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산업 유통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화장품 산업의 개요
1. 화장품산업의 정의
2. 국내 화장품의 상품적인 특성
3. 화장품 산업의 규모

Ⅲ. 화장품 산업의 환경적 변화
1. 국내 화장품시장의 유통환경의 변화
2. 화장품산업의 유통
3. 유통경로비중의 변화
4. 화장품시장 매출현황
5. 초저가 화장품 브랜드의 등장

Ⅳ. 화장품 유통의 문제점과 대안제시
1. 화장품 유통의 문제점
2. 화장품 유통의 대안제시

본문내용

천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린다는 야심찬 계획도 세워놓고 있다.
2) 미샤의 저비용 유통구조
화장품 가격이 비싼 이유는 3가지 때문이라고 하는데 포장 용지 가격, 제조사에서부터 소매점까지 거치는 복잡한 유통단계에서 붙는 마진, 톱모델을 기용한 마케팅비용이란다.
기존 화장품
생산 --> 대리점 20~30% --> 소매점 40~50% --> 고객
미샤
생산 --> 가맹점 35% --> 고객
마진 줄여 전제품의 가격이 1000~1만원선인 '초저가' 화장품 시장이 급팽창하고 있다.
온라인상의 쇼핑몰 '뷰티넷(beautynet.co.kr)'에서 시작, 지난2002년말 '3000원대 화장품'을 내세워 명동에 1호점을 연 에이블C&C의 '미샤'가 1년여만에 전국매장 60개를 넘기며 대히트를 하자 후발업체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미샤의 뒤를 좇아 지난해 12월 등장한 쿠지인터내셔널의 '더 페이스 샵'은 식물성분의 웰빙화장품을 내세워 대학로 명동 돈암동 코엑스몰 등 미샤의 매장이 있는 곳마다 매장을 열고 치열한 추격전을 펼치고 있다. 이를 이어 지난 1월중순 명동 아바타몰 3층에는 중소화장품제조업체 인터코텍의 '2000블랙' 첫매장이 문을 열었다. 2월중순에는 보브화장품의 '캔디숍'이 부산을 시발점으로 북상전략을 펼친다. 기존의 브랜드들이 대도시 중심상권의 프랜차이즈 가두점으로 공략하는 데 반해 캔디숍은 화장품 전문점안에 매대를 갖는 '숍 인 숍'형태로 출발한다. 3월중에는 이미 중저가 색조화장품 브랜드로 알려진 도도화장품이 '도도클럽'을 선보였다.
초저가 화장품브랜드들의 공통점은 화려한 패키지비용과 유통마진을 줄인 파격적인 가격에 600~1000여가지에 달하는 다양한 상품을 공급한다는 것. 주 대상은 화장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10~20대 여성으로 색조제품을 앞세워 기초화장품 목욕용품 보디제품까지 전라인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매장은 명동 강남 대학가등 중심상권을 서서히 점령해가고 있다. 업계가 추산하는 초저가화장품시장의 연간 규모는 1000억여원.현재의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전체 화장품시장의 10%선(5000억원)점유도 가능하리라는 전망이다. 그러나 국내 경기침체가 심화되면서 등장한 초저가화장품들은 향후 경기회복과 함께 소비가 다시 고급화하면 전망이 불투명해질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또 수익구조가 제품판매보다는 500만~1000만원선인 체인점가맹비, 7000만~8000여만원의 초두상품비용, 평당 200만~300만원의 인테리어비용 등 프랜차이즈 운용비용에 있다는 비판적인 시각도있다.
이에 대해 선발브랜드인 미샤의 오세득이사는 "70%에 달하는 화장품의 유통마진을 없앤 이 제품들은 저가품이 아니라 가격을 낮춘 합리적 상품"이라며 "시장은 더욱 넓어지며 점차 고급화될것"이라고 전망했다.
