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기반사회 학교교육과정의 인식론적 문제와 Polanyi의 지식이론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I. 서론:지식기반사회와 교육
1. 지식기반사회로의 당위성과 가능성
2. 지식과 산업―지식의 기능적 변화
3. 지식의 본질적 의미와 그 변화
(1) 지식과 정보
(2) 이론적 지식과 암묵적 지식

II. 경제학적 관점의 지식창조이론의 비판적 고찰

III. Polanyi의 지식이론
1. 지식기반사화란?
2. Polanyi의 문제의식과 인격적 지식
3. 암묵적 인식과 명시적 지식
4. 암묵적 인식의 구조와 지식 생성의 원리

IV. 학교교육과정의 인식론적 문제
1. 지식관의 문제
2. 지식의 유형의 문제
3. 인식의 방법의 문제

V.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술을 대립적으로 구분하는 기존의 견해에 대한 대안이 되는 근위항과 원위항의 역동적 구조, 실재와 지식의 수준이 위계적으로 상승하는 창조적 지식 생성의 과정 등, 그가 제시하는 독특한 견해는 학교교육과정의 인식론적 대안 정립을 위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학교교육과정 논의에 주는 함의점을 결론적으로 종합할 때, Polanyi의 지식이론에서 핵심적으로 주목할 점은 문제의 발견과 해결을 통한 창조적 지식 생성의 원리이며 그에 내포된 지성적, 정감적, 실천적 기능의 통합적 이해라고 본다. Polanyi의 특징적인 점은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것의 범주에 들어오지 않기에 모르고 있는 것이면서도 무엇인가가 있으리라는 감(sensing)을 가질 수 있다고 하는 발견적 인식의 신비, 혹은 인식에서 작용하는 창조적 힘의 신비를 설명해 준다는 데에 있다. 그에게 문제의 발견이란 곧 여태까지 연결되지 않았던 사물들의 잠재된 통합의 암시이며 잠정적인 예견에 온 마음이 사로잡힘(a personal obsession)의 상태로서, 아직은 불확실한 상태에 있기에 우리의 염려을 불러일으키는 진정한 문제의 발견이 곧 모든 인식의 기원이다. 또한 일단 문제로 실감되는 어떤 전체적인 감이 탐구 과정의 동력으로서, 여기 저기에 흩뿌려진 채 뭔가 숨겨진 실재를 드러내 줄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예감되는 조각들에 대한 의식을 인도하도록 작용한다. 현재 잠재된 가능성으로서만 존재하는 무언가의 인식으로부터 생겨나는 발견적 긴장(heuristic tension)이 먼저 생겨나서, 해결점을 찾아 나아가도록 이끄는 동력으로 작용할 때에, 그렇지 않았다면 산만하게 남아있을 부분들에 대한 의식이 하나의 통일된 전체를 구성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문제해결의 결과 도달되는 것은 자아와 세계의 새로운 보다 높은 수준의 재통합이며 그 순간에는 아름다움의 체감이 동반된다.
일관된 현대적 지식관에 기반하여 문제의 발견과 해결을 통한 창조적 지식 생성을 설명하는 Polanyi의 지식이론은 학교교육과정의 인식론적 대안으로서 또한 구체적인 교과 교육과정 구성 원리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현 시대에 직면한 우리의 지식교육의 문제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하는 결과이지만, 그 한 가지는 학교교육과정 지식의 기저에 놓인 지식관의 문제로 본다. 이 연구는 Polanyi 지식이론에 한정한 논의이며, 근대적 한계를 극복하는 일관된 교육과정의 인식론적 기반 정립을 위한 공동의 탐구가 계속적으로 요청된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교육부 (1999). 중학교 교육과정해설 -총론, 특별 활동-.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김경자 (2000). 학교교육과정론. 서울: 교육과학사.
김재춘 외 (2000).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김효근 (1999). 신지식인.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서이종 (1998). 지식·정보사회학: 이론과 실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엄태동 (1998). 교육적 인식론 탐구. 서울: 교육과학사.
이귀윤 (1996). 교육과정 연구: 과제와 전망. 서울: 교육과학사.
이돈희 외 (1999). 지식기반사회와 교육. 서울: 교육부.(14-17)
이은봉 (1990). 폴라니의 생애와 사상. 과학, 신념, 사회.(pp. 139-194). 서울: 범양사.
이홍우 (1978). 증보 지식의 구조와 교과. 서울: 교육과학사.
장상호 (1994). 인격적 지식의 확장. 서울: 교육과학사.
홍은숙 (1999). 지식과 교육. 서울:교육과학사.
Bollnow, O. F. (1993). 인식의 해석학: 인식의 철학 I(백승균 역). 서울: 서광사. (원제목: Philosophie der Erkenntnis: Das Vorverstandnis und die Erfahrung des Neuen; 원본출판: 1981).
Nonaka, I. & Takeuchi, H. (1998). 지식창조기업(장은영 역). 서울: 세종서적. (원제목: The knowledge-creating company: How Japanese companies create the dynamics of innovation; 원본 출판: 1995).
Center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Innovation(CERI), OECD (2000). Understanding the role of education in the learning economy: The contribution of economics. Knowledge Management in the Learning Society (pp. 11-35). Paris.
Doll, W. E. Jr. (1997). 교육과정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각(김복영 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제목: A post-modern perspective on curriculum; 원본 출판: 1993).
Oakeshott, M (1967). "Learning and teaching," The concept of education. R. S. Peters ed. (pp. 157-176).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Polanyi, M. (1962). Personal knowledge: Towards a post-critical philosophy. Chicago: Univ. of Chicago Press.
_____ (1967). The tacit dimension. Garden City: Doubleday & Company, Inc.
_____ (1969). Knowing and bein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_____ (1990). 과학, 신념, 사회(이은봉 역). 서울: 범양사. (원제목: Science, faith and society; 원본출판: 1964).
Polanyi, M. & Prosch, H. (1975). Meanin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Ryle, G. (1949). The concept of mind. NY: Barnes & Noble, Inc.
  • 가격3,1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7.03.2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08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