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민중가요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민중가요를 왜 선정하였나?
2. 민중가요의 정의는 무엇인가?

Ⅱ 본론
시기별 민중가요
① 일제시대 ~ 해방직후 : 최초의 민중 노래
② 1950년대와 60년대 - 민중가요의 암흑기
③ 70년대 초반 - 포크송, 그리고 김민기
④ 70년대 중후반 - 민중가요의 성립기
⑤ 80년 초반 - 80년의 봄, 그리고 임을 위한 행진곡
⑥ 80년 중반 - 85년 ‘구로동맹파업’과 4․15 대우자동차 노동자들의 파업
⑥ 80년 중반 - 85년 ‘구로동맹파업’과 4․15 대우자동차 노동자들의 파업
⑧ 90년 초중반
⑨ 98년 ~ 현재

Ⅲ 결론
민중가요에 대한 시각
민중가요가 나아갈 길 - 첫 번째 의견
민중가요가 나아갈 길 - 두 번째 의견

본문내용

적이나 의식을 공유하고 그 모순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거나 필요성을 깨닫고 있는 노래로 노동자를 위한 노래라 할 수 있으므로 그 차이가 나는 것이다. 노동자들에게 민중가요는 그들을 다수가 아닌 하나라는 개념으로 공동의 목표를 위해 함께 노력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매개체로 인식할 것이다. 하지만 노동자의 입장이 아닌 제3자의 입장으로 민중가요를 바라보면 민중가요에 대하여 큰 관심이 없을 것이다. 우리 주변을 살펴봐도 직접 집회를 하는 당사자가 아닌 이상 그들이 무엇을 하는지 무엇을 원하는지에 대하여 크게 관심을 갖지 않는다. 단지 민중가요에 대하여 “오늘 집회하는 구나” 이런 정도로 인식하고 지나치는 것이 대부분일 것이다. 즉, 제3자는 민중가요는 활성화되지도 않았고 알려지지 않은 노래이며 또한 전투적이고 공격적이고 냉소적이며 사회비판적이고 선동적이기만 가요로 일반인들에게 좋지 않은 인상으로 인식되어 있는 것이다. 하지만 노동자들이 민중가요를 부른다는 것은 그들에게는 자신의 삶을 부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제3자와는 달리 치열한 노동의 현장 속에 직접 몸을 내던져 민중가요의 참된 의미를 몸으로 느끼고 행동하는 것이다. 민중가요에 대해서 제3자와 노동자들의 입장에 대하여 서로 자신의 입장과 시선을 내세울 것이 아니라 제3자와 노동자 모두 민중가요에 대하여 관심과 이해를 가져 그들의 입장을 배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민중가요가 나아갈 길 - 첫 번째 의견
노동자의 노래는 투쟁이 있는 곳에서 그 힘이 생기고 발휘된다. 노동자의 노래인 민중가요는 지배자들의 것과는 달리 여흥이 아닌 계급투쟁의 무기여야 한다. 민중가요는 자본주의 체제에 저항하여 자유로운 삶에 대한 인간적인 욕구를 추구하는 무형의 이데올로기 대중투쟁이다. 변화된 상황에서 노동자의 의식과 정서를 담아내는 민중가요를 생산해 내기 위해서는 좀 더 현장과 소통하는 체계를 만들어야 하겠다. 집회장을 넘어 민중가요를 노동자 가슴속에 살아 퍼지게 하려면 노동예술가들의 고민이 좀 더 구체화되고 조직화되어 현장노동자가 문화의 주체로 서는 양식을 강화하는 것이라 하겠다.
자본의 거대한 문화 산업을 뚫어낼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노동자가 주체가 되어 문화적 활동을 향유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노동가요의 창작방식이 창작자에 의해서 발표되고 노동자들은 그것을 수용하는 형식이 많았다고 본다. 이후 민중가요가 나아갈 길은 창작자와 현장 노동자가 창작 작업에서부터 연대하고 소통하는 방식으로 노동자가 민중가요 창작의 한 주체가 되어 침체의 길을 뚫어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민중가요가 나아갈 길 - 두 번째 의견
민중가요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대중의 요구를 폭 넓게 받아들여 그들이 진정 필요한 음악으로 발전해야 할 것이다. 기본적인 대중을 소유하고 있는 다른 음악의 장르처럼 민중가요 역시 이러한 흐름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대중가요의 한 귀퉁이를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민중가요는 민족가요로서 그것을 계승, 발전시켜 민족음악으로서의 지위를 가지는 것이 민중가요의 나아갈 방향인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전통음악에서 대중성과 현대성을 찾아 대중의 삶을 폭넓게 그려내는 내용을 담아내야 하며, 민중가요계의 민족적 발전형식을 깊이 있게 고민하고 클래식음악계의 일부음악가들에서 나온 우리민족음악의 뿌리를 역사성, 시대성, 사회구조와 대중정서에 기초하여 찾아내고, 해방이후 계속 발전된 북한음악의 연구를 다방면으로 더 넓게 창작하여 공연으로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그 결과로 분리된 음악을 우리시대의 새로운 민족음악과 대중이 주체가 되는 민족음악의 고급예술화로 통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민중가요는 새로운 연구와 시도 등을 통하여 변화하는 대중들의 요구를 충족 시켜주어 대중의 수준을 높여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그동안의 연구와 그 성과를 바탕으로 우리식의 민족적 음악 형식을 만들어나가야 한다는 것이며, 새로운 공연양식으로 대중의 수준을 높여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Ⅳ 참고자료 및 자문
고려대학교 경상대학 민중가요소모임 그루터기 자문
서적
노동운동과 노래 - 최도은
노래이야기 주머니 - 이영미, 도서출판 녹두
인터넷 웹사이트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3&dir_id=30601&docid=310256
http://my.netian.com/~leejh95/whatminga.htm
http://my.netian.com/~gnal/minga_history.html
http://board11.superboard.dreamwiz.com/board.cgi?db=58_dd77
http://blog.naver.com/taigam.do?Redirect=Log&logNo=100003540885
http://home.opentown.net/%7Efreejin/%B9%CE%C1%DF%B0%A1%BF%E4%C0%C7%20%BF%AA%BB%E7.htm
http://kdaq.empas.com/dbdic/db_view.tsp?num=3036409&ps=src&pq
http://plsong.tusa.pe.kr/
http://kdaq.empas.com/dbdic/db_view.tsp?num=631874&ps=src
http://kdaq.empas.com/dbdic/db_view.tsp?num=3359984&ps=src
Ⅰ 서 론
1. 민중가요를 왜 선정하였나?
2. 민중가요의 정의는 무엇인가?
Ⅱ 본론
시기별 민중가요
① 일제시대 ~ 해방직후 : 최초의 민중 노래
② 1950년대와 60년대 - 민중가요의 암흑기
③ 70년대 초반 - 포크송, 그리고 김민기
④ 70년대 중후반 - 민중가요의 성립기
⑤ 80년 초반 - 80년의 봄, 그리고 임을 위한 행진곡
⑥ 80년 중반 - 85년 ‘구로동맹파업’과 415 대우자동차 노동자들의 파업
⑥ 80년 중반 - 85년 ‘구로동맹파업’과 415 대우자동차 노동자들의 파업
⑧ 90년 초중반
⑨ 98년 ~ 현재
Ⅲ 결론
민중가요에 대한 시각
민중가요가 나아갈 길 - 첫 번째 의견
민중가요가 나아갈 길 - 두 번째 의견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9.28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94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