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각국의 외국인노동자 정책과 고용허가제도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1. 머리말

2. 외국인 노동자 현황
1) 이주노동의 세계적인 추세
2) 한국의 이주노동자

3. 외국인력 정책의 유형론
1) 미국유형
2) 스웨덴유형
3) 프랑스유형
4) 독일유형
5) 한국과 일본유형

4. 아시아 각국의 이주노동자 수입 정책의 비교
1) 독일의 노동허가제도
2) 싱가포르의 고용허가제도
3) 대만의 고용허가제도
4) 홍콩의 고용허가제도
5) 일본의 기능실습제도
6) 한국의 연수취업제도

5. 한국의 대안적 외국인노동자 정책

7. 외국인노동자 정책의 전지구화와 사회운동의 국제 연대
1) 외국인 이주노동자 보호의 기본적 제도
2)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기본권
3) 기타

참고문헌

본문내용

외국인 노동에 대해서도 국내인과 동일하거나 크게 차별하지 않는 대우를 보장해야 한다.
유엔총회의 "이주노동자의 권리협약", 국제노동기구(ILO)의 협약과 권고에 따라 외국인 노동자의 기본권을 보장해야 한다.
합법 체류자에 대해서는 국제노동기구의 협약에 따라 당연히 보수, 사회보장, 노동조합 활동에 있어서 내국인과 동일한 대우를 해야 한다. 불법체류자와 미등록 노동자에 대해서도 ILO의 권고에 따라 제한된 범위 내에서 동일한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이주노동자와 가족에 대해 '직업선택과 고용의 기회'에서 일정한 제한이 필요하다.
중요한 것은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원칙이 관철되도록 하는 것이다. 취업업종의 제한을 전제로 같은 업종 내에서의 사업장 이동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은 시장에서의 경쟁을 통한 균형화작용을 전제로 한다. 사용자의 불법 행동 등의 경우에 한해 고충처리 절차를 밟아 사업장 이동허가를 받아 사업장을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번거롭고 실효성이 낮다.
그러나 사업장 이동의 자유를 허용하더라도 사업장 사용자들끼리 담합하여 외국인 노동자를 차별하는 결정을 하고 관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럴 경우 사업장 이동을 하지 않고도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법안 속에 마련해야 한다. 법안 제5장 벌칙 20조의 4, 5항에 대해서는 벌칙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최저임금을 현실화하고, '외국인 이주 노동자 조직'의 역할을 시행령 속에 명시하는 등의 보완책이 있어야 할 것이다.
3) 기타
외국인 노동자의 취업 업종 제한의 문제점 : 해당 업종의 저임금이 지속되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참고문헌
김소영, 외국인력 관련법제 및 정책의 국제비교, 1995.8 한국노동연구원
노동부·새천년민주당, 외국인근로자 고용 및 관리대책, 2000. 8
류재원, 외국인 고용허가제의 문제점과 정책대안, 2000. 11 중소기업연구원
박석운, "외국인노동자 고용 및 인권보장에 관한 법률" 입법 추진전략과 관련하여, 2000
박석운, 한국 내 외국인이주노동자 관련 정책의 흐름, 이주노동자 권리향상을 위한 한일공동포럼, 2002
설동훈. 1999. 『외국인노동자와 한국사회』. 서울대학교출판부.
______. 2000. 『노동력의 국제이동』. 서울대학교출판부.
Castles, Stephen, and Mark J. Miller. 1998. The Age of Migration: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dern World, Second Edition. New York: Guilford Press.
Chan, Raymond K. H., and Moha Asri Abdullah. 1999. Foreign Labor in Asia: Issues and Challenges. Commack, NY: Nova Science Publishers.
Cohen, Robin. 1987. The New Helots: Migrants in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ur. Aldershot: Gower Publishing Company.
Corrigan, Philip. 1977. "Feudal Relics or Capitalist Monuments? Notes on the Sociology of Unfree Labour." Sociology 11(3):435∼463.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2000. World Migration Report 2000. Geneva: IOM.
Miles, Robert. 1987. Capitalism and Unfree Labour: Anomaly or Necessity? London: Tavistock Publications.
Seol, Dong-Hoon. 2000a. "Foreign Workers in Korea 1987-2000: Issues and Discussions." Kasarinlan: Philippine Journal of Third World Studies 15(1):115∼138.
______. 2000b. "Past and Present of Foreign Workers in Korea 1987-2000." Asia Solidarity Quarterly 2:6∼31.
______, and John D. Skrentny. 2001. "How Do International Norms Affect Domestic Politics? A Comparison of Migrant Workers and Women's Rights in South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aheim Hilton & Towers and Anaheim Marriott, Anaheim, CA, USA, 18-21 August 2001.
______, and June J. H. Lee. 2001. "Migrant Workers' Welfare in Korea: Problems and Responses." Paper presented at the 29th Asia and Pacific Region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Council on Social Welfare. The 63 Convention Center, Seoul, Korea, 4-7 September 2001.
Sharma, Nandita Rani. 1997a. "Birds of Prey and Birds of Passage: The Movement of Capital and the Migration of Labour." Labour, Capital and Society 30(1):8∼38.
______. 1997b. "Cheap Myths and Bonded Lives: Freedom and Citizenship in Canadian Society." Beyond Law 17:35∼61.
  • 가격2,9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3.10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84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