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화와 붕당정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黨派性論의 극복

2. 사화의 역사적 성격
1) 무오사화
2) 갑자사화
3) 기묘사화
4) 을사사화

3. 붕당정치의 성립과 전개 - 참고자료
1) 黨爭과 朋黨
2) 朋黨의 성립
3) 朋黨의 전개과정
4) 禮訟과 換局

4. 붕당정치의 쇠퇴 - 蕩平策과 勢道政治
1) 蕩平策의 前後 배경과 勢道政治
2) 蕩平策
(1) 정조의 蕩平策

<보충자료>
- 士林 - 참고자료
- 朝鮮王朝實錄
- 권신정치기
- 소현세자

<사료>

본문내용

다는 기록이 있고, 실록은 세종이 태조실록을 보았다는 기록이 있다. 하지만 태종실록은 신하들의 만류로 볼 수 없었다고 한다.
각 왕들의 실록 중 3번의 개정판들이 있는데 선조실록, 현종실록, 경종실록이 그것이다. 이 실록들은 사림정치기에 각 당에 유리하도록 개정되었다.
3. 권신정치기
공신 세력이 늙어 죽고 사림파의 과도한 개력 주장에 염증을 느낀 국왕이 등을 돌림으로써 정권은 외척 권신들의 손아귀에 들어가게 되었다. 김안로 윤임 윤원형 이량 등이 그들이다. 외척 권신들의 집권은 기간이 짧았다는 것이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이들에게는 집권의 명분도, 특별한 정치 이념도 없었다. 다만 훈구파가 무너지고 사림파가 아직 정권을 차지할 만한 세력을 갖추지 못한 과도기에 잠시 권력을 차지할 수 있었을 뿐이었다. 정권 장악 능력도 부족했다. 인사권과 언론권을 대신이 가진 것도 아니었고, 다만 자기 사람들을 전랑이나 언관에 배치함으로써 사림의 정치 체제를 도용한 정도에 그치고 있었다. 사대부와 훈구파가 약화된 이후 사림파가 집권하기까지는 외척밖에는 정치를 주도할 세력이 없었다. 비록 왕실이 있다고는 해도 왕족은 이미 국왕 한 사람을 제외하고는 정치에 나설 수 없게 되어 있었으며, 그들도 4대가 지나면 일반 관료들과 똑같은 지위로 하락하게 되어 있었다. 이런 여러 사정을 고려할 때, 권신정치기는 훈신정치의 말기적인 현상으로 보아 훈신정치기에 포함해도 별 무리는 없다고 생각된다. 이 시기는 대략 중종 말기부터 명종대까지이다. <조선시대 당쟁사 1> , 이성무, 동방미디어, pp76~77, 이 책에서 이성무는 조선의 정치사를 집권한 정치 세력을 중심으로 사대부정치기, 훈신정치기, 권신정치기, 사림정치기, 탕평정치기, 외척세도정치기로 구분했다.
4. 소현세자
병자호란의 결과 인질로 끌려간 소현세자는 심양(瀋陽)과 연경(燕京)에서 세계정세의 냉혹한 현실을 깨닫고 개방론자가 되었던 것이다. 소현세자는 연경에서 예수회 선교사 아담 샬로부터 서양 과학기술과 천주교 사상을 접하고, 우리나라는 학문에 대한 광명이 결핍된 나라이기 때문에 오늘까지 이러한 진리를 모르고 살아왔습니다라는 편지를 보낼 정도로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는 성리학의 명분론에 기초한 향명대의 등은 현실에 뒤떨어진 것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귀국하면 조선을 개방시켜 세계사의 대열에 합류시키기로 결심했다.
그러나 8년 간의 인질생활 끝에 인조 23년(1645) 귀국한 세자를 기다리는 것은 인조와 서인들의 적대감이었다. 소현세자의 개방적 자세는 이들에게 반정 명분을 부인하는 반역행위로 받아들여졌다. 귀국 두 달만에 학질에 걸려 병석에 누운 세자는 발병 사흘만에 급서했는데 온 몸이 검은 빛이었고 이목구비의 일곱 구멍에서는 모두 선혈(鮮血)이 흘러나왔으며 마치 약물(藥物)에 중독되어 죽은 사람과 같았다는 인조실록 23년 6월의 기록처럼 의혹에 가득 찬 것이었으나 인조와 서인 정권에 의해 그 진상은 은폐되었다.
