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사교육의 성장과 공교육과의 관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언

Ⅱ. 사교육과 사교육비의 개념
1. 공교육과 사교육
2. 공교육비와 사교육비
3. 공교육과 공교육비, 사교육과 사교육비

Ⅲ. 사교육의 성장 추이
1. 사학비중의 변화 추이
2. 과외교육 등 사교육의 증가 추이
Ⅳ. 사교육 성장의 원인
1. 사립학교 팽창의 원인
2. 과외교육 성장의 원인

Ⅴ. 사교육과 공교육의 관계모형
1. 공립학교 교육에 대한 사립학교 교육의 역할모형
2. 제도권 교육에 대한 사교육의 역할 모형

Ⅵ. 한국에서의 사교육과 공교육의 관계
1. 한국에서의 사립학교 교육과 공립학교 교육의 관계
2. 한국에서의 과외교육 등 사교육과 제도교육의 관계

Ⅶ. 사교육 정책의 방향
1. 사학정책의 방향
2. 과외교육 등 사교육 정책의 방향

Ⅷ. 결 어

본문내용

학교 부족사태를 보충해주는 데 기여한 것이 사실이며, 일부 사학의 경우 운영상 문제점을 드러내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사학은 어려운 가운데서도 교육적 기능을 다하기 위해 노력해온 것이 사실이다. 이제 사학이 우리 교육 발전에 끼친 공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때가 되었으며, 사학도 폐쇄적인 경영체제를 보다 개방적으로 바꾸는 노력이 필요할 때가 되었다.
학원교육과 개인적인 과외교습도 양성화하여 제도권 교육과 상호 보완적 관계 속에서 발전할 수 있도록 정책의 방향이 전환되어야 한다. 국민의 교육열을 억제할 것이 아니라 건전하게 기능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다만, 사교육 시장의 성장이 공교육 제도의 결함이나 공교육의 부실로 인한 것인지 반성하는 것은 별개의 일이다.
참 고 문 헌
고형일 외, 2002학년도 이후의 입학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교육부 정책연구보고서, 1998.8.
교육부, 교육50년사, 1998.
, 교육통계연보, 1965~1998.
김기수, 아직 과외를 그만두지 마라, 민음사, 1997.
, 자녀교육을 위한 철학, 지식산업사, 1994.
김동석, “한국입시경쟁에 대한 구조적 분석,” 서울대대학원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1991.2.
김영철 외, 사교육비 문제와 대응방안,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997.
, 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과열과외 해소대책, 한국교육개발원, 1981.
김윤태, “학교선택 정책에 관한 분석적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14권 제3호, 1996.11.
김진경, “한국 사회에서의 사학문제의 성격과 본질,” 제3세계문화연구소(편), 한국교육의 재인식, 한신대출판부, 1988.
김태완, “학교교육의 개혁과 시장경제논리,” 교육재정경제연구, 제5권 제1호, 1996.6.
김흥주 외, 한국의 교육비 조사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8.
문교부, 문교개관, 1958.
박세훈, “학교선택제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행정학연구, 제16권 제3호, 1996.12.
박정수·최광·윤건영·나성린, 교육재정의 안정적 확보방안, 교육부 정책개발연구, 1999.4.
박정애, “학교선택제 실시·영향 및 지원방향,” 교육행정학연구, 제17권 제1호, 1999.4.
서울대교육연구소 편, 교육학용어사전, 도서출판 하우, 1994.
손인수, “한국 사학수난 80년사,” 현대교육, 1969.9.
, 한국교육운동사(1), 문음사, 1994.
송기창, “초·중등학교 재정운영의 효율화 방안,” 교육재정·경제연구, 제7권 제1호, 1998.6.
송기창 외, 사립중등학교에 대한 관할청의 재정지원제도 개선연구, 사학재정지원제도연구위원회, 1997.3.
윤건영, 한국교육재정의 현황과 개선방향, 한국개발연구원, 1996.
윤정일, “교육민영화의 실현가능성과 한계,” 교육행정학연구, 제17권, 제1호, 1999.4
, “입시 및 재정정책을 통한 사교육비 경감방안,” 교육재정경제연구, 특집호, 1997.10.
윤정일·박종렬, 교육재정의 현황과 문제 : 교육비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77.
윤정일·송기창, 사학진흥방안, 교육정책자문회의, 1990.3.
이돈희, 교육적 경험의 이해, 교육과학사, 1993.
이주호·우천식, 한국교육의 실패와 개혁, 한국개발연구원, 1998.8.
임연기 외, 초·중등학생의 과외수업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중간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1997.
천세영, “사교육과 과외문제의 시장이론적 검토,” 교육재정경제연구, 특집호, 1997.10.
한국교육십년사간행회, 한국교육십년사, 서울: 풍문사, 1960.
Chubb, J.E. & T.M.Moe, Politics, Markets, and America's School, Washington D.C.: The Brookings Institution, 1990.
Fitz, John et al., Grant Maintained Schools, London : Kogan Page, 1993.

Growth of Private Education and Relationship with Public Education in Korea
Ki-Chang Song** Professor,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growth trends of private education on the base of concept of private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 to investigate the cause of private education growth,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model of private education and public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private education policy directions for 21th century.
In Korea, private elementary school had been served as a supplemental one of public school. But private secondary school had been served as a quasi-public school not a supplemental one, hence the identity as private school had been confused. Private tutoring have formed antagonistic relationships with public education, besides the roles that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public school system.
Private education growth itself matters little, all that matters is its operation system. Therefore, private school should be operated more openly. Also, private tutoring should be brought out into the open.
  • 가격5,000
  • 페이지수147페이지
  • 등록일2007.12.25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45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