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 답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강화도 개관
강화도 고지도
강화도 지도
강화도 유적지도
선사시대의 강화
청동기 시대의 강화
청동기 시대의 유적
마니산 참성단
강화 부근리 고인돌
부록 - 고인돌의 특징
삼한시대의 강화
삼국시대의 강화
삼국시대의 유적
삼랑산성(三朗山城)
통일신라, 후삼국시대의 강화
고려시대의 강화
고려시대의 유적
강화산성(江華山城)
고려궁지(高麗宮址)
강화하점면석조여래입상(江華河岾面石造如來立像)
강화하점면오층석탑(江華河岾面五層石塔)
전등사(傳燈寺)
부록-대몽항쟁의 개괄
조선시대의 강화
조선시대 강화의 유적
갑곶돈대(甲串墩臺)
강화 역사 박물관
연무당(鍊武堂)터
덕진진(德津鎭)
초지진(草芝鎭)
광성보(廣城堡)
부록-병자호란71 부록-19세기 강화도의 역사적 사건

본문내용

이 조약은 척사위정세력과 개화세력 사이의 대립이 일어나는 정책적 전환점이 되었다.
배 경
신미양요를 겪은 지 3년을 못 넘기고 대원군은 1873년(고종10) 11월 일선정치에서 물러났다. 이후 왕비 민씨를 중심으로 한 척족세력들이 정권을 쥐었다. 대원군의 몰락은 조선 쇄국정책의 큰 변화를 예고하는 일이었다. 신흥 제국주의 일본은 대원군의 몰락과 때를 맞춰 1875년 운요 호를 파견하여 강화도 앞바다를 공격했다. 일본은 운요 호를 앞세워 인천 근해의 영종도를 불법 포격하고는 방화와 살인, 약탈행위를 서슴지 않았다. 그러나 이 같은 일본의 공격에 대해 조선정부는 무기력하게 대처할 뿐이었다. 이 사건으로 일본은 1876년 정월 일본 육군중장 구로다 기요타카를 지휘관으로 한 6척의 함선(군함 3척, 수송선 3척)을 파견, 조선을 위협했다. 이 함대는 강화도 갑곶진 앞바다에 정박하고 강화 성내로 들어왔다. 이 사건을 통고받은 정부는 어영대장 신헌(申櫶)을 파견하여 다음 날 회담을 열도록 했다. 이 회담에서 일본은 오히려 운요 호 사건의 책임을 우리에게 지웠다. 그리하여 1876년 2월 3일 마침내 연무당(鍊武堂)에서 12개조항으로 된 강화도조약(江華島條約)이 체결되었다.
주요내용
제 1관은 조선국은 자주국으로 일본국과 평등한 권리를 보유한다. 제 2관은 양국은 15개월 뒤에 수시로 사신을 파견하여 교제사무를 협의한다. 제 4관은 조선국 부산의 초량항에는 일본공관이 있어 다년간 양국 인민의 통상지였다. 금후 종전의 관례와 세견선 등의 문제를 개혁하고 이번에 새로 의결되는 조관을 기준으로 삼아 무역사무를 처리한다. 제 5관은 경기, 충청, 전라, 경상, 함경 5도의 연해 중 통상에 편리한 항구 2개소를 선정한 후 지명을 지정한다. 제 7관은 조선국 연해도서의 암초는 지극히 위험하므로 일본국의 항해자가 자유로 해안을 측량함을 허가하여 그 위치와 깊이를 명세히 하여 양국의 선객이 평온하게 항해할 수 있게 한다. 제 8관은 금후 일본국 정부는 조선국이 지정한 각 항에 그때 그때의 사정에 따라 일본상인을 관리하는 관원을 설치한다. 제 9관은 양국은 이미 통호를 하였으므로 양국 인민은 각자 임의로 무역한다. 제 10관은 일본국 인민이 조선국이 지정한 각 항에 재류중 만약 죄를 범하거나 조선국 인민에게 관계되는 사건은 모두 일본국 관원이 심의한다. 제 11관은 양국상인의 편의를 꾀하기 위해 추후 통상장정을 체결한다. 특히 제 1관은 조선과 청나라와의 관계를 약화시키려는 의도이며, 제 5관은 원산과 인천을 개항하게 함으로써 통상업무 이외에 정치적, 군사적 침략 의도가 내포된 것이었다. 그리고 제 7관은 조선연안 측량권을 얻음으로써 군사작전시 상륙지점을 정탐하게 하였으며, 제 10관은 치외법권을 인정한 불평등조약이었다 할 수 있다.
