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문학의 시대적 의미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1960년대 문학의 시대적 특성

2. 1960년대 소설
(1)4․19를 통한 현실의 인식
(2)1960년대 소설 속에 나타난 산업화

3. 1960년대 시
(1)시인의 현실 참여
(2)현실 인식의 내면화

4. 1960년대 비평
(1)순수-참여 논쟁
(2)세대론
(3)소시민과 시민의 논쟁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돌아갔다는 한계를 염두에 둔 것이라 한다면, 백낙청은 419를 성과에 두고 시민의식을 주창하였다. 백낙청은「시민문학론」에서 ‘소시민 의식’을 ‘시민 의식’의 결여된 형태로 파악한다. 그가 말하는 <시민>이란, “프랑스 혁명기 시민계급의 시민정신을 하나의 본보기로 삼으면서도 혁명 후 대다수 시민 계급의 소시민화에 나타난 역사의 필연성은 필연성대로 존중해 주고, 그리하여 필연성을 기반으로 하여 우리가 쟁취하고 창조하여야 할 미지미완의 인간상” 백낙청, 「시민문학론」,『민족문학과 세계문학Ⅰ』, 창작과 비평사, 1985 p.14
으로서, ‘시민의식’은 현실참여 혹은 저항의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419 자체가 불완전한 운동이었다는 한계 때문에 그가 말한 서구와 달리 우리가 이뤄보지 못한 시민 사회를 말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백낙청이 이상적인 사회로 보고 있는 프랑스는 혁명의 성공으로 시민의식이 발현할 수 있었고 그에 따라 소시민 의식이란 게 명확히 드러났으나, 혁명이 실패로 돌아간 우리나라에서는 지양해야할 소시민 의식이 무엇인지 뚜렷하게 할 수 없었다.
1960년대 순수와 참여문학에 관한 논의는 70년대에 들어서면서 참여문학을 주장하던 이론가들은 참여의 실천적 방법으로 리얼리즘문학과 민족문학, 민중문학을 제시하게 된다. 이에 대해 순수문학을 주장하던 문학가들은 반 리얼리즘 문학, 반 민중문학의 진영을 형성하게 된다. 1950년대와 60년대 참여문학론은 리얼리즘론을 만나면서 그 논의의 깊이를 더할 수 있었고, 1960년대와 70년대의 리얼리즘론은 민족문학론을 만나면서 논의의 구체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김영민,「한국현대문학비평사」, 소명출판, 2000. p.373
참여문학론이 리얼리즘론을 만나 깊이를 더한 후, 다시 문학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관심이라는 본래의 핵심으로 돌아오게 된 것이다. 이렇게 60년대 비평은 문학의 현실참여 역할의 중요성으로 흘러갔고, 70년대 민족문학론이 대두되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5. 결 론
1960년대의 사회적 현실은 복잡한 양상을 가지고 있다. 전쟁의 상처에서 완전히 아물지 못했으며, 분단의 골은 더욱 깊어만 가고 419와 516은 당시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자유와 의지를 주었던 동시에 그 자유와 의지를 억압하도록 강요하였다. 그리고, 그들이 살아가는 현실은 독재정권의 개발정책으로 인해 전통사회의 모습을 급격히 벗어나기 시작하여 60년대의 현실은 하나의 기준으로 명확히 정의내릴 수 없을 만큼 혼돈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60년대가 가지는 시대적 의미는 무엇인가? 419로 인한 시민적 자유를 서민들이 맛보았다지만 여전히 그들의 삶은 힘들었고,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자유를 만끽할 만한 시간적 여유라는 것을 그들이 누릴 수 있었을까? 그런 의미에서 60년대 문학에서 등장하는 비판적인 현실인식의 태도는 당시 성립한 시민이란 주체가 완전성을 가지지 못하였다는 근거로 들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우리가 60년대의 주체성에 대하여 의의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은 당시 시대를 시민이라는 주체의식을 가지고 바라볼 수 있는 힘을 갖게 되었고 이러한 힘은 70년대 이후의 문학사가 시민성에 대한 고찰과 극복을 통하여 성립하였음을 생각해 볼때 그 의미는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60년대 문학의 의미를 바탕으로 당시 시대의 문학작품들이 가지는 의미와 성과를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혼란한 시대를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비판적인 성찰을 나타내었던 60년대 문학작품들은 그러한 의미에서 현재의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시민의식이라는 이념성을 현실에 적용시키려 하였던 것은 아닐까?
물론 60년대 문학을 전체적으로 바라보았을 때 이러한 현실에 대한 인식의 문제가 전부이지는 않다. 문학의 현실에 대한 인식과 그로 인한 적극적 참여의 논조가 우리가 바라보는 이 시대의 중요한 특성이지만, 당시의 시점에서 바라본다면 그것은 문학사적 발견이지 문단적인 주류를 이룬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가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은 문학이 역사와 어떻게 결합하며 당시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이기 때문에 60년대의 현실에 대한 인식과 그 방향성은 문단의 주류가 아니라 하더라도 문학사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발표를 마치려 한다.
<참고문헌>
1960년대 문학연구, 진영복, 깊은 샘, 1998
1960년대 소설연구, 이호규, 새미, 2001
1960년대 소설연구, 하정일 외 공저, 민족문화연구소, 깊은샘, 1998
1960년대 한국 소설 연구, 권오현, 문예미학사, 2000
김주연 평론문학선, 김주연, 문학과 사상사, 1992
남북한 현대문학사, 유지현, 나남출판, 1995
민족문학과 세계문학Ⅰ, 백낙청, 창작과 비평사, 1985
민족문학사 강좌 하, 김윤태, 민족문학사 연구소편, 창작과 비평사, 1995
우리 근현대 문학의 맥락과 장점, 한강희, 태학사, 2001
의미와 무의미, 김춘수, 문학과 지성사, 1976
전후의 현실과 문학의 분열, 권영민, 민음사, 2002
한국근대문학사연구, 서경석, 태학사, 1999
한국 근대문학과 사회, 서준섭, 월인, 2000
한국 근현대 문학의 재인식, 정찬영, 세종출판사, 2001
한국 근현대 작가작품론, 공종구, 새미, 2001
한국문학사, 김현김윤식, 창작과비평사, 1996
한국현대문학사, 신동욱, 집문당, 2004
한국현대문학사, 윤병로, 현대문학, 2003
한국현대문학 50년, 최동호, 민음사, 1995
한국 현대비평의 인식과 논리, 한강희, 태학사, 1998
한국 현대시 형성 연구, 이영섭, 국학자료원, 2000
현대문학사2, 권영민, 민음사, 2002
현대시학의 두 구도, 이은정, 소명출판, 1999
현대한국문학의 이론, 김현, 민음사, 1972
*목 차
1. 서론-1960년대 문학의 시대적 특성
2. 1960년대 소설
(1)419를 통한 현실의 인식
(2)1960년대 소설 속에 나타난 산업화
3. 1960년대 시
(1)시인의 현실 참여
(2)현실 인식의 내면화
4. 1960년대 비평
(1)순수-참여 논쟁
(2)세대론
(3)소시민과 시민의 논쟁
5. 결론
*참고문헌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6.05.18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00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