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학과 금오신화론 요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문학과 금오신화론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傳의 개념

2. 전의 성격

3. 전의 구성 형식

4. 전의 하위 갈래

5. 전의 史的 展開

薛重煥, <金鰲神話論>

1. 작가적 배경

2. 작품의 형성 과정

3. 작품의 내용과 의미

4. 창작 기법

5. 문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지’를 제외하고는 전편에 여인이 등장하는데, 이것은 독자로 하여금 연애 소설에서 주는 흥미를 부여해 준다
2) 문체와 내용의 일치
금오신화에는 傳記志錄의 문체가 있다.
이생규장전은 바로 이생의 전기이니 전에 해당된다.
記는 紀事志錄 또는 述이라고도 하며, 모두 어떤 사물을 객관적으로 서술한 것이다. ‘만복사저포기’와 ‘취유부벽정기’는 동봉의 이론이 섞인 變體의 기이다.
志는 기의 일종으로, 견문의 미친 것을 기술하는 문체이다. 따라서 지는 자기가 보고 들은 견문을 자기의 이론을 섞어 기술한 문체라고 하겠다. ‘남염부주지’는 동봉이 그의 종교에 대한 견문을 기록한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錄은 일상적인 일의 기록인 기와 달리 특별히 남겨야 할 일을 기록한 것으로 실록을 연상하게 한다.
이로 보아 “금오신화”는 동봉이 그 내용에 합당한 문체를 붙였다고 하겠다.
3) 표제의 상징성
표제는 작품의 얼굴이다. 그 만큼 중요하다는 말이다.
‘만복사저포기’는 萬福寺라는 절과 저포놀이를 복합한 이름이다. 만복을 얻고 안 얻고는 저포놀이처럼 일종의 운명임을 자탄하며 붙인 이름이리라.
‘이생규장전’은 아주 상징적인 표제이다. 여기서 담 밖은 의식의 세계요, 담 안은 평소에는 잘 보이지 않는 무의식의 세게다. 우연히 무의식의 세계로 들어가니 적극적인 여인이 있지 않은가? 그 여인은 이생의 본래 모습인 것이다.
‘취유부벽정기’의 부벽정은 고구려 동명왕의 궁궐이 섰던 자리에 서있기에 한층 인생의 허무감을 절실하게 느끼게 해 준다. 거기서 취하여 놀면서 허무를 이긴 신선의 이야기이니 주제에 어울리는 분위기를 암시한다.
5. 문학사적 의의
“금오신화”는 앞의 형성 과정에서 살펴본 대로, 우리 고대 설화와 여조의 시화가전에서 그 형식과 구조, 그리고 근원설화를 계승 발전시켜 당시의 시대작가적 요구에 의해 이루어진 최초의 본격적 소설이다. 이에는 물론 전등신화가 그 구체적인 영향을 끼친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소설의 표제와 형식, 그리고 구조와 근원설화 면에서 후대의 작품에도 그대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금오신화”가 소설로서 완전한 형식을 갖추었다는 증명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금오신화”는 고소설의 전범이며, 원류라 하여 당연할 것이다.
결국 “금오신화”는 전대 문학의 전통 속에서 거둘 수 있는 모든 예술적인 성과를 집대성하여 이를 후대에 물려준 데서 그 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2.07
  • 저작시기200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28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