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문학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공무도하가

2.제망매가

3.찬기파랑가

4.도이장가
5.망부석 설화

본문내용

, 결국은 불태워 죽임을 당하였다. 그의 아내가 자녀를 데리고 치술령에 올라가 일본을 바라보며 박제상을 기다리다가 돌이 되었다. 뒤에 사람들은 그녀를 치술령의 신모(神母)로 모시고, 이를 소재로 지은 노래가 '치술령곡'이다.
- 감상 -
남편의 죽음 앞에 멈춰버린 아내의 가슴 아픈 이야기이다. ‘선 채로 돌이 된다’는 표현을 통해서 남편의 죽음을 인정할 수 없고, 여기 계속 서 있을테니 돌아와야만 한다는 강한 의지를 볼 수 있다. 죽음 앞에서도 하나도 두렵지 않은 그런 강한 사랑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망부석설화의 죽음도 앞의 공무도하가의 죽음과 같이 이별하지만 영원히 사랑할 것이라는 느낌을 받게 한다.
- 결론 -
몇 편의 작품에서 죽음의 문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죽음은 사랑하는 이와의 이별과 동시에 영원한 만남을 주기도 했고, 높은 이에 대한 자신의 충성심 표현의 매개체도 되었으며, 더 높은 위상을 갖게 하는 것도 되었다. 죽음의 문제는 단순히 죽는 일로 쉽게 해석해버릴 수 도 있지만, 그 안에 담겨진 수많은 사연과 깊은 의미들은 그리 단순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존경하는 이를 위해 바치는 충성의 죽음, 사랑하는 이와의 영원한 사랑을 위한 죽음 등 그 모든 죽음은 큰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문학을 통해 비춰진 죽음을 우리의 삶에서도 분명히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사람 사는 곳 어디에나 삶과 죽음은 존재한다. 죽음은 문학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과 관계된 모든 곳에서 문제가 될 것이다.
<한국고전문학의 이해>
한국고전문학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
어문학부 031063
박전옥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2.21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17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