, doxa)에 속한다. 또, 동굴 밖의 세계의 인식 단계에는 공통적으로 성질을 추상하여, 즉 오성을 발휘하여 얻어지는 수학적 인식이 있고, 그 위에 지적 직관에 의한 철학적 인식의 단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동굴의 비유는 철학자의 사명을 보여준다. 플라톤은 동굴 밖에서 안으로 들어가 남은 동료를 배려하는 것은 진리를 먼저 인식한 철학자들의 의무라고 생각한다. 그는 철학적 의미를 개인의 구원이나 구제에 두지 않았고, 그보다는 도시국가 전체의 정의로운 삶에 큰 비중을 두면서 철인에 의한 이상국가 실현을 추구했다.
4. 삼각형의 비유
삼각형이 있다고 할때 우리 인간이 아무리 노력해도 내각의 합이 180도로 정확하게 맞아 떨어지는 삼각형은 그릴 수 없다. 인간이 인지하지 못하는 미약한 오차가 나기 때문이다. 즉 ‘삼각형’이란 것은 현실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개념화된 그 무엇이다. 플라톤은 완벽한 삼각형이란 것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고 ‘이데아’라는 이상적인 세계에서만 존재한다고 믿었다. 그에게 있어서 눈앞의 삼각형은 ‘이데아’에 있는 삼각형의 모방일 따름이다. 플라톤은 세상에 모든 사물을 이와 같이 봤다. 즉 A라는 사물이 있다면 그것은 허상이며, 그 본질은 ‘이데아’라는 세계에 있다는 것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1.05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1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