듣기교육의 이론과 실천 방안에 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듣기교육의 이론과 실천 방안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언

Ⅱ. 듣기의 개념
2.1. 듣기의 성격
2.2 듣기의 정의

Ⅲ. 듣기의 과정

Ⅳ. 듣기의 유형

Ⅴ. 듣기의 교육방안
5.1 듣기 지도의 목표와 내용
5.2 듣기의 지도방안

Ⅵ. 결 언

본문내용

tigation of proportionaltime spent in various communication activities by college student,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8.
Lundsteen, S.(1979), Listening: Its Impact on Reading and the Other Language Arts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Rankin, P.(1926), The Measurement of the Ability to Understand Spoken Languag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Taylor, S.(1973), Listening: What Research says to the Teacher, Washington, D.C: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Wilt, M.(1958), A Study of Teacher Awareness of Listening as a Factor in Elementary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3.
각 주
1 인류학자들은 인간의 문명 발달에 기여한 요소로 직립, 예지, 언어의 사용, 불의 사용, 연장 의 발명 등을 들고 있으나 인간 상호간의 의사소통과 협동, 경험의 전승을 가능케 한 '언어 의 사용'을 가장 영향력이 켰던 사건으로 꼽는데 이의를 달지 않는다. 그래서 언어학자들은 인간을 'homo loquence'라고 일컫는다.
2 이런 전통적인 생각에 대한 비판은 박경현(1980: 1-63)에 잘 나타나 있다.
3 Nickols & Stevens는 미국의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평상시의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조사 한 바에 따르면, 그들은 듣기에 42%, 말하기에 32%, 읽기에 15%, 쓰기에 11%의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고 보고했고, Barker, Edwards, Gains, Gladnes & Holly(1980)는 듣기에 53%, 말하기에 16%, 읽기에 17%, 쓰기에 14%를 할애하고 있으며, 심지어 Wilt(1958)의 조사에서는 학생들이 학교에서의 하루 생활 중 57.5%를 듣기 시간으로 보내고 있다고 보고했다 우리 나라 대학생의 경우도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4 1920년 인도에서 발견된 야생아(feral children)인 카말라(Kamala)와 아말라(Arnala)라는 두 소녀의 경우에서 잘 알 수 있다. 이들은 인도 동북부에 있는 벵갈(Bengal)주의 Midnapore라는 지방에서 늑대와 함께 살다가 발견되었는데 언니는 8살쯤이고 동생은 한 살 반 정도였다. 언니인 카말라에게 약 4년 동안 인간의 말을 가르치려고 노력했으나 겨우 45개의 단어 밖에 가르치지 못했다고 한다(김진우, 1985: 39).
5 맹인은 거의 정상인과 다름없이 사회생활을 할 수 있으나, 귀머거리나 벙어리는 사회활동을 하는데 후견인을 필요로 한다. 특히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활동을 스스로 할 수 있느냐 없느냐는 사회생활 적응력을 판단하는 척도가 될 수 있다
6 듣기'를 교육학적으로 엄밀하게 정의한다면 '음성기호로부터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이 될 것 이다 따라서 남의 말을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말뜻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면 진정한 의미에서의 '듣기'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다.
7 이런 견해를 보여 주는 연구 중에 대표적인 것을 몇 가지만 든다면 노명완(1992). 최현섭 외 (1996). Barker(1971), Weaver(1972). Lundsteen(1979) 등이 있다.
8 Barker(1971), Weaver(1972)를 제외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듣기를 정의하면서 '듣기가 선택적 과정'이라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인간은 의사소통 과정 중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정보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며 집중할 수는 없다
9 Willbrand & Rieke(1983.51)에서는 듣기의 단계를 '기초적 주의 기울이기 단계'와 '높은 주의 기울이기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10 듣기와 읽기는 모두 '이해자'가 '표현자'의 의사 소통적 의미를 형성하는 인지적 과정이라는 점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 다만 전자는 음성언어를, 후자는 문자언어를 매개로 하여 정보의 수용이 이루어진다는 매체적 차이가 있을 뿐이다. 하지만 언어를 중시하는 언어학자나 언어 심리학자들은 듣기와 읽기의 공통점에 더 많은 관심을 보여 왔으며, 언어 사용면을 중 시하는 언어교육학자들은 차이점을 더 중시하고 있다.
11 Taylor(1973)에서 제시된 듣기의 3단계 과정 모형은 노명완 외(1991 172)에 도표로 잘수록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지면 관계상 생략한다.
12 Verdeber & Verderber(1992)에서는 듣기를 '주의집중, 이해하기, 평가하기, 기억하기, 반응하기' 등으로 구분하고, 노명완(1997)에서는 '정보 확인하기, 내용 이해하기, 내용 비판하기, 감상하기'로, 전은주(1998)에서는 '정보 확인하기, 이해하기, 평가하기, 감상하기, 반응하기' 등으로 나누고 있다.
13 청자의 반응 목적을 지니지 않은 듣기로서 '식별적 듣기' 또는 '주변적 듣기' 이외에도 의사 소통의 효과 차원에서 동원되는 '치료적 듣기'가 있다 하지만 이들은 특수한 경우의 논의이므로 여기에서는 제외해도 큰 문제가 없을 것이다
14 듣기 기능 중 중요한 것은 '요약하기, 추론하기, 사건의 줄거리 기억하기, 정보를 정확하게 기억하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런 기능은 그 동안의 수많은 연구에 의하여 '지도'로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고 결론짓고 있다(Hollow: 1955,Irwin: 1952 참조).
15 '듣기 예절'을 아울러 가르쳐야 한다. 여러 가지의 예절이 요구되겠지만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a. 내용에 관심을 보인다 b. 말하는 사람을 처다본다. c. 끝까지 잘 듣는다. d 궁금한 점이 있으면 다시 묻는다. e. 표정이나 고개짓으로 적절한 반응을 보인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5.27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16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