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해서 (도자기 문화, 주거문화, 건축문화, 음식문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해서 (도자기 문화, 주거문화, 건축문화, 음식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의 도자문화
1) 한국의 도자기 전개
2) 고려시대 자기
3) 조선시대의 분청사기와 백자

2. 전통 음식문화
1) 밥
2) 죽
3) 면
4) 만두
5) 묵
6) 떡

3. 김치의 효능과 세계로 나가는 한국의 김치

4. 전통 주거문화
1) 전통 주거문화의 특징

5. 전통 목조건축의 구성과 특징
1) 목조건축의 구성요소
2) 목조건축의 양식과 특징

본문내용

채를 제외한 부속채에서 볼 수 있다.
일곱째, 공포이다. 공포는 무거운 지붕의 하중을 덜어서 기둥으로 옮기는 역할을 하는데, 전통 목조건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공포가 처음 보이기 시작한 것은 고구려 고분의 현실이나 전실 또는 측실의 모서리와 천장 등의 벽화에서이다. 다양한 공포양식은 조선의 면을 집의 전후로 경사지게 한 것이다.
처마의 양끝이 조금씩 치켜 올라가고 용마루선 역시 중앙부를 처지게 하여 서로 어울리게 하고 있다. 팔작지붕은 네 구의 처마끝이 치솟기 때문에 독특한 형태미를 이루게 된다. 즉 지붕의 수평면에 있어서 네 귀를 뻗게 하고 안으로 선을 후린다. 이를 후림이라 한다. 특히 합각부는 독특한 장식면을 이룬다.
아홉째, 한국 건축의 바닥은 벽돌을 깔아 만든 전바닥, 나무로 짜만든 마루, 구들을 놓은 온돌, 흙을 깔아 만든 흙바닥 등이 있다.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기 신라의 궁전의 전각이나 사찰 바닥은 대부분 벽돌로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조선시대에 오면 전바닥은 궁궐 건축의 정전과 같은 전각에만 국한된다.
열 번째, 건축의 천장 양식은 연등천장, 우물천장, 빗천장 등이 있다.
시대가 내려올수록 우물천장이 주로 나타난다. 사찰건축의 우물천장은 대부분 다포계 건축에서 찾아볼 수 있으나, 예외로는 송광사 국사전이 있다.
보개천장은 왕궁의 정전에서 우물천장의 일부를 좀더 깊게하여 꾸미거나 또는 사찰에서 불상의 상부 천장 일부를 좀 더 깊게 꾸미는 것이다.
귀접이천장은 말각조정 또는 투팔천장이라고도 하는데, 고구려시대 고분천장에 많이 축조되었다.
2) 목조건축의 양식과 특징
전통건축의 형식에는 초가와 목조 및 석조로 나눌 수 있다. 특히 목조건축은 여러차례 외침으로 인하여 원형으로 남은 것이 별로 없다. 현존 목조건축 중에 오래된 것은 고려시대의 건축을 시기가 13세기를 올라가지 못한다.
하지만 목조가구식 건축이 우리나라 건축의 주류이며, 이는 주심포식, 다포식, 민도리집 양식으로 나눌 수 있다. 주심포 양식은 대체로 공포를 주두 위에서만 짜는 목구조형식 중에서 익공을 제외한 형식을 말한다.
우리나라 주심포계 양식은 고구려에서부터 삼국에 걸쳐 사용하였는데 이는 고식의 주심포 형식이고, 현재 지칭하는 주심포는 주로 고려 이후 조선 초기까지 건축한 것이다. 주심포 양식의 특징은 대략 다음과 같다.
첫째, 공포의 짜임을 외부로는 주두 위에서만 만들되 대부분 기둥위에 평방 없이 바로 주두를 놓고 짜올린다.
둘째, 가구가 간단하며 치목이 아름답게 되어 건물 안에서 모든 가구가 잘 보이도록 천장을 가설하지 않는 등 연등천장을 하였다.
셋째, 전통 목조건축의 가구형식 중 가장 오래된 형식이며 소박하고 아름답다.
