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범 김구][김규식][남북협상][통일운동][김구][남북][통일]백범 김구와 김규식의 남북협상 진행과정과 통일운동(김구, 김규식, 남북협상의 진행과정, 남북협상이후 통일운동세력, 제2차 남북협상과 통일운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백범 김구][김규식][남북협상][통일운동][김구][남북][통일]백범 김구와 김규식의 남북협상 진행과정과 통일운동(김구, 김규식, 남북협상의 진행과정, 남북협상이후 통일운동세력, 제2차 남북협상과 통일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남북협상의 진행과정

Ⅱ. 남북협상이후 통일운동세력

Ⅲ. 제2차 남북협상과 통일운동

Ⅳ. 백범 김구를 중심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 통일운동

Ⅴ. 마치며

본문내용

삼만 명을 주둔시키겠다는 것을 유엔이 승인하고 있는 것을 비판하면서 유엔신한위가 어떻게, 어느 때까지 철병 감시를 완수할는지 묘연하게 보인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남북통일문제에 있어서도 미소양군의 철퇴 없이 남북통일은 바라기 어려운 것임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인민군의 남하에 대한 우려 때문에 미군이 철퇴하지 않는다는 논리에 대하여, 남한의 국방군이 인민군보다 우세하게 되면 소군은 어떠한 태도를 취하겠는가라고 되물어 미군주둔의 이유를 공박하였다. 그러면서 국방군과 인민군이 오직 조국을 보위하는 군대로 뭉치려는 결의와 태도를 보이면 양군이 철퇴할 것이라고 양군철퇴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는 이와 같은 논리로 남북통일도 유엔신한위의 노력만으로는 성공하기 어려운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한국문제는 결국 한국사람의 손으로 해결해야 된다는 원칙과 평화통일에 대한 재확인이었다. 김구는 남북협상에 대하여 북한에도 절대 다수의 민중이 남북협상에 함께 하려 하고 있으며, 공산주의자 자체 내에도 협상하고자 하는 ‘진보적 우국분자’가 날로 증가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또 멀지않아 경성에서 남북협상이 있기를 희망하고, 또 믿고 있다고 하여 남북협상에 대한 강한 의욕을 피력하였다. 김구의 이런 발언은 당시의 상황에서 매우 시사적인 것이었다. 그것은 자신과 협의하고 있는 북측의 세력이 있음을 간접적으로 암시하는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서울에서의 남북협상을 강하게 희망하고 있음은 이들과 남북협상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음을 비치는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는 조국전선의 결성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발언이었다.
김구의 이런 입장표명이 있은 직후인 1949년 1월 19일 민련 측도 자주통일을 기대한다는 담화를 발표하였다. 민련은 자주성을 잃은 통일이라면 의외의 불행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우리민족자체의 노력에 의한 통일을 강조하였다. 뿐만 아니라 종로을구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입후보한 朴明煥이 민련 후보로 신문에 보도되자 그가 이미 민련을 사임하였다는 것을 강조하고 그의 입후보는 민련과 아무런 관계가 없음을 언명하여 대한민국정부참여를 부인하였다.
통촉에서는 1월 25일 경교장에서 김구, 김규식 참석 하에 상임위원회를 개최하여 유엔신한위에 대한 대책과 남북통일공작에 관한 구체적 문제를 토의하였다. 그러나 회의에서는 통일방안에 관하여는 아무런 방책도 결정하지 못하였다. 또 이 자리에서는 정부와의 협력문제가 거론되기도 하였다. 이것은 통촉이 표면적으로는 남북협상노선을 견지하고 있지만 그 반대노선도 내부에서 대두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통촉내부의 확고한 노선 불일치에도 김구의 남북협상노선 재천명 이후 정계에는 남북협상에 대한 문제가 간간이 거론되었다. 한민당 측에서도 1월 18일, 김구의 남북협상을 지지한다는 발표를 하였다가 당내에서 찬반양론으로 혼란을 일으켜 결국 선전부장이 자신도 모르는 ‘개인의 의사’라는 부인담화를 발표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Ⅴ. 마치며
마지막 시기 김구의 노선은 그것이 설사 쿠데타와 연관이 있다고 할지라도 분명 북조선과의 협상보다는 남한 정계복귀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었다. 그렇다면 1949년 중반기 이미 극우 반공체제의 기본 틀을 마련하고 있던 이승만은 당연히 김구의 복귀에 더 큰 위협을 느끼고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이승만세력의 흐름과 공산주의와 연결된 쿠데타에 의한 이승만정부의 붕괴를 우려하는 미국의 이해 사이에 김구의 죽음이 있었다. 아직 까지 김구의 암살에 미군이 직접 개입한 사실을 밝혀줄 자료는 없다. 정황적으로 미군은 묵인과 방조를 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할 것이다. 어쨌든 김구의 마지막 노선은 미완인 채로 역사속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12.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34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