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장애 아동의 특성과 생각의 원리 및 효과적인 교수전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1. 머리말

2. 자폐장애 아동의 특성
1) 사회적 특성
2) 의사소통적 특성
3) 행동적 특성

3. 자폐장애 아동의 생각의 원리 및 특성
1) 자폐아동의 생각의 원리
2) 자폐아동의 생각원리 특성

4. 자폐아동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전략
1) 과다선택성의 중재
2) 스크립트를 활용한 중재
3) 생각의 원리를 고려한 중재

5. 맺음말

참고 문헌

본문내용

것이다.
자폐아동의 사회성 결핍이 인지적 결함에서 비롯된다는 '생각의 원리' 모델에 근거하여 Ozonoff와 Miller(1995)는 IQ 70 이상의 청소년기의 자폐아동에게 14회에 걸쳐 의사소통 기술(예: 듣기, 칭찬하기, 차례지켜 말하기)과 다른 사람의 입장 취해보기 등을 모델링, 역할놀이, 및 구체적인 사례에 대한 적용과 연습을 통해 훈련하였다. 훈련받은 자폐아동 집단은 훈련받지 않은 비교집단에 비해 생각의 원리가 향상되었으나, 생각의 원리에 관한 훈련효과가 사회성 발달을 촉진하지는 못했다. 그 이유가 사회성 결핍이 인지적 결함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기 때문인지, 아니면 연구자들이 자폐아동에게 사회성 발달을 촉진할 만큼 생각의 원리를 충분히 훈련하지 못했는지에 대해서는 추후연구가 필요하겠다.
5. 맺음말
본 글에서는 자폐아동의 과다선택성과 생각의 원리에 대해 살펴보고, 효과적인 교수전략에 대해 제시하였다. 자폐아동의 생각의 원리에 있어서의 결함은 정신연령을 통제한 비교집단에 비해서도 떨어지므로, 자폐아동의 특유한 인지적 결함으로 간주된다. 자폐아동의 생각의 원리는 직접 훈련하거나 다른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에도 고려해야 하며, 생각의 원리가 발달하기 위해 먼저 발달해야 하는 공유된 관심, 가장능력, 모방능력에 대해서부터 중재를 시작해야 한다(Charman 외, 1994).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폐아동의 인지적 결함은 의사소통 장애와 사회성 결핍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자폐아동의 인지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자폐증을 정의하는 중요한 특성인 사회적 결함, 의사소통적 결함, 및 행동적 결함을 고려하여 전반적인 영역에 있어서 발달을 촉진할 수 있도록 포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자폐아 교육에 있어서 만병통치적인 접근방법은 없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는 한 가지 모델이나 접근방법만을 고집하지 말고, 여러 접근방법(예: 인지적, 행동주의적, 생태학적, 발달적)들을 통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자폐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수준을 고려하고, 아동의 환경에 풍부한 교육적 자극을 제공하며, 인지적 전략들을 교수하되 강화의 사용 등 행동주의적 전략들도 함께 통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공통된 특성을 공유하고 있더라도 자폐아동의 인지수준과 특성은 각 아동마다 다르고, 인지능력의 하위영역간에 불균형을 나타낸다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따라서, 한 가지 교육방법이 모든 자폐아동에게 동일한 수준으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해서는 안 된다. 집을 지을 때 공구통에 다양한 공구가 들어 있어야만 필요에 따라 가장 적절한 공구를 꺼내어 쓸 수 있듯이, 자폐아동들의 교육에 있어서 일차적인 책임을 지고 있는 교사들도 다양한 교수전략에 대해 익숙해야만 각 아동의 필요에 따라 최상의 교수전략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김은경. (1999). 자폐성 장애의 증후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33(2), 193-220.
방명애. (1999a). 자폐아교육의 최상의 실제. 정서학습장애연구, 15(1), 149-172.
방명애. (1999b). 자폐아의 사회성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교수전략. 정서학습장애연구, 15(2), 183-203.
Bacon, A. L., Fein, D., Morris, R., Waterhouse, L., Allen, D. (1998). The responses of autistic children to the distress of oth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8(2), 129-142.
Baranek, G. T. (1999). Autism during infancy: A retrospective video analysis of sensory-motor and social behaviors at 9-12 months of age.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9(3), 213-224.
Baron-Cohen, S. (1995). Mindblindness: An essay on autism and theory. Cambridge, MA: MIT Press.
Bay-Hintiz, A. K., Peterson, R. F., & Quilitch, H. R. (1994). Cooperative games: A way to modify aggressive and cooperative behaviors in yound children.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27, 436-446.
Bettelheim, B. (1967). The empty fortress. New York: Free Press.
Browden, D. M., & West, B. J. (1991). Assessment lf social skills and interfering behavior. In D. M. Browder. (Ed.), Assessment of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pp. 245-271) Baltmore: Paul H. Brookes.
Dawson, G., Meltzoff, A. N., Osterling, J., Rinal야, J., & Brown, E. (1998). Children with autism fail to orient to naturally occurring social stimuli.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8(6), 479-485.
Donnellan, A. H., Mirenda, P. L., Mesaros, R. A., & Fasbender, L. L. (1984). Analyzing the communicative functions of aberrant behavior.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9, 201-212.
  • 가격2,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05.27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64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