넷째, 기둥은 가운데가 약간 볼록한 배흘림 양식이고 대부분 간단한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대표적인 건축이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 대웅전, 강릉 객사문 등이다. 다포계 양식은 주심포계와 다른데 그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재, 포작이 기둥 윗부분에만 짜여지지 않고 기둥과 기둥 사이공간에도 공간포를 배열하였다. 그러므로 창방을 보강하기 위하여 창방 위에 평방을 더 올려 놓는다. 둘째, 첨차는 대부분의 경우 교두형을 사용하며 또 살미첨차의 외단은 쇠서를 두는 경우와 교두형인 경우가 있다.
셋째, 배흘림이 심하지 않고 가구의 아름다운 곡선형 새김이 줄어든다. 즉 부재가 규격화되고 투박하여 내부반자를 두어 이를 은폐시킨다.
넷째, 건물을 장중하게 보이도록 포작도 여러 층을 겹쳐 짜고 지붕도 팔작지붕을 한다. 대표적인 건축으로 봉정사 대웅전, 관룡사 대웅전, 통도사, 범어사 대웅전 등 광범하게 분포하고 있다. 익공 양식은 기둥 위의 밖으로는 쇠서의 형태로, 또 안으로는 보아지의 역할을 하는 하나의 부재를 기둥머리에 맞물리게 끼우고 그 위에 주두, 두공, 쇠서를 짜서 공포를 꾸미는 방식이다.
따라서 외관상으로는 주심포 형식과 유사하게 보이지만, 주심포에서 보이는 헛첨차의 위치에 놓이는 쇠서 보아지가 하나의 판의 형태로 기둥과 주두를 함께 감싸고 있어 그 위로 주두 위에 놓이는 쇠서의 하단부와 서로 맞닿게 되는 형태를 가진다. 익공은 놓여지는 쇠서의 수에 따라 초익공과 이익공으로 나누어지며, 이익공은 그 상단에 주두와 같은 형태의 납작한 재주두를 놓아 대들보 머리를 받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강릉 오죽헌, 해인사 장경판고가 있다.
목조건축의 가구 기법에서도 오래된 수법을 그대로 남긴 것이 적지 않다. 가장 특징적인 것은 기둥의 귀솟음, 기둥의 안쏠림, 지붕처마의 곡선을 나타내는 기법 등이다. 기둥의 귀솟음은 건물의 네귀에 세우는 기둥을 다른 기둥보다 조금 높게 만드는 것이다.
귓기둥을 다른 기둥보다 높게 만드는 경우, 건물을 앞에서 바라볼 때 원근의 차이에 의해 일어나는 시각의 오차를 없애고 건물이 수평으로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기둥의 안쏠림은 건물의 여러 기둥 가운데 건물의 바깥둘레에 세워진 기둥을 다른 기둥들처럼 수직으로 세우지 않고 약간 안쪽으로 기울게 세우는 기버이다.
이것은 건물의 상부 하중이 밖으로 퍼져나가 건물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동시에 건물이 오랫동안 단단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크다.
기둥의 귀솟음과 안쏠림 귀법은 배흘림 기법과 함께 착시 현상을 교정해 주고 건물에 안정감을 주는 독특한 건축기법이다.
처마끝의 곡선기법은 두가지 측면에서 연출된다. 하나는 지붕 평면형태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지붕 평면이 네모반듯한 장방형을 이루지 않고 네 귀가 45도 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면서 돌출하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즉 평면으로 본 지붕형태는 4면이 모두 안쪽으로 휘어진 곡선이 되는 것이다. 이것을 후림이라 한다.
다른 하나는 지붕을 입면으로 보 f때의 처마 끝의 선이다. 처마 끝 선은 입면을 볼 때는 지붕의 각 변 중앙에서 좌우로 곡률이 작게 거의 수평에 가까운 선으로 시작하여 점차 곡률이 커지면서 끝으로 가면 크게 휘어 올라간다.
이것을 조로라고 한다. 이렇게 후림과 조로로써 처마선이 아래로 쳐져 보이는 것을 방지하고 산뜻하게 보이게 하며, 또 건물을 균형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9.08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3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