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사] 한국문학사 핵심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문학사] 한국문학사 핵심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상고시대 문학

제2장 삼국시대 문학

제3장 통일신라 문학

제4장 고려의 문학

제5장 조선의 시가문학

제6장 조선의 소설문학

제7장 문학의 이해

제8장 한국 현대시 개관

제9장 시인의 현실과 자연

제10장 한국 현대소설의 흐름(1)

제11장 한국 현대소설의 흐름(2)

제12장 1930년대 소설개관

제13장 한국 희곡문학의 역사적 이해∙수필의 성격

제14장 언어에 대한 이해

제15장 한국어의 기원

제16장 훈민정음 제작의 목적과 한글의 유래

제17장 표준어의 기능과 국어의 순화

본문내용

또는 대륙 기원설
1) 가장 신빙성있고 보편화된 견해
2) 강점; 고고학상 민족이동의 뒷받침
3) 약점; 다른 알타이어와의 기본어휘비교에서 만족할만한 공통성을 갖지 못함
제16장 훈민정음 제작의 목적과 한글의 유래
1. 제작목적
'사람마다 쉽게 익혀 날마다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목적으로 만든 글
※ 세종의 제작목적은 훈민정음과 한자를 이중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2. 창제의도
언어정책 교육정책을 우민정책에서 훈민정책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마련
3. 창제당시 문헌
가. 龍飛御天歌(용비어천가); 한자에 별도의 정음토를 달지 않고 사용, 지식층이 주독자, 杜詩諺解 (두시언해)와 표기방식 동일
나. 月印千江之曲(월인천강지곡); 정음으로 된 한자음을 큰 활자로 적고, 그 옆에 작고 흐리게 한자 표기
다. 釋譜詳節(석보상절) 月印釋譜(월인석보); 한자를 먼저 쓰고, 그 옆에 작은 활자로 정음 즉 한자음 표기
※ 訓民正音 合字解(훈민정음 합자해): 세종이 훈민정음을 만들면서 국한문 혼용까지 염두에 두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한글의 유래
1. 한글의 유래에 관한 주장
가. 이윤재
1) 주시경이 처음 '한글'의 이름을 지었다고 주장
2) '한글'의 '한'은 三韓(삼한)의 韓(한) 근대의 '한국'의 '한'이 기원이며, 의미는 '크다' '하나'이다.
3) '한글'의 '한'은 겨레의 글 곧 조선의 글
나. 최현배; '한글'의 '한'은 '一 大 正'을 의미하며 주시경에서 비롯된다고 주장
다. 최남선
1) 1910년 조선광문회에서 만들어졌으며, 뜻은 '大'와 '韓'의 두 가지
2) 최초의 기록은 1913년 <아이들보이>의 '한글'欄(란)이라고 함
라. 박승빈; 최남선이 짓고 주시경이 찬동하여 '한글'이란 이름 확정
마. 김민수
1) '한글'의 '한'은 '大韓帝國(대한제국)'의 '韓(한)'에서 따낸 것이며, 의미는 '大'와 '韓'의 두 가지
2) 쓰임은 <아이들보이>지의 '한글 풀이'란에 처음 보인다고 함
2. 한글의 명칭
가. 갑오경장 이후
1) 명칭은 '國語(국어)'와 '國文(국문)'
2) 우리말 연구에 정열을 쏟은 주시경 선생은 대부분의 저서에 '國語(국어)'와 '國文(국문)'사용
※ 주시경의 저서: 국문론 국어문법 국문문법 대한국어문법 국어와 국문의 필요 국문연구안
국어문전음학 국문연구 국어문법
나. 1910년 국권상실 이후
1) '國語(국어)'와 '國文(국문)'대신 '朝鮮語(조선어)'사용
2) '한말'; 주시경의 이름으로 발부된 수료증서에서 발견(한말익힘곳<국어연구학회>)
3) 배달말글; 최현배의 1913년 3월 2일자 졸업증서와 <한글모죽보기>의 졸업증서 서식
4) 한글; 1913년 3월 23일 <한글모죽보기>에서 '한글'로 용어가 바뀜
3. 우리말과 글의 사용현황
'국어'와 '국문' → '조선어'와 '조선어문' → 소리갈 말모이 → '한말' → '배달말글' → '한글'
4. '배달말글'이 '한글'로 바뀐 이유
가. 음절수가 너무 많기 때문
