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arning][이러닝]e-learning(이러닝)의 필요성, 장단점, 구성요소와 국내외 동향 및 개발 방향 분석(외국, 국내 e-Learning(이러닝) 시장 동향, e-learning(이러닝) 분야 인적자원 개발 방향, 이러닝, E러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learning][이러닝]e-learning(이러닝)의 필요성, 장단점, 구성요소와 국내외 동향 및 개발 방향 분석(외국, 국내 e-Learning(이러닝) 시장 동향, e-learning(이러닝) 분야 인적자원 개발 방향, 이러닝, E러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e-learning의 필요성

Ⅲ. e-learning의 장․단점

Ⅳ. e-learning 체제의 구성요소
1. 교육시설 및 인프라
2. 학습내용
3. 인적자원
4. 관리 및 운영
5. 지원체제

Ⅴ. 외국 e-learning 시장 동향
1. 미국 e-learning 시장 동향
2. 대표업체 동향

Ⅵ. 국내 e-Learning 시장 동향
1. 법적․제도적 환경
2. 대표업체 동향

Ⅶ. e-learning 분야 인적자원 개발 방향
1. 잠재 전문인력의 확보
2. 전문교육의 체계화
3. 재교육과 자격제도를 통한 경력개발
4. 고려해야 할 사항

Ⅷ. 결론

본문내용

의 근간이 될 것임.
라. 산학협력체제는 산업체와 학교 간의 정체성 규명을 통해 협력 방안을 마련해야 함
단순히 인턴쉽을 증가시키는 방안은 오히려 학생들에게 힘든 경험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해당 학교와 업체 간의 체계적인 프로그램 수립이 먼저임.
마. e-Learning 산업이 전략적 수출산업으로서 성장하려면 국가인적관리 차원에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해야 함. 교육산업은 다른 제조업이나 정보통신기술업과는 달리 수출 대상국의 문화이해를 전제로 수출 산업으로 육성시켜야 함. 따라서 비교우위적인 차원에서 세밀한 검토 후에 이에 필요한 인력 양성을 시도해야 함.
마. e-Learning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지역별 거점 교육체제를 운영할 필요가 있음
이는 지방의 다양한 인력들이 e-Learning 산업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지방의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고 나아가 지방 대학 학생들의 취업률 향상이라는 측면에서도 의의가 있음. 예를 들어, 국립 안동대학교의 경우 1996년에 교육공학과가 개설된 이래 학사, 석사, 박사과정을 운영하면서 매년 100% 취업률을 나타내어 학내는 물론이고 지역 사회의 관심과 기대의 주목 받는 학과로 성장하고 있음. 따라서 학부수준은 물론이고 대학원 수준에서 지역별 거점 대학을 육성한다면 e-Learning 산업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음.
바. e-Learning 전문가 양성을 위하여 사이버교육을 활용하는 방안을 심도있게 연구할 필요가 있음
현재 국내에서도 비정규과정이나 정규과정을 통해서 전문가, 학사, 석사 수준의 e-Learning 인력을 양성하고 하려는 시도가 있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러한 사이버 공간을 통한 교육이 e-Learning 전문가 양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임. 본 발표를 준비하면서 관련 인사들과 인터뷰를 한 결과에 의하면 긍정적, 부정적 견해가 제시됨:
사이버 공간을 통한 e-Learning 전문인력 양성은 면대면 정규 교육공학과를 통한 양성보다 취약성이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는 쪽에서는 의사를 사이버에서 양성하기가 힘든 것과 마찬가지라는 이유를 제시함. 특히, 학부에서 교육공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들의 경우, 사이버 공간을 통해 석사과정 수준의 e-Learning 전문인력을 양성할 때 선수지식 부족으로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도 있음.
반면, 사이버 공간을 통한 e-Learning 전문인력 양성은 e-Learning 전문인력의 재교육에는 충분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됨.
따라서, e-Learning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해 학사수준에서는 정규과정의 교육공학과의 수를 늘릴 필요가 있으며 석사수준에서는 재교육이나 경력개발 차원에서 석사과정을 운영하는 방안의 하나로 사이버 공간을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사. e-Learning 산업에 대한 장기 비젼의 확립과 업계와 학계가 협조하여 인력 양성을 위한 세부 방안 마련
이상의 논의를 고려할 때, e-Learning 산업에 대한 장기 비젼의 확립이 필요하며 이와 동시에 e-Learning 산업화를 위한 전문 조직을 중심으로 업계와 학계(교육공학회)가 협조하여 인력 양성을 위한 세부 방안을 마련해야 함. 현재로서 나열할 수 있는 세부방안들로서 앞으로 검토가 필요한 것은 다음과 같음:
e-Learning 전문 인력 수급 상황 조사 및 관리 체제 구축
e-Learning 전문 인력 수급 상황에 따른 장, 단기 양성 계획 개발
산, 학 인턴쉽 프로그램 개발
e-Learning 잠재 인력 확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여성 인력에 대한 e-Learning 산업 홍보 강화
지역별 e-Learning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거점 교육 체제 구축(교육공학과 대학 및 대학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수설계 공모전의 실시
e-Learning 전문 인력의 경력개발 경로 체계화
e-Learning 전문 인력을 위한 경력개발차원의 자격증 제도 실시
e-Learning 전문 인력을 위한 경력개발차원의 재교육체제 구축
e-Learning 전문 인력에 대한 병역 관련 인센티브 지원
e-Learning 전문 인력 양성 학부 및 대학원 학생에 대한 장학 지원
e-Learning 전문 인력 양성관련 교육기관 및 교수 요원의 연구활동 지원
e-Learning 전문 인력 양성관련 교육기관의 교육과정 개발 지원
정부 유관부서별 유기적 협조체제 구축과 전담 조직 운영
e-Learning 전문 인력 양성 정규교육기관(대학, 대학원)의 역할 체계화
e-Learning 전문 인력 양성 비정규기관 질 관리 강화
Ⅷ. 결론
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발표한 `2004년 상반기 정보화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터넷 이용인구는 만 6세 이상 월 1회 이상 인터넷 이용자를 기준으로 3천67만 명이며 인터넷 이용률은 68.2%인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 인터넷 이용률은 10대 이하가 95.5%, 20대가 95%, 30대의 경우 86.4%, 40대는 58.3%, 50대는 27.6%로 나타났다. 초고속통신망의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청소년들에게 인터넷사용은 일상생활이 되었고 컴퓨터의 사용은 더 이상 학생들에게 생소한 활동이 아니라 오히려 친숙한 활동이며 생활의 한부분이라 할 수가 있다.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7차 교육과정에서도 마지막 단원에서 컴퓨터와 정보처리 분야를 다루고 있으나, 그 내용이 컴퓨터의 구조와 원리 부분과 정보의 생산과 관련된 부분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실질적인 교육효과를 기대하기 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 동안 기술 ? 가정 교과가 학생들의 관심에서 멀어진 것도 기술 ? 가정 과목이 실생활과 관련 깊은 과목이므로 다른 어떤 과목보다도 실용적인 학습이 병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론적인 학습에만 너무 치우쳐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친숙한 인터넷과 컴퓨터를 교과 전반에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학생들의 참여를 이끌어냄으로써 학생들로부터 기술 ? 가정 교과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게 하고 컴퓨터와 정보처리 단원을 보다 실용적으로 학습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3.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1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