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보건사회복지의 정의, 정신보건의 목적, 정신보건의 의의, 정신보건사회사업의 발달,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 정신보건서비스, 미국,일본의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체계 현황,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과제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정의, 정신보건의 목적, 정신보건의 의의, 정신보건사회사업의 발달,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 정신보건서비스, 미국,일본의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체계 현황,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과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정신보건 사회복지의 정의

Ⅲ. 정신보건의 목적

Ⅳ. 정신보건의 의의

Ⅴ. 정신보건 사회사업의 발달
1. 미국의 발달
1) 태동기
2) 발전기
3) 정착기

Ⅵ.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1.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대상
2.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목표
3. 정신보건 사회복지의 구성요소
1) 사람(대상)-Person
2) 문제-Problem
3) 장소-Place
4) 과정-Process
5) 목적-Purpose
4. 정신보건 사회사업의 기능과 역할
1) 정신보건 사회사업의 기능
2)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의 분야별 기능
3) 정신질환의 질병부담

Ⅶ. 정신보건 서비스
1. 클라이언트찾기 (identification & location of client / outreach)
2. 기본적인 욕구해결협조(assistance in meeting human needs)
3. 24시간 위기보조(24hour crisis intervention)
4. 심리사회 및 직업서비스(psychosocial and vocational services)
5. 재활을 위한 지지적 주거(supportive housing services for rehabilitation)
6. 건강 및 정신건강보호(health and mental health care)
7. 상호지지체계(mutual support system)
8. 자문 및 옹호(consultation and advocacy)
9. 클라이언트권리보호(protection of client rights)
10. 사례관리(case management)

Ⅷ. 미국 및 일본의 지역사회 정신보건 서비스체계 현황
1. 미국의 지역사회 정신보건 서비스 체계
1) 정신보건행정 전달체계
2)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제공체

2. 일본의 지역사회 정신보건 서비스 체계
1) 정신보건행정 전달체계
2)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제공체계

Ⅸ. 우리나라 정신보건 사회복지의 과제
1. 국가의 개입을 통한 체계적인 방향설정
2. 지역사회 내 재활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및 서비스 확충