조선은 장자가 죽었을 경우 장손이 뒤를 잇게 되어 있었으나 인조는 장손 석철이 아니라 동생 봉림대군(효종)에게 왕위를 넘겼다. 소현세자의 죽음은 한 개인의 죽음이 아니라 개방적 세계관의 죽음이었고, 그 빈자리는 폐쇄적 세계관을 지닌 정치세력이 채웠다. 예송논쟁은 바로 이런 배경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
<사료>
선조 10권, 9년( 1576 병자 / 명 만력(萬曆) 4년) 3월 3일 병신 1번째기사
김효원과 심의겸의 알력으로 당을 나누어 다투는 상황
丙申/金孝元、沈義謙二黨, 相攻擊如仇。 蓋當初沈金、金譏沈, 而各分朋黨, 相爲傾軋。 金、沈雖俱出外, 而沈邊勝金邊, 堂下文士之有名者, 多見排抑。 李誠中亦以金交遭論劾, 至擬於鐵山郡守。 鄭熙績、盧畯亦然。 分朋黨相擊, 如唐牛、李之黨, 士林之不靖, 乃至於是。
김효원(金孝元)과 심의겸(沈義謙)의 두 당(黨)이 원수처럼 서로 공격하였다. 당초 심의겸이 김효원을 비방하자 김효원도 심의겸을 비난하여 각기 붕당(朋黨)이 나뉘었고 서로 알력하게 되었다. 김효원과 심의겸이 모두 외직(外職)으로 나가 있었으나 심의겸 쪽이 김효원 쪽보다 나아서 김효원 쪽의 당하(堂下) 문신들 가운데 유명한 사람이 많이 배격되었다. 이성중(李誠中)은 김효원과의 교분 때문에 논핵을 받아 철산 군수(鐵山郡守)에 제수되었고, 정희적(鄭熙績)·노준(盧畯)도 그렇게 되었다. 붕당이 나뉘어 서로 공격하는 것이 당(唐)나라 때의 *우이(牛李)의 당(黨)과 같아서 사림(士林)의 조용하지 못함이 마침내 이 지경에 이르렀다.
【영인본】 21 책 337 면
【분류】 *사법-탄핵(彈劾) / *인사-임면(任免)
*우이(牛李)의 당(黨) : 당(唐)나라 말년에 우승유(牛僧儒)와 이길보(李吉甫)가 서로 나뉘어 붕당을 만들고 정권(政權)을 다툰 것을 말하는데, 그후 당쟁(黨爭)을 가리키는 말로 전용되었다. 《당서(唐書)》 권185 이덕유전(李德裕傳).
선조 11권, 10년( 1577 정축 / 명 만력(萬曆) 5년) 5월 27일 갑인 4번째기사
심의겸과 김효원의 시비로 인한 상황
初沈義謙以外戚用事, 一時名疏皆附之。 金孝元爲銓郞, 始斥之。 其出入時輩惡之, 朋類漸分, 始爲東西之說。 李珥言於大臣, 請兩出之, 以杜階。 於是孝元爲三陟府使, 義謙亦爲監司, 而用事之輩, 引進私黨, 排正士, 自是朝廷多故矣。
처음에 심의겸(沈義謙)이 외척(外戚)으로 용사(用事)하여 한때의 명류(名流)들이 모두 붙좇았는데 김효원(金孝元)이 전랑(銓郞)이 되자 비로소 배척하기 시작했으므로 심의겸에게 출입하던 시배(時輩)들이 미워하여 붕당(朋黨)이 점점 나뉘더니 비로소 동서(東西)의 설(說)이 생겼다. 이이(李珥)가 대신들에게 말하여 둘 다 내쳐서 화단이 생길 빌미를 막야야 한다고 청함에 따라 김효원은 삼척 부사(三陟府使)에 제수하고 심의겸도 감사에 제수하였는데, 용사하는 무리들이 사당(私黨)을 끌어들이고 정사(正士)를 배척하였으므로 이로부터 조정에 문제가 많아졌다.
【영인본】 21 책 347 면
【분류】 *인사-임면(任免) / *사법-탄핵(彈劾) / *변란-정변(政變) / *왕실-비빈(妃嬪)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5.16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7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