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
1. 백제의 멸망
2. 고구려의 멸망
3. 나당 전쟁과 삼국통일

Ⅱ. 백제와 고구려 멸망

Ⅲ. 나당전쟁

Ⅳ. 삼국통일의 의의
1. 성과
2. 한계
3. 역사적 의의
4. 삼국통일의 의의
5. 삼국통일을 바라보는 시각

v.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

본문내용

이 되었다는 긍정론이다. 서로 대립하면서 각기 발전해온 삼국의 문화전통이 하나로 종합 집대성되고, 오랜 전쟁이 종식되면서 민생이 안정되고 경제력이 확충되어 민족체와 민족문화의 형성 발전에서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고 본다.
다른 견해는 신라가 당나라라는 외세에 의존하여 백제를 통합하는 데 그쳤으며 고구려의 옛 땅에서는 발해가 건국되었기 때문에 삼국통일이 아니라 남북국의 성립으로 보아야 한다는 부정론이다. 이렇게 신라에 의한 삼국통일의 의의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통일신라라는 용어 대신에 후기신라라고 쓰기도 한다.
그동안 전근대사회에서는 유교사관의 정통론적 관점 때문에, 그리고 현대에서는 남북 체제대결 구도 때문에 '통일신라'의 정통성을 과도하게 강조해온 감이 있었다. 때문에 통일과정에서의 외세 의존성과 통일 후의 영토적 한계성을 지적하고 발해가 한국사에서 차지하는 위상 등에 주목하여 신라의 삼국통일은 허구라고 보는 견해는, 삼국통일의 민족사적 위의를 지나치게 폄하한다는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지적 충격을 주었다. 이에 긍정론에서는 신라가 당나라 군대를 이용한 것은 당시 국제적 역학관계에 따라 불가피한 행동이었으며 일단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뒤에는 당나라 군대를 축출하는 자주성을 보여주었다는 등의 변론을 편다. 그런 점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신라와 발해의 역사적 위상을 동등하게 평가하려고 할 때 한쪽에만 의도적으로 '통일'을 붙여 통일신라라고 표현하는 것은 다소 문제가 있어 보인다. 특히 현재 남북 분단 상황에서 남한에서는 신라 중심으로 사고하고 북한에서는 고구려 - 발해 계승을 강조하는 정통론적 사고방식은 평화적 통일을 지향하는 데 걸림돌이 된다.
한편 신라에 의해 '통일'된 사회에서 살게 된 그 시대 사람들은 어떤 생각들을 하였을까? 삼국 통일전쟁이 끝난 직후인 686년 무렵에 건립된 청주 운천동 사적비는 비문의 마멸이 심하여 판독이 어렵지만, 그 내용 가운에서 삼국이 통일되어 그간 벌어져온 전쟁의 참화가 끝나고 국위가 떨치게 되었으며 창고가 가득차고 넘치니 백성들이 추위와 굶주림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등 태평성대를 이루었음을 칭송하는 구절이 있다. 삼국통합과 뒤이은 나당전쟁 과정에서 삼국인 간에 동류의식이 확산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삼국인들을 융합시키는 정책을 펴는 한편 문화역량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러한 의식과 자신감은 이후 신라문화를 꽃피우는 바탕이 되었으며, 학계에서는 이를 삼한일통의식(三韓一統意識)이라고 부르고 있다. 그런가 하면 673년에 충남 연기지역에서 만들어진 계유명아미타불삼존사면석상에는 여전히 백제의 관등을 사용하면서 신라에 동화되기를 거부하는 세력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신라말기 집권력이 약화되었을 때 궁예와 견훤은 고구려와 백제의 계승과 부흥을 내세워 지역주민들을 포섭할 수 있었다. 이렇게 신라에 의한 삼국통일 이후에도 사회 문화적 동질화의 한계 때문에 과거의 역사전통에 바탕을 두고 분립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을 삼국유민의식(三國遺民意識)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리 민족이 오늘날과 같은 모습을 이룬 것은 관념론자들의 주장처럼 원래부터 존재한 천부의 실체가 아니라 역사의 소산이다. 그런 의미에서 삼한일통의식을 처음으로 고양시킨 신라의 '삼국통일'은 여러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민족사적인 의의가 있다. 동시에 삼국유민의식이 몇 백년 이상 남아있는 것을 보면서 서로 다른 역사경험을 가진 사람들끼리의 완전한 통합이 얼마나 어려운 과제인지를 느낄 수 있다. 권력구조의 통일에도 불구하고 계급, 지역문제 등으로 국민적 통합에 문제가 있을 때는 그것이 분열의 계기로 작용하기 마련이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7.06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81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