Ⅹ. 결론

본문내용

복지전문직의 체계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 지역사회 내 재활 및 사회복귀를 위한 시설 및 서비스 확충
우리나라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정신보건 전달체계의 확립과 시설의 개선임에도 불구하고 현행 정신보건법에는 그러한 내용이 포함되지 않고 있다. 앞으로 지역사회 내에서의 단기간 요양을 위한 단기보호시설이나 소규모 주거시설을 갖춘 생활훈련시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시설 기준과 감독체계를 시급히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며, 감독은 국가적 차원에서 중립적·전문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단기적으로 경증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관 이용, 중증장애인을 위한 보건소 이용도 고려해볼 만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신장애에 대한 인식과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며, 사례관리 방법을 적용해보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또 당장 전문병원의 입원이 어려운 환자와 장기입원에 따르는 재정적 부담이 큰 가정의 문제를 고려하여 병원과 가정을 연결하는 중간시설의 역할을 하는 시설이 필요할 것이다. 이런 시설에서는 환자의 증세가 더 나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 환자의 사회복귀가 가능하도록 사회적응을 도와주는 역할 외에도 화자가족을 기술적·심리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현대사회의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많은 사람들을 위하여 격리 및 수용으로 인해 사회적 낙인의 대상이 되고 있는 정신병원보다 자유롭고 편리하게 정신장애 문제를 해결하고 혹은 예방할 수 있는 시설이나 서비스도 필요하다.
Ⅹ. 결론
물질문명 시대라는 21세기에 정신건강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한국의 정신보건 분야의 발전을 위한 한국 사람들의 노력은 어떠한지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한국의 정신보건 정책, 정신보건 관련 통계자료를 이용한 논문, 외국사례 등을 연구해 보았다. 점증하는 정신건강의 중요성과 이에 대비되는 정신보건에 대한 개인과 사회적 노력의 부족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기 위하여, 세계보건기구는 건강의 날 주제를 “Stop exclusion - Dare to care\"로 정하였는데, 이는 더 이상 정신질환이나 뇌질환에 노출 된 사람을 차별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주된 메시지였다. 정신건강에 관련한 최근의 세계적인 경향은 정신건강과 이에 대한 정책적 노력과 관심이 정신분열병 등 만성정신질환에 대한 장기적으로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기단계의 가벼운 정신질환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고 예방하는 활동도 중요시되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한국인을 위한 현대적인 건강의 개념이란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올바른 조화와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인간정신의 복잡한 특성들과 인간행동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 및 문헌들은 시대적인 관심 고조와 함께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나오고 있으며 정신건강 관련 전문가들의 다 학문적 접근을 통해 유지, 발전되어 오고 있다. 정신건강은 생물학적, 심리학적 그리고 윤리, 도덕적인 차원에서 행동과 상호 관련성을 맺고 교류함에 따른 결과적 현상이다. 따라서 인간행동과 정신건강을 논하고자 할 때는 총체적이며 다면적인 접근을 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총체적이며 다면적인 접근을 통해 본 정신건강은 정신건강이 전개되는 과정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 최적의 즐거움과 자아실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성장해 가는데 관심을 두고 있다. 오늘날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환경적 요인, 심리적 요인, 유전적 요인 등에 의해 많은 정신장애자나 정신병자의 증가를 초래하여 사회문제가 되고 있어 정신보건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어 정신 보건에 대한 관심이 점점 많아졌다. 정신 보건은 심리학, 교육, 사회학, 정신의학, 생물학 등으로부터 추출된 보건상의 지식이나 기술은 적용한다. 따라서 국민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을 위한 기초사업으로서, 체계적인 방법론과 국제적 비교가 가능한 표준적인 도구를 사용한 전국규모의 역학조사를 실시하여 다양한 정신질환의 유병율과 위험인자 및 의료서비스 이용도를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사회 정신보건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시작되고 관심이 더욱 높아져 일부 지역에서는 지방자치단체 공공자금의 지원을 받아 사회 정신보건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 지역사회 정신보건의 개념이 정부의 정신보건 정책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사회 정신보건의 이해를 깊이 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김기태 외, 정신보건복지론
김철권·강동호·조진석·심경순·하준선·변원탄·이부영, 지역사회복지관을 이용한 정신보건사업지침, 보건복지부, 1998
문옥륜·김정순·서동우, 정신질환의 이환 상태와 관리방안에 대한 조사연구, 보건사회부, 1989
미국, 정신보건체계법(The Mental Health System Act), 1980
박석돈 외, 사회복지개론, 삼우사, 2004
보건복지부 지역정신보건사업기술지원단, 2003년 지역정신보건사업 평가대회 자료집, 2003
안향림·박정은, 정신보건 사회복지, 홍익재, 2001
안향림 외 공저, 보사부 담당관, 정신보건법의 제정과 정책방향, 정신보건 사회복지
원석조, 사회복지개론, 양서원, 2005
정원철, 정신보건 사회사업론, 학문사, 2000
정신분열병의 정신사회재활효과, 정신보건 제 2권 1호, 한국정신사회재활협회, 1997
정부안 정신보건법, 1993
Anthony, W., Cohen, M., Farkas, M.(1997) , Psychiatric Rehabilitation. 정신재활. 손명자역. 서울성원사
Ikegami, 「N. Mental health policy in Japan」, 『국가정신보건체계 모형구축 심포지움 자료집』, 2002.Segal, S. P., “Community Mental Health,” Handbook of the Social Services, N.J.:Prentice-Hall, Inc. 1981.
Test, M.. A.(1984) , Community Support programs. In A. S. Bellack(Ed.), Schizophrenia treatment,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pp. 347-373). Orlando, FL:Grune & Stratton.
  • 가격7,5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8.03.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83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