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교육론 PLLT TBP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어교육론 PLLT TB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는 Faerch & Kasper(1983)가 언급하고 있는 언어사용 실행 단계에 있는 신경학적이고, 심리학적 과정이라고 보았다.Bachman은 언어사용의 실행단계에는 시각적 통로(visual channel)와 청각적 통로(auditory channel)가 있고, 실행의 모형에는 표현적 모형(productive mode)과 수용적 모형(receptive mode)으로 나누어 놓고 있다. 전자에는 신경 근육상의 기능(skill)을 들 수 있고, 후자로는 청각적, 시각적 기능을 들 수 있다. 이의 상관관계를 도식하면 아래와 같다.
 
Components of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y in communicative
language use (Bachman 1990:85)
이러한 언어의 기능과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의사소통 언어교수법의 배경이 되는 언어이론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Language is a system for the expression of meaning.
(2) The primary function of language is for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3) The structure of language reflects its functional and
communicative uses.
(4) The primary units of language are not merely its grammatical
and structural features, but categories of functional and
communicative meaning as examplified in discourse.
(Richards and Rogers, 1986)
(2) 학습이론
의사소통 교수법의 학습이론에 대해서는 확실히 기술된 이론이 별로 없지만 실제 이사소통중심 언어교수경험을 통해서 몇 가지 학습원리가 나왔다.
(1) 의사소통 원리(communication principle): 실제로 의사소통을 해보는 활동
은 학습을 향상시킨다.
(2) 과제 원리(task principle): 의미 있는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언어사용 활
동은 학습을 향상시킨다.
(3) 유의미 원리(meaningful principle):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언어는 학습과
정을 도와준다.
(Johnson, 1982; Littlewood,1981)
또한 의사소통 능력의 습득을 기술(skills)의 발달로 보아 인지적 측면에서 적합한 행동을 창조하는 능력의 내재화와 연습을 통한 행동의 자동화를 시도하는 행동주의 관점이 내포되어 있다는 주장도 있다(Johnson, 1984; Littlewood, 1984)
Krashen은 언어습득과 언어학습을 구별하여 습득은 언어숙달을 위한 기본적인 과정으로 본다. 습득은 실제로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사용의 결과로서 무의식적인 언어체계의 발전을 말하며, 학습은 교육을 통해서 얻은 문법적 지식을 의식적으로 실현한 것이다. 자발적인 언어사용에서 발화를 창조해 내는 것은 습득된 체계에 의해서 이고, 학습은 습득된 체계의 표출로서 실현된 것이다. Krashen과 다른 외국어습득 이론가들은 언어학습은 언어 기술(skills)의 연습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사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이상과 같은 언어이론과 학습원리를 적용한 영어교수는 학습자에게 영어를 사용하는 기회를 많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학습활동은 소집단을 형성하여 기능적 의사소통 활동과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을 주로 하고 전자는 과제중심으로 후자는 대화와 토론 중신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VI. 결 언
지금까지 연수목적과 배정된 시 수에 맞추어, 영어교과의 목적과 방법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혀 보려는 시도를 해 보았다. 교과의 목표는 교과교육론으로 대치하여 서술하였다. 제 1장, 교과교육론의 본질에서는 전체 교과교육영역의 첫 삽질로서 목적론을 본질로 하면서, 아울러 전체 교과영역에 걸친 원리와 이론을 영어교육이 속한 언어습득이론의 고유 패러다임에 맞추어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것을 당부하였다. 제 2장, 영어교과의 목적과 특성에서는 목적의 계층구조 분석 후 영어교육의 위계를 확인하고 그 다음으로 영어가 갖는 실용적 가치와 교양적 가치기준에 맞추어 중등학교 영어교과 목표를 설명하였다. 제 3장, 영어교과 교육론의 새로운 동향에서는 금세기 동안에 거친 여러 가지 영어교수방법의 역사를 개관하여 새로운 동향의 성격을 규명하고 그 규명된 성격과 변화내용의 당위성을 타진하고 이해를 촉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제 4장, 영어교과교육의 연구에서는 교과과정의 각 구성 소(components) 별로 담아야 할 내용과 각 구성 소가 이루는 체계적 접근 방법을 터득하여 우리의 인지구조 속에 하나의 구조물 내지 개념(constructs)을 구축하려고 시도하였다.
영어교과의 방법에서는 수많은 방법이 있지만 제약된 시간 속에서 몇 가지 중요한 것을 우선적으로 골랐다. 첫 번째는 교수-학습원리와 수업 모형으로서 교사의 임무 중 가장 중요한 수업에 대한 능력을 신장 하고자 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현행 교과과정뿐만 아니라 새로 개정될 교과과정 2000에서도 핵심 영역이 될 의사소통 교수 방법에 집중하였다.
언어 교육에서는 어떤 원리도, 어떤 방법도 만병통치약(panacea)이 될 수는 없다. 또한 어떤 방법도 마지막 방법이 될 수는 없다. 언어는 곧 우리의 삶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거기다가 외국어를 배운다는 것은 우리말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언어, 새로운 문화, 새로운 사고, 감정, 행동 방식으로 옮기는 작업이므로 그 일이 결코 싶지 않다. 온 몸과 온 정신을 솥아 부어야 하는 힘겨운 일이다. 오늘 이 시간은 결코 그 어떤 해결지점에 도달한 것이 아니며 무한히 겪어야 할 험한 길의 시작점에 서 있음을 확인할 따름이다. 언어는 질적이고 무한한데, 이론과 방법은 양적이고 유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어교사는 현재의 최선을 잡으려는 노력을 계속하지 않으면 안 된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77페이지
  • 등록일2007.01.21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99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