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에 관한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고소설의 성격
1.1 소설의 개념
1.2 소설이란 말의 뜻과 그 대상의 변화
1.3 소설이라는 용어의 재검토

2. 소설의 명칭
2.1 고소설 명칭의 사용도
2.2 각 명칭의 유래 및 적절성
1) 고대소설
2) 이조소설
3) 전기소설
4) 고전소설
5) 고소설
6) 신화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한다.
3) 전기소설
장덕순과 민병수의 주장으로서 고대소설과 이조소설의 명칭의 부당성을 지적하며 내용상으로나 시대상으로 적합하다 여겨지는 ‘전기소설’이라는 명칭을 내세웠다.
여기서의 전기란 중국 문학 양식의 한 명칭으로서 실제로 중국에서의 전기소설이 우리나라의 소설의 형성과 발달에 영향을 미쳐 금오신화를 비롯한 많은 전기적인 작품이 나오게 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주목할 점은 한국 소설 모두가 전기적인 작품이 아니라는 것이다. 예컨대 춘향전이나 이춘풍전, 배비장정, 오유란전 등 상당수의 작품들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전기적인 요소가 완전히 제거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소설이란 명칭은 고소설의 한 유형을 가리킬 수는 있으나, 신소설 이전에 나온 소설 전체를 대표하는 명칭으로 사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볼 수 있다.
4) 고전소설
조선시대에 나온 소설은 고전문학의 범주에 속하므로 1950년대부터 전공논문에, 1970년대부터는 전공서적의 이름으로 ‘고전소설’이란 명칭이 쓰이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고소설과 함께 널리 쓰이고 있다.
고전의 사전적 의미는 옛날 작품이나 문헌, 학문이나 예술에 있어서 역사적으로 널리 모범이 될 만한 훌륭한 작품을 말하는 것으로서 그렇다면 고전소설이란 말은 역사적으로 모범이 될 만한 훌륭한 작품이라는 뜻이 된다.
이 명칭은 다른 명칭에 비해 타당성이 높으나 ‘고전’은 포괄적 의미로 신소설 이전의 소설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한정하여 쓰는 데는 무리가 따른다. 그래서 고전소설이라는 명칭은 넓은 의미의 고전소설로 쓰고, 신소설 이전의 소설은 고소설이라고 하는 게 좋겠다는 의견이 많은 추세이다.
5) 고소설
고소설이라는 명칭은 1960년대 전공논문에서부터 쓰여 1970년대에는 전공서적의 이름으로 쓰였는데, 1988년 한국 고소설 연구회 주최 하계 연구발표 대회에서는 참석자들이 고소설로 명칭의 통일을 합의했다.
고소설은 조선시대에 쓰던 ‘고담’의 ‘담’자 대신 ‘소설’이란 말을 넣어 만든 말로서 ‘고대소설’과 의미상 가장 가깝고 학계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며 고소설의 ‘고’는 신소설의 ‘신’과 대응됨을 알 수 있다. 한편 고소설은 ‘구소설’ ‘옛소설’이라고 하기도 하지만 이는 널리 쓰이진 않고 있다.
6) 신화
고소설은 설화에서 발전한 새로운 문학양식이니 신화라고 하자는 주장이 있다. 하지만 이는 첫째 서사문학 장르의 하나로 존재하는 신화와 동음이의어이기 때문에 의미전달에서 많은 혼란이 예상된다는 점, 둘째 한자 문화권에서 일반화 되어있는 ‘소설’이란 명칭을 버린다면 우리의 고소설은 중국이나 일본의 소설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 인식되기 쉽다는 문제로 인해 받아들여 지지 않고 있다.
- 참고 문헌 -
조동일,『한국소설의 이론』,서울:지식산업사, 1977.
최운식, 『한국고소설연구』,서울:보고사, 1995.
네이버 http://blog.naver.com/sjpark54/100018373741
브리태니커온라인
http://premium.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04d3324a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1.13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64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