나. 三韓(삼한)이나 大韓帝國(대한제국)의 '韓(한)'과 연결시킬 수 있어 의미하는 바가 넓어짐
5. 김두봉의 '조선말본'
'한글'이란 말이 주시경 후학들에게 사용된 최초의 기록
제17장 표준어의 기능과 국어의 순화
1. 통일의 기능
가. 한나라 국민으로 하여금 공통된 의사소통의 수단을 갖게 해 주는 공통어의 구실
나. 의사소통의 효율성과 사회적 일체감 조성
2. 우월의 기능
가. 사용하는 사람이 사회적으로 우위에 있는 사람임을 드러내는 표식의 기능
나. 사회언어학자들의 실험결과
1) 여성들이 남성보다 표준어 지향적
2) 하류층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하는 말투에서는 그렇지 않다가, 조심성있게 하는 격식 말투에서는 표준어를 쓰는 일이 많다.
3) 최하류층에서는 격식을 갖추어야 할 말투에서도 표준어를 쓰지 않는다.
3. 준거의 기능
가. 표준어는 일조의 규범으로 사용
나. 준법정신이 어느 정도인가를 재는 척도로서의 구실
* 국어의 순화
1. 순화의 말뜻(의미)
순화란 잡된 것을 걸러서 순수하게 하는 일이요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하는 것
즉, 순수화와 단순화
가. 순수화
1) 외래어와 외국어를 가능한 한 우리 토박이말로 정리하며
2) 비속하거나 틀린 말을 고운말과 표준어로 바꾼다는 것을 의미
나. 단순화
1) 어렵고 복잡한 말을 알기 쉽도록
2) 뜻이 명백하게 전달 될 수 있도록 간편하고 쉽게 바꾸는 것
2. 언어에 대한 사람들의 두 가지 관점
가. 자연발생설; 언어는 신이 만들어 인간에게 준 것, 곧 자연발생적인 것이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고칠 수 없다는 이론
나. 언어는 인위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는 것
3. 국어 순화의 이유
가. 말은 이루어 내는 힘을 가진 존재이다.
언어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자신의 본질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한다.
나. 말은 민족의 세계상을 담는다.
프랑스의 언어학자 소쉬르; 말의 공통성이 혈족성을 결론짓지는 못하지만, 말은 공통적인 민족성을 알리는 것이므로, 민족 통일을 성립시키는 데 무엇보다도 우선하는 것은 말의 공통성이다.
다. 말은 외부세계와 의식세계를 이어주는 중간세계이며 통로이다.
인식을 걸러주는 '체'로서의 모국어 긍정
4. 국어 순화의 배경
가. 갑오경장 이후: 말과 민족의 관계는 떼어놓을 수 없다고 하면서 국어의 연구와 보급, 순화 작 업이 시작 됨
나. 일제 식민지 시대: 독립운동의 한 부분으로 국어 운동 시작
→ 사전 편찬 작업 개시(큰사전; 한글학회)
5. 국어 순화의 대상
가. 잘못된 발음
소리가 필요 없이 또는 불규칙하게 바뀌는 것, 경음의 과대 사용과 사투리 사용
나. 잘못된 어휘
은어나 비어 등의 사용과 욕설, 사투리, 외국어, 외래어 등의 무분별한 사용
다. 잘못된 문장
상대에게 제대로 존댓말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시제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
라. 어휘와 의미의 혼란
삼삼하다 → 예쁘다 끝내주다 → 무척 멋있다와 같이 어휘와 의미에서 혼란이 생겨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에 지장을 주는 경우
마. 언어상황에 맞지 않는 표현
일반적인 관념이나 통념에서 벗어나는 언어사용(자신의 정체성 부정)
바. 잘못된 정서법(맞춤법)
2차적인 언어인 문자언어도 순화의 대상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8.09.21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03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