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소설 입장에서 살펴 본 주생전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傳奇的 요소
1-1. 삼각관계에 의한 애정갈등의 형상화
1-2. 전기소설의 美文의식
1-3. 비극적 정조의 지배
1-4. 전쟁소설의 모티브
1-5. 낭만적 문제 해결과 비극성의 본질
2. 현실적 성격의 강화 양상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零落(영락)하거나 죽고 고향에 없었다는 대목이나, 배도가 죽은 이후의 전개에서 현저하게 나타나는 여러 가지 사건들은 전기소설적인 특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갈등의 전개가 현실적 편폭을 확보하고 있고 인물의 형상화의 수준이 높아지고 있으나, 전기소설적인 특성에 긴박당하고 있기에 소설의 주제의식은 인간 운명의 비극성을 드러내는 쪽으로 가고 있다. 그러나 이 소설은 전반부에서 삼각 애정갈등과 그를 둘러싼 인간의 본질을 치밀하게 현실의 법칙에 의하여 묘사하다가 후반부에서 전기소설적으로 마무리되기 때문에 비극적 결말에서 느끼는 미감의 정도는 다른 전기소설에 비하여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현실적인 갈등의 전개 양상이 낭만적으로 해소되어 버리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등장인물이 중국인이며 소설의 주요 무대도 중국이라는 이런 의미에서 이 소설은 금오신화에 비해 한계성을 노출시켜주는 약점도 있다. 등장인물이나 활동무대가 중국이기에 향토적이고 자주적인 면면을 계승하지 못하다는 점도 있고, 현실주의라는 측면에서 일정한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기소설인 소설을 내포하면서 소설적 사실성을 극대화 해주는 과도기적인 작품체계라 할 수 있다. 즉 전기소설의 전형적인 패턴으로는 인간의 삶을 제대로 반영해 낼 수 없는 시대가 도래하는 것이다. 이런 과도기성의 원인을 흔히는 전쟁체험에서 찾는다. 그러나 이것은 너무 막연하다. 전쟁체험이 당시 지식인들의 정신풍모를 어떤 식으로 변화시켰으며 삶의 기반을 어떤 식으로 바꾸어 놓았는가를 면밀하게 따져 보아야만 원인을 제대로 알 수 있다. 확실한 것은 이 시기가 되면 전기소설의 큰 특징인 기이한 세계가 작품의 내부에서 사라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면을 살펴볼 때 <주생전>의 위치는 문학사적 가치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으며 <주생전>은 17세기 있어서 애정 소설이며, 전기소설이라고 단정 지을 수 있다.
또한 <주생전>이 권필의 작이라는 전제하에 <금오신화>와 <홍길동전>사이의 공백을 메워 줄 수 있는 교량역의 작품역이라 보고 그 문학사적 의의를 높이 평가하는 한편,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고 불우하게 살다간 권필이 자신의 운명을 낭만적인 주생의 불우한 운명에 투사한것이라 해석 소재영(1983), 『고소설 통론』, 이우출판사.
해볼 수 있다.
요약해서 결론을 내리자면 이 소설이 전기적인 요소를 다분히 가지고 있으면서도 여타의 전기소설보다 좀더 다른 점이 있다. 그것은 현실적인 요소가 강화 반영되고 강화되었다는 점, 삼각관계가 형성되면서 갈등 및 서정적인 요소의 표출되었다는 점, 어느 정도의 환상성 요인의 극복되었다는 점, 낭만적 문제 해결과 비극성의 본질이 형상화 되었다는 점등은 <주생전>에서 발견 할 수 있는 소중한 수확이다.
Ⅳ. 참고문헌
구창환구인환 공저(1985), 『문학개론』, 삼영사.
김기동(1992),『이조시대 소설론』,이우출판사.
김인호(1998), 「대 국어사전」, 금성교과서.
김철환(1986), 「한한 대자전」, 민중서림.
박일용(1993),『조선시대의 애정소설』,집문당
소인호(1998),『한국 전기문학 연구』,국학원자료원.
소재영(1983), 『고소설통론』, 이우출판사.
임헌영(1984),『한국 문학사의 시각』,창작과 비평사.
이상구(1999), 『17세기 애정 전기소설』, 월인.
*******************************************************************************************
<별첨자료>
주생전 읽을거리
<요점 정리>
■ 연대 : 선조 때(16세기 말)
■ 갈래 : 소설(한문 소설, 애정 소설)
■ 성격 : 비극적, 사실적
■ 주제 : 운명에 대한 인간이 나약성과 비극적인 사랑
■ 의의 : 초기 소설과 후대 소설의 교량적 성격을 지님
■ 출전 : <화몽집>
■ 작가 : 권필(權畢, 1569-1612)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호는 석주. 과거에 응시하지 않고 시와 술을 즐기
며 일생을 보낸 사람이다. 한때 문신들의 추천으로 낮은 벼슬을 받은 적도
있지만 예복을 차려 입고 예부에 나아가야 한다는 말을 듣고 가차없이 이
를 거절해 버릴 만큼 자유 분방하면서도 절개가 곧은 인물이었다. 광해군
의 실정을 날카롭게 비판, 풍자하는 시를 지었다가 귀양가는 길에 죽었다.
<줄거리 알기>
주생은 어려서부터 글재주가 뛰어났지만, 과거에 실패하고 장삿길로 나서 여기저기를 돌아다녔다. 그는 우연히 어렸을 때 친구로서 지금은 기생이 된 배도를 만나게 된다. 주생은 배도의 아름다운 자태와 시 재주에 이끌리어 깊은 사랑을 하게 된다.
어느 날, 노 승상 댁의 딸 선화를 본 뒤부터 주생의 마음은 선화에게 옮겨 간다. 주생은 승상 댁 아들 국영에게 글을 가르치게 되면서부터 그리던 선화와 사랑을 나누게 된다. 두 사람의 관계를 안 배도는 주생의 배신에 괴로워하다 병들어 눕게 된다. 국영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주생과 선화는 만날 길이 없어져 서로 상사병에 걸린다. 배도는 비극적 사랑의 슬픔을 간직한 채 죽는다.
사랑을 모두 잃은 주생은 외가의 장씨를 찾아간다. 그간의 사연을 안 장씨가 노 승상 댁에 사람을 보내 주생과 선화의 혼인을 주선한다. 혼사를 몇 달 앞둔 어느날, 왜적이 조선에 쳐들어와 명나라는 조선에 파병한다. 이때 주생도 명나라 군사로 조선에 오게 된 뒤, 선화와 영영 소식이 끊기고 만다.
<작품의 이해>
*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의 성격을 보면, 이 작품이 전대 소설과 후대 소설의 매개적 위치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선비의 신분을 떨치고 장사꾼으로 나서는 주생은 새로운 시대 의식을 예고하는 것이며, 애정을 통해 신분 상승을 꾀하려 한 배도는 후대 애정 소설에 등장하는 기녀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이 작품의 교량적 성격은 전기적(傳奇的)인 비현실성을 극복하고 사실적 배경을 설정하고 있는 데서도 찾을 수 있다. 전대의 소설들이 이승과 저승을 넘나들며, 꿈을 통해 사건을 전개시키는 등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데 비해 이 작품은 임진왜란이 일어날 무렵의 명나라라는 현실을 벗어나지 않았다. 배경의 사실성을 처음으로 획득하여 후대 소설의 배경 설정에 영향을 준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1.18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7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