Ⅳ. 화장품 유통의 문제점과 대안제시
1. 화장품 유통의 문제점
1) 전문점의 쇠퇴
-화장품시장 진출 가속화->과잉공급 현상
-경로의 포지셔님의 불명확
-낮은 서비스와 저급 브랜드 이미지
-인터넷 쇼핑몰의 등장
-할인점의 저가 브랜드 시장 공략
-초저가 전문점의 강세
-상품에 대한 부실한 관리
-고객과의 1:1 커뮤니케이션 약화혼란한 화장품 가격, 유통구조
2. 화장품 유통의 대안제시
1) 브랜드 숍의 등장
-자사의 제품을 50%이상 보유한 새로운 개념의 시판 유통
-국내 사례 : 태평양 "휴플레이스", LG생활건강 "뷰티플렉스", 소망화장품 "뷰티크레딧"
-해외 사례 : Sephora - LVMH 그룹에 의해 세워진 가장 유명한 뷰티숍
샤샤 코스메틱고 같은 다국적 전문점
독창적요소:과일향이 첨가된 컬러풀한 화장품, 먹을 수 있는 제품 라인
2) 유통의 다변화
-웰빙 컨셉의 한국형 드럭 스토어, 웰빙라이프를 추구하는 고객을 타켓으로 한다.
-해외사례- 일본의 유통구조 : 방판과 시판의 혼합
시판- 드럭 스토어 + 전문점
-일본의 마츠모프 기요시 :전년대비 3.2% 성장, 이익면에선 22% 성장, 85억 7천만엔 달성
-미국의 Walgreens :2003년 430개 지점 오픈
3) 편의점
-소비자의 접근성 유리
-완전 셀프형
-전국적으로 8000여개의 매장
-태평양 편의점용 남성화장품 출시
-타켓고객 :10대~20대 남성고객
4) 브랜드별 유통경로 특화
-태평양 "이니스프리"- 할인점을 통한 판매
-DHC(통신판매)
2004년 전세계적으로 1조 1000억원의 매출 기록.
인터넷 채널을 많이 이용하는 20~30대 캐리어 여성
-VICHY(약국유통)
국내 약국용 화장품 주도, 로레알의 약국용 화장품
매년 50%이상의 매출 신장세, 소도시 약국까지 판매망 구축.
피부의 건강을 생각하는 민감성 피부의 고객
=>즉, 고객의 세분화와 함께 유통채널도 타겟고객의 특성에 따라 점차 세분화되어야한다.
IT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유통모델을 개발하여 생산성과 부가가치를 높여 과거 불필요한 노동집약 형태의 화장품 유통구조를 개선해야 한다. 21세기는 이제 과거처럼 나만 판매하는 상품, 그래서 비싸게 팔아도 이웃에서 판매하지 않으니 마진이 많은 상품만 판매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국내 기업 영업전략의 덤 정책, 사은품으로 밀어내기, 높은 소비자 가격책정으로 비싸게 판매하도록 가격을 통제하는 행위는 신용사회와 정보화 사회에서 존재 할 수 없다. 이제 기업은 다(多) 품종 소(少) 생산으로 오로지 제품의 질을 높여 우물안 개구리가 아닌 세계 품질경쟁에서 이기고 정직한 유통과 서비스 개발로 소비자로부터 신뢰를 받아야 살아남을 수 있다.
- 더이상 전문점 살리기, 유통질서를 명분으로 마진을 많이 챙기려는 상품개발에서 물러서야 할 때이다.
-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계획재고 유지, 품질관리에 투자.
- 기술개발로 좋은상품을 만들어 가격통제를 하지 않아도 소비자에게 잘 팔리는 좋은 상품을 만드는데 투자.
- 세계화에 발맞추어 국가 경쟁력 재고에 투자.
- 마케팅의 끝점에 항상 소비자가 있어야 하며, 진정한 서비스 체계를 확립하는데 투자.
- 관련법규를 준수하고 업체간 건전한 품질 경쟁으로 더불어 상생하는 건전한 유통을 만드는데 노력.
- 올바른 기업윤리 경영.
*출처
-파이낸셜신문
-화장품신문
-대한화장품공업협회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2.21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2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