영 향
이러한 조약이후 일본과의 대외교역으로 조선의 각 구성원들에게 상이한 영향을 끼쳤다. 새로운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일부 계층에서 그것은 성장의 기회일 수 있었던 반면 대다수 농민들에게는 몰락의 가능성이 높아진 것을 의미할 뿐이었다. 쌀의 수출량은 풍흉에 따라 기복이 있었지만, 걷어가는 양은 항상 똑같았다. 이것은 당연히 쌀값의 폭등을 가져왔는데, 이에 따라 지주들은 전에 없는 호경기를 맞이하게 되어 토지소유를 확대해나갔다. 반면 소작농이 대부분이었던 농민들은 쌀값의 상승이 별로 반가울 것이 없었다. 그들은 경제적 이유 때문에 값이 가장 쌀 때인 추수 직후에 쌀을 팔 수밖에 없었고, 또 일본 상인들의 고리대의 노예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값싼 영국제 면포의 유입은 대다수 농민들이 사용하는 면제품 생산에 큰 타격을 입히지는 못했지만, 서울과 같은 대도시의 주민을 상대로 하는 얼마 안되는 전업적 직물업자를 괴멸시켰다. 즉 부업의 가능성을 잃어버린 농가는 더욱 경제의 변동에 취약성을 드러내게 된 것이다.
년 도
우 리 나 라
년 도
동 양
1863
고종즉위,
흥선대원군 집정시작
1860
청, 영, 프와 베이징조약
1866
①병인박해, 병인양요
1868
일본 메이지 유신
1871
신미양요
1875
②운요호 사건
1876
강화도 조약 맺음
1885
③거문도 사건
1885
청,일 텐진조약
연표
①병인박해 : 조선말기 대원군이 카톨릭교도를 대량 학살한 사건
②운요호 사건 : 1875년 9월 일본군함 운요호의 강화도 초지진 불법침입으로 야기된 조선군과의 일본군이 충돌사건, 양국간의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는 계기가 되었다.
③거문도 사건 : 1885년 4월부터 약 2년간 영국의 동양함대가 전라남도에 있는 거문도를 점령한 사건으로 러시아의 남진정책에 대한 민감한 반응으로 일으킨 사건이다. 87년 러시아 주재로부터 한국 영토를 점령 않겠다는 확답을 받고 철수하였다.
참고문헌
변광현,『고인돌과 거석문화(동아시아)』, 미리내, 2000
박정근,『박정근의 고고학 박물관』, 다른세상, 2002
이경수,『역사의 섬 강화도』, 신서원, 2002
한국문화유산답사회,『경기남부와 남한강 (답사여행의길잡이7)』, 돌베개, 1997
최완수,『명찰순례』, 1994, 대원사
이병희,『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3 고려』, 솔, 2002
박용운,『고려시대사』, 일지사, 2002
이중재,『(새로 밝혀진)새 고려사』, 명문당, 1997
하일식,『(연표와 사진으로 보는)한국사』, 일빛, 1998
『한국민족대백과사전』
이형구,『빛깔있는 책들 153 강화도』, 대원사, 1997
이호관,『빛깔있는 책들 42 범종』, 대원사, 1997
임경빈,『빛깔있는 책들 01 천연기념물』, 대원사, 1997
한국문화유산답사회,『경기남부와 남한강 (답사여행의길잡이7)』, 돌베개, 1997
인천과역시편찬위원회,『인천광역시사 제 6권 문화유산과 유물』, 인천광역시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2002
노태돈, 노명호, 한영우, 권태역, 서중석, 『시민을 위한 한국역사』, 창작과 비평사 , 1997
김정환,『근대로 가는길 조선후기편』, 푸른숲, 1997
정성회,『한권으로 보는 한국사 101장면』, 가람기획, 1997
김무진, 박경안,『한국사의 길잡이』, 혜안출판사, 1995
『두산세계대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가격3,000
  • 페이지수52페이지
  • 등록일2006.04